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88936511579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6-06-08
책 소개
목차
인사말
추천의 말
머리말
1장 목회자는 누구인가 _이상원
2장 목회자와 성도의 바른 관계 _송준인
3장 목회 윤리와 교회정치 _임성빈
4장 목회자의 경제생활 _신기형
5장 목회자와 성 윤리 _신원하
6장 목회자와 사회 활동 _이장형
7장 목회자 윤리 강령 28
부록
1. 교회 내 분쟁의 바람직한 해결 방안
2. 교회 재정,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교회의 진단과 개혁의 중심에는 목회자가 있다. 따라서 목회자는 누구이며, 목회자와 성도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며, 목회자의 정치·경제·사회 생활과 윤리는 어떠해야 하는지 탐구하는 것은 문제가 되고 있는 교회의 현실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교회의 미래 개혁 방향을 설정하는 데도 규범적 지평이 된다. _1장 ‘목회자는 누구인가’에서
오늘날 교회의 위기는 목회자와 성도와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목회자들마저도 세속주의적인 물신주의와 향락주의에 물들어 돈과 성 문제로 타락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이런 때일수록 목회자는 하나님 중심, 성경 중심, 교회 중심의 목회관을 가지고 성도들을 사랑으로 목회하고 말씀으로 양육하며, 교회의 순수성과 일치를 위해 헌신하여야 할 것이다.
_2장 ‘목회자와 성도의 바른 관계’에서
오늘날은 교인들의 교회에 대한 소속감이 약화되고, 교회들은 교단의 신학과 전통에 대한 자부심을 잃어버리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교단에 따른 차별적 정치 제도와 보편적 민주정치 사이를 조율해 가는 것은 한국 교회가 당면한 정치적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이제 교회는 전통적 정치 방식을 복고적인 태도로 고집할 것이 아니라 전통 안에 담겨 있는 성경적 원리와 정신, 신학적·역사적 원리들을 존중하면서도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하나님 나라 실현을 위한 회중들의 참여를 담보하는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_3장 ‘목회 윤리와 교회정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