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와 사회

문화와 사회

복거일, 이도형, 조갑제, 홍호표, 변희재, 문영호, 황승경, 장연발 (지은이)
집문당
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와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와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30315159
· 쪽수 : 154쪽
· 출판일 : 2011-05-13

책 소개

문화미래포럼 총서 4번째 책. 다양한 분야의 8인이 각각 본인들만의 색깔과 문체로, 시장과 사회윤리, 사회구성정신에 접근해 문화가 사회에서 차지하는 소통 현장을 이해하고 그것이 적용되는 현상을 살피고 있다.

목차

문화의 황무지…이도형
자유주의자들의 예술적 사회참여…복거일
사회권력과 국가권력…조갑제
중국 ‘한류’의 성인(成因) 시론…장연발
무수리의 시대, 공주의 노래…홍호표
이념 예술의 시장…문영호
꽃에 투영된 사회 구성정신의 몇 가지 측면…황승경
대한민국의 대중문화, 개방과 개혁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변희재

저자소개

복거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6년 충남 아산 출생. 『미추홀-제물포-인천』처럼 역사를 주제로 삼은 작품들은 아래와 같다. ● 『비명(碑銘)을 찾아서: 게이조우京城, 쇼우와 62년』(1987) : 이토 히로부미 추밀원 의장이 안중근 의사의 저격에서 살아남았다는 가정 아래, 동양 역사의 전개를 그린 대체 역사alternate history 소설. ● 『파란 달 아래』(1992) : 남북한의 월면 기지들의 통합으로 남북한 통일의 가능성이 커지는 과정을 그린 미래 역사future history 소설. ● 『목성잠언집』(2002) : 목성의 위성 개니미드에서 27세기 이후 번성했던 인류 문명을 다룬 미래 역사 소설. ● 『그라운드 제로』(2007) : 북한의 핵무기가 재앙을 불러오는 과정을 그린 미래 역사 소설. ● 『역사 속의 나그네』(전 6권) (2015) : 중세 조선에 불시착한 시간비행사chrononaut가 자신이 지닌 현대 지식으로 중세 사회의 변혁을 시도하는 대체 역사 소설. ● 『물로 씌어진 이름』(전 5권) (2023) : 이승만의 눈에 들어온 역사적 풍경들을 통해서 조선 개항 이후 세계 역사의 흐름을 살핀 역사 소설. 그 밖에 『높은 땅 낮은 이야기』(1988), 『캠프 세네카의 기지촌』(1994), 『마법성의 수호자, 나의 끼끗한 들깨』(2001), 『숨은 나라의 병아리 마법사』(2005), 『보이지 않는 손』(2006), 그리고 과학소설 단편집 『애틋함의 로마』(2008), 『내 몸 앞의 삶』(2012), 『한가로운 걱정들을 직업적으로 하는 사내의 하루』(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이도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교통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에세이스트. [행정학의 샘물(제4판)], [지방자치의 하부구조], [행정철학], [비교발전행정론(제4판, 공저)], [정부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참발전이야기(공저)], [생태주의 행정철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우리들의 정부], [당근과 자율](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등 다수의 학술저서를 썼다. 에세이집으로는 [사유(思惟)], [노을처럼 익어가야지], 포토에세이집으로는 [시름은 덜고 여유는 한 자락 얻고: 길이 주는 선물, 포토에세이] 등이 있다. ‘세상은 스토리 텔러: 사진을 통한 세상 속 자연, 문화, 철학적 메시지 읽기’라는 주제로 포토에세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http://ledoh.tistory.com
펼치기
