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해방전후사의 인식 4

(민중항쟁.무장투쟁.문화예술운동.한국전쟁의 해명)

고창훈, 이효인, 임헌영, 정해구, 최열, 한준상, 류상영, 김명섭, 이완범, 김남식, 정미숙 (지은이)
한길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해방전후사의 인식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방전후사의 인식 4 (민중항쟁.무장투쟁.문화예술운동.한국전쟁의 해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35600038
· 쪽수 : 590쪽
· 출판일 : 2006-03-10

책 소개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결정적이고 중요한 시기이면서도 1980년대 중후반까지는 현실적 제약으로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던 해방전후의 시기를 분석한 책. 1979년 10월 첫 출간 이후 지식인과 학생층을 사이에서 파란을 일으키며 회자되기 시작되고, 계엄령 하에서는 판금조치 되기도 했던 책이다.

목차

1권

1. 해방의 민족사적 인식 /송건호
미군정의 정치사적 인식 /진덕규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진덕규

2. 반민특위의 활동과 와해 /오익환
일제 말 친일 군상의 실태 /임종국

3. 김구의 사상과 행동의 재조명 /백기완
이승만 노선의 재검토 /김도현
8.15를 전후한 여운형의 정치활동 /이동화

4. 해방 후 농지개혁의 전개 과정과 성격 /유인호
미군정 경제의 역사적 성격 /이종훈

5. 소설을 통해 본 해방 직후의 사회상 /염무웅
해방 후 한국 문학의 양상 /임헌영


2권

4반세기만에 <해방전후사의 인식>을 다시 펴내면서 /김언호
해방전후사 인식의 방향 /강만길

1. 8·15 직후 정치 지도자들의 노선비교 /김광식
박헌영과 8월테제 /김남식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 /임종국

2. 남북분단의 민족경제사적 위치 /박현채
미군정하 농업과 토지개혁정책 /황한식
농지개혁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장상환
9월 총파업과 노동운동의 전환 /성한표

3. 해방직후 지식인의 민족현실 인식/임헌영
해방공간의 문학 /김윤식
미군정의 교육정책 /이광호

찾아보기


3권

해방후 정치·사회운동을 보는 시각 /박현채

1. 8·15 직후 민주주의 논쟁 /여현덕
해방후 좌익운동과 민주주의민족전선 /양동주
조선공산당과 3당 합당 /김남식
미군정기 국가기구의 형성과 성격 /안진
한반도 신탁통치 문제 1943~46 /이완범)

2. 미군정기 노동운동과 전평의 운동노선 /김태승
미군정기 농민운동과 전농의 운동노선 /박혜숙
전남지방 정치와 여순사건 /황남준

3. 미군정기의 좌우익 문학논쟁 /임헌영
미국의 문화침투와 한국교육 /한준상


4권

1. 해방 8년사의 총체적 인식 /정해구

2. 해방 이후 좌·우익 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류상영
분단의 구조화 과정과 한국전쟁 /김명섭

3. 1948~50년 남한내 빨치산활동의 양상과 성격 /김남식
4·3 민중항쟁의 전개와 성격 /고창훈

4. 1948~53년 문교정책의 이념과 특성 /한준상·정미숙
해방 이후 무장투쟁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임헌영
해방 3년의 미술운동 /최열
해방 직후의 민족영화운동 /이효인

5. 해방전후사 연구 10년의 현황과 자료 /이완범


5권

1. 해방 전후 북한 현대사의 재인식 /김남식

2. 북한 지도집단과 항일무장투쟁 /이종석

3. 서북 5도 당대회의 대미인식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의 조직적 위상 /김주환
해방 직후 북한 인민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김용복
해방 후 북한의 인민민주주의혁명과 사회주의혁명 /김주환

4. 해방 직후 소련의 대북한 정책 /박재권
반제반봉건민주주의혁명기의 여성정책 /박현선
해방 직후 민주건설기의 북한문학 /임진영
기행·북한, 1947년 여름 /안나 루이스 스트롱


6권

서론: 해방·분단·한국전쟁의 총체적 인식 /박명림
해방 3년사의 쟁점 /이완범
해방 전후 북한현대사의 쟁점 /김명섭
한국전쟁사의 쟁점 /박명림
해방 전후 사회경제사의 쟁점 /백일
해방 직후 문학 논의의 쟁점 /신형기

