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

에드문트 후설 (지은이), 이남인, 김태희 (옮긴이)
서광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20,700원 -10% 0원
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에드문트 후설
· ISBN : 978893061511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08-10

책 소개

후설의 현상학적 시간론은 객관적 시간(자연적이고 사회적인 시간)을 그것이 의식에 어떻게 주어지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해명하는 것이다. 자연적 태도에서 주어지는 객관적 시간은 초월론적 주관의 의식에 의해 지향된 대상으로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다.

목차

옮긴이 서문 … 5
옮긴이 해제 … 11

I부 1905년 내적 시간의식 강의

서론 … 69
§1 객관적 시간의 배제 … 71
§2 “시간의 근원”에 대한 물음 82

1장 시간의 근원에 관한 브렌타노의 이론 … 87
§3 근원적 연상 … 87
§4 미래의 획득과 무한한 시간 … 92
§5 시간성격에 의한 표상의 변화 … 93
§6 비판 … 95

2장 시간의식의 분석 … 103
§7 시간대상 파악에 대한 순간 포착 해석과 지속 작용 해석 … 103
§8 내재적인 시간대상과 그것의 현출방식 … 109
§9 내재적 대상의 현출에 대한 의식 … 112
§10 경과현상들의 연속체. 시간도해 … 114
§11 근원인상과 파지변양 … 118
§12 특유한 지향성으로서의 파지 … 121
§13 인상이 파지에 앞선다는 사실의 필연성. 파지의 명증 … 124
§14 시간대상의 재생(이차적 기억) … 127
§15 재생의 수행양상 … 131
§16 파지 및 회상과 구별되는 현전으로서의 지각 … 132
§17 재생에 대립되는, 자체부여 작용으로서의 지각 … 136
§18 지속과 잇따름에 대한 의식의 구성을 위해 회상이 지니는 의미 … 138
§19 파지(일차적 기억)와 재생(이차적 기억 및 상상)의 차이 … 142
§20 재생의 “자유” … 145
§21 재생의 명료성 단계 … 147
§22 재생의 명증 … 147
§23 재생된 지금과 과거의 합치. 상상과 회상의 구별 … 149
§24 회상에서의 예지 … 152
§25 회상의 이중적 지향성 … 153
§26 기억과 예상의 차이 … 157
§27 “지각되었음”에 대한 의식으로서의 기억 … 159
§28 기억과 이미지 의식. 정립하는 재생으로서의 기억 … 162
§29 현재기억 … 163
§30 파지변양 속에서 대상적 지향의 유지 … 165
§31 근원인상과 객관적이고 개체적인 시간점 … 167
§32 하나의 객관적 시간구성에서 재생의 역할 … 175
§33 몇 가지 선험적 시간법칙 … 177

3장 시간 및 시간대상의 구성단계 … 181
§34 구성단계들의 구별 … 181
§35 구성된 통일체와 구성하는 흐름의 차이 … 182
§36 절대적 주관성인 시간을 구성하는 흐름 … 184
§37 구성된 통일체로서의 초월적 대상의 현출 … 185
§38 의식흐름의 통일체, 그리고 동시성과 잇따름의 구성 … 186
§39 파지의 이중적 지향성과 의식흐름의 구성 … 190
§40 구성된 내재적 내용들 … 196
§41 내재적 내용의 명증. 변화와 불변 … 197
§42 인상과 재생 … 201
§43 사물현출의 구성과 사물의 구성. 구성된 파악과 근원파악 … 204
§44 내적 지각과 외적 지각 … 210
§45 비시간적 초월자들의 구성 … 212

II부 시간의식 분석에 대한 1905년-1910년의 추가연구 및 보충연구

부록 1 근원인상과 그 변양 연속체 … 217
부록 2 재현과 상상 — 인상과 이미지작용 … 221
부록 3 지각과 기억의 연관지향 — 시간의식의 양상들 … 227
부록 4 회상, 그리고 시간대상과 객관적 시간의 구성 … 237
부록 5 지각과 지각된 것의 동시성 … 241
부록 6 절대적 흐름의 포착 — 지각의 네 가지 의미 … 245
부록 7 동시성의 구성 … 253
부록 8 의식흐름의 이중적 지향성 … 257
부록 9 근원의식, 그리고 반성 가능성 … 261
부록 10 시간의 객관화와 시간 속에 있는 사물의 객관화 … 265
부록 11 충전적 지각과 비충전적 지각 … 273
부록 12 내적 의식과 체험의 포착 … 279
부록 13 내재적 시간대상으로서의 자발적 통일체의 구성 — 시간형태로서의 판단과 절대적인 시간구성의식 … 287

찾아보기 … 295

저자소개

에드문트 후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옛 오스트리아제국의 작은 도시인 프로스니츠(현재 체코의 프로스테요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83년, 빈대학에서 수학의 변이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나, 프란츠 브렌타노를 사사하면서 철학으로 전향했다. 1887년에 교수 자격을 취득한 뒤 할레대학, 괴팅겐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16년에 하인리히 리케르트의 후임으로 프라이부르크대학의 철학과 정교수로 취임했다. 유대인이었기에 말년에는 나치로부터 박해를 받았다. 초기 저작인 『산술 철학』(1891)에서는 수학적 대상을 심리적 작용으로 환원하는 심리학주의에 경도되었으나, 『논리 연구 1, 2』(1900, 1901)에서 심리학주의를 비판하면서 의식의 지향성에 대한 순수 기술적 방법인 현상학을 창시했다. 이후 후설은 의식에 대한 순수 기술로서의 현상학을 초월론적 환원에 기초한 초월론적 현상학으로 발전시켰는데, 이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1』(1913)이다. 이후 그는 현상학을 발생적 현상학으로 확장했는데, 『형식논리학과 초월론적 논리학』(1928)과 사후에 출간된 『경험과 판단』(1939) 등은 그 탐구의 빼어난 성과다. 또한 『데카르트적 성찰』(1931), 『유럽 학문의 위기와 초월론적 현상학』(1936) 등은 초월론적 현상학을 철저히 정초하려는, 필생에 걸친 노력의 마지막 결실이다. 생전에 출간한 이러한 저서들 외에도 후설은 총 4만 5000여 장에 달하는 방대한 연구 원고를 남겼는데, 이 연구 원고들은 아직도 후설 전집으로 출간 중이다. 후설은 현상학의 엄밀한 방법을 통해 학문의 토대를 철저히 정초함으로써 실증주의에의해 생겨난 현대 학문과 문화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평생 분투했다. 그가 개척한 현상학은 20세기 주요 철학 사조의 하나가 되었으며, 철학에서뿐만 아니라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펼치기
이남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부퍼탈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현상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8년 국제철학원(IIP)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독일 부퍼탈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상(1992), 철학연구회 논문상(1994), 대한민국학술원상(2005),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6) 등을 수상했다. <철학과 현상학 연구>, <철학>을 비롯해 다수의 국내 학술지 편집위원을 역임했고,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s> 등 다수의 국제 학술지 및 학술총서의 편집위원과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Edmund Husserls Phanomenologie der Instinkte(1993), <현상학과 해석학>(2004),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2006), <후설과 메를로-퐁티>(2013), <현상학과 질적 연구>(2014), <통섭을 넘어서>(2015) 등이 있으며, 「현상학적 사회학」, 「Experience and Evidence」, 「Problems of Intersubjectivity in Husserl and Buber」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태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소외와 가속》, 《사물과 공간》,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공역), 《헤겔의 세계》(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시간의식의 분석은 아주 오래전부터 기술적 심리학과 인식론이 만나는 곳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