조갑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10월 일본에서 났다가 이듬해 고향인 경북 청송으로 돌아왔다.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산수산대학(현재의 釜慶大)에 들어가 2학년을 마친 뒤 공군에 입대, 제대 후 1971년 부산의 <국제신보> 수습기자로 입사해 언론생활을 시작했다. 문화부, 사회부 기자로 일하면서 경찰, 공해, 석유분야를 다루었는데 1974년 중금속 오염에 대한 추적 보도로 제7회 한국기자상(취재보도부문·한국기자협회 제정)을 받았다. 1980년 광주사태 현장 취재를 했다. 그해 6월 신문사를 그만둔 뒤 월간잡지 <마당> 편집장을 거쳐 1983년 조선일보에 입사, <月刊朝鮮> 편집장으로 일했다. 2001년 월간조선이 조선일보사에서 분사(分社)하면서 (주)월간조선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지금은 <조갑제닷컴> 대표로 있다. 2017년부터 시작한 <조갑제TV>는 한국의 대표적인 유튜브 방송이 되었다. 저서로는 《김대중의 정체(正體)》 《사형수 오휘웅 이야기》 《有故》 《국가안전기획부》 《軍部》 《朴正熙(전 13권)》 등이 있다.
펼치기
홍호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하며 글을 쓰고 살았다. 은퇴 후 한국어교사 3급 자격증을 취득하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 114기 일반봉사단원으로 선발돼 2017년 5월 스리랑카에 파견됐다. 옛날 우리나라 시골 읍 같은 분위기가 나는 도시 와라카폴라에 있는 기능대학에서 2년간 한국어를 가르쳤다. 스리랑카에 가기 전까지 동아일보에서 기자와 에디터로 36년 8개월간 일하고 정년퇴직했다. 성균관대 공연예술학박사이며 지은 책으로 《정보사회의 미디어산업》 《조용필의 노래, 맹자의 마음》 《대중예술과 문화전쟁》(공저)이 있다. 큰아들의 표현을 빌리면 “아버지 같은 어머니”인 아내와 함께 사는 “애 같은 아버지”이며, 옛 직장 동료에 따르면 “진정한 자유인”이다. 아내와 두 아들, 며느리와 손자가 있다.
펼치기
변희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터넷 미디어비평지 '미디어워치'의 대표. 현재 유튜브채널 미디어워치TV에서 '변희재의 시사폭격'을 진행하고 있는 20년차 보수 논객이다. 8년 전 박근혜 탄핵 당시 검찰과 특검이 최서원의 태블릿을 조작한 증거를 밝혀내다 OECD 주요국 중 최초로 현직 언론인으로서 사전구속, 문재인 정권에서 1년 간 억울한 옥살이를 했다. 윤석열 정권에서는 좌우 진영을 넘어 70년대생 대표 활동가인 최대집 전 의사협회장,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 김용민 평화나무 이사장과 함께 태블릿 진실투쟁을 위한 태극기-촛불 연합 집회를 이어갔다. 이로 인해 보수 진영으로부터 "왜 좌파와 손을 잡느냐"며 항의를 받곤 했다. 그러다 윤석열 탄핵 정국에서 '홍장원 메모' 조작을 밝히자 "변희재가 다시 보수로 돌아왔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박근혜든, 윤석열이든, 누구든지 조작에 의해 탄핵당하면 안된다는 입장일 뿐, 누구의 편에 서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인 1999년 웹진 대자보 창간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에는 정치평론지 인물과사상, 웹진 서프라이즈 등의 필진으로 활약했다. 만 29세에 최연소 KBS 시청자위원을 거쳤고, 한겨레신문, 스포츠서울, 조선일보, 동아일보 객원논설위원으로 고정 칼럼을 기고하며 뉴미디어 전문가로 널리 인정받았다. 2009년에는 '미디어워치'를 창간, 보수의 관점에서 언론의 각종 왜곡보도 문제를 짚어왔다. 그러다 박근혜 탄핵과 윤석열 탄핵이라는 정치적 격변에 뛰어들어 '최순실 태블릿'과 '홍장원 메모' 조작을 밝히며, 이들 두 대통령의 탄핵이 여야 기득권 정치세력과 재벌, 조중동·한겨레·경향·MBC 등 제도권 언론이 기획한 일로서, 대한민국을 영구히 분할 통치하려는 내각제 개헌이 추진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펼치기
문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반제 반파쇼 운동론 >
펼치기
장연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