<해방전후사의 인식 6>을 펴내며

저자소개

고창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행정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제주4.3연구소장을 역임했고, 2006년 현재 제주대 행정하고가 교수이자 세계섬학회장에 재직중이다. 주요 논문과 공저서에 '제주항쟁의 경제사회적 해석', <제주항쟁>, <제주해녀와 일본의 아마> 등이 있다.
펼치기
이효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화 연구서 『한국영화역사강의 1』(이론과 실천, 1992), 『한국 근대영화의 기원』(박이정, 2017), 『한국 근대영화사』(공저, 돌베개, 2019), 『한국 뉴웨이브 영화』(박이정, 2020), 에세이 『한국 뉴웨이브 영화와 작은 역사』(한상언영화연구소, 2021), 소설 『멜랑콜리 연남동』(사간서원, 2020), 『선물 같은 진경』(BOOKK, 2024)을 출간하였다. 현재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임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나 중앙대 국문학과 및 대학원을 마쳤다. 『현대문학』을 통해 『장용학론』(1966)으로 문학평론가가 된 후 『경향신문』 기자, 월간 『다리』, 월간 『독서』 등 잡지사 주간을 지냈다. 유신통치 때 두 차례에 걸쳐 투옥, 석방 후 중앙대 국문과 겸임교수(2010)를 지냈고, 역사문제연구소 창립에 참여, 부소장·참여사회 아카데미 원장 등을 거쳐 지금은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창조와 변혁』, 『민족의 상황과 문학 사상』, 『문학과 이데올로기』, 『분단시대의 문학』, 『불확실 시대의 문학』, 『임헌영의 유럽문학기행』, 『한국소설, 정치를 통매하다』, 『문학의 길 역사의 광장-문학가 임헌영과의 대화』(대담 유성호) 등과, 리영희의 『대화-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 대담을 맡았다.
펼치기
정해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1955년 충남 서천군 출생. 행정학과 정치외교학을 공부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 현대 정치와 민주주의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저술한 책으로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6월항쟁과 한국의 민주주의》(공저) 《한국 정치와 비제도적 운동정치》(공저) 《한국민주화운동사1~3》(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정해구의 다른 책 >
최열 옛 그림으로 본 서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생. 미술사학자 젊은 날 미술 운동에 전념한 뒤 나머지 생애를 한국미술사 연구에 몰두했다. 누구도 한국 근대미술에 제대로 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을 때 그는 직접 땅을 일구고 씨를 뿌려 연구의 터를 만들었다. 그는 개척자인 동시에 실행자였다. 1993년에는 한국근대미술사학회를, 2005년에는 인물미술사학회를 창립했다. 그는 치열하며 집요한 학자다. 수십 년에 걸쳐 펴낸 무수히 많은 저작이 그의 족적을 드러낸다. 그의 책들은 세월이 흐른 뒤에도 한국미술사에 관심 갖는 이들에게 유용한 참고문헌이다. 지난 30여 년 가까이 몰두해온 한국미술 연구를 집성하여 출간한 『옛 그림으로 본 서울』을 시작으로 『옛 그림으로 본 제주』를 펴내 조선 실경을 통해 우리 산하를 돌아보는 방대한 여정에 나선 뒤, 독자들의 뜨거운 관심에 힘을 입어 『옛 그림으로 본 조선 1-금강』, 『옛 그림으로 본 조선 2-강원』, 『옛 그림으로 본 조선 3- 경기· 충청· 전라· 경상』을 함께 출간하기에 이른다. ― 그가 펴낸 책은 무수히 많으나 그 가운데 몇 권을 꼽자면 『한국근대사회미술론』 , 『한국현대미술운동사』 ,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 『미술과 사회』 , 『화전』 , 『김복진:힘의 미학』 , 『이중섭 평전』 ,『미술사 입문자를 위한 대화』(공저), 『추사 김정희 평전』 , 『이중섭, 편지화』 등이 있다. ― 그동안 그의 저작들은 대한민국학술원, 문화예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우수도서로 선정되었고, 한국미술 저작상, 간행물문화대상, 월간미술대상, 정현웅연구기금 등을 받았다. 가장 최근에는 『옛 그림으로 본 서울』로 제4회 혜곡 최순우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한준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 졸업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교육과학 석사 및 철학박사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학생처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학장
펼치기
류상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95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로 한국과 동아시아 정치경제와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학부에서부터 한국현대사에 관심이 많았고 역사적 사실과 정치경제적 이론을 접목하는 것을 연구의 본령으로 여겨 왔다. 포항제철 성공 요인에 관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박태준 회장과 장시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박정희 시대에 관한 많은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관장으로서 전시실을 개관하고 사료를 발굴 보존하는 데 힘썼고, 이를 기초로 『김대중 연보 1924-2009』, 『김대중 저작목록집』, 『김대중전집 I』 등을 대표 집필하고 출간하였다. 아울러 40여 회에 걸친 인터뷰를 진행하여 〈김대중 구술사〉를 구축하였고 김대중에 관한 다수의 연구 결과를 출간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고, 이후 일본의 게이오대학과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롬비아대학(UBC) 그리고 토론토대학(UofT)에서 방문 교수를 지낸 바 있다. 박정희와 김대중에 관한 그의 대표적인 연구로는, “박정희 정권의 산업화전략 선택과 국제정치경제적 맥락”(한국정치학회보, 1996); “한국의 경제발전 궤적과 박정희모델”(선인, 2006); The Park Chung Hee Era(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공저); “1962년 박정희의 통화개혁과 한국의 민족주의”(현대정치연구, 2020); “Chaebol”(Oxford University Press, 2022); 『김대중과 한일관계』(연세대 출판문화원, 2012, 국·일문, 공저); 『김대중과 대중경제론』(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김대중과 한국야당사』(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日韓關係50年: 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立敎大學, 201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Yonsei University Press, 2015); “한국 민족주의의 두 가지 길: 박정희와 김대중의 연설문 텍스트 마이닝”(현대정치연구, 2021,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Paris 1 Panth?on-Sorbonne 대학교 박사 제19대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국제학술지 Geopolitics 편집위원 연세대 통일연구소장, 이승만연구원장 역임 [주요 논저]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및 ICAS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상을 받은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을 비롯 “Two Koreas in International History”, Northeast Asia and the Two Koreas(공저),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공저)』, 『한국외 교사와 국제정치학(공저)』, 『해방전후사의 인식(공저)』, 『한국사(공저, 국사편찬위원회)』, 『푸랜시스카 사진의 한국사 I』 등과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Issues and Studies, Korea Observer, Pacific Focus, 『韓國硏究論叢』 (復旦大學韓國硏究中心) 등에 게재한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이완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정치외교학 전공. 광복 이후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성공이나 실패로 보는 양극단의 시각을 지양하며 ‘성찰적 자부 사관’의 관점을 표방해온 저자는 100여 편이 넘는 논저를 저술하였으며, 대표 논저로는『카터시대의 남북한』(2017), 『한반도 분할의 역사』(2013), 『38선 획정의 진실』(2001), 『한국전쟁: 국제전적 조망』(2000), 『박정희와 한강의 기적: 1차 5개년계획과 무역입국』(2006), 『한국 해방 3년사: 1945~1948』(2007), 『해방전후사의 인식』 3·4·6(공저, 1987~1989) 등이 있다.
펼치기
김남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연구가. 1925년 충남 논산 출생.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통일부, 국제문제조사 연구소, 평화연구원 등에서 현대사와 통일 관련 연구활동을 했다. 지은책으로 <남로당 연구> <남로당 연구 자료집> <북한총감> <북한개요> <박헌영 노선 비판> <한국현대사 자료 총서> 등이 있다.
펼치기
정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교육학과 석사. 논문으로 '초기 한국 문교정책의 교육이념구성에 관한 연구'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결국 8.15 직후 한반도에서 제기된 반제민족해방과 반봉건민주주의라는 해결과제는 국제노선이나 소비에트 협력이라는 외적 변수에 더 크게 의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외적 변수가 끝내 "미·소 양국이 다 같이 승인할 수 있는 형태의 정권"을 보증할 수 없음은 당연한 것이었다. 민주주의의 가장 원론적인 의미가 절실했던 시기였다. 그것은 매우 평범한 결론으로 유도된다. 8.15 직후 한국사회에 뿌리를 내려야 할 민주주의는 당시의 국제정세를 고려하되 민중의 변혁열기를 자주적 방식으로 이룩하는 것이었다.

그러할 때 8.15 직후 새로운 민족 국가건설의 두 가지 가능성(민중적 길과 비민중적 길)을 놓고서 이 길이 민주주의적인 길인가를 더 이상 물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당시 민주주의혁명을 통하여 이룩되어야 할 자주적 민주국가의 건설은 우리사회의 구체성 속에서 창조되어야 할 보편적 이념의 구현인 것이다. - 3권 본문 64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