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1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1

김광억, 서이종, 유근배, 이천표, 최정운, 유홍림, 김상균, 김청택, 이철희 (지은이), 김세균 (엮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1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2112958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12-01-30

책 소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이 2008년에 개최한 집담회 '현대사회과학 명저의 재발견 1'에서 발표한 내용을 발표자들이 직접 글을 수정, 보완한 것을 하나의 단행본으로 묶었다. 이 책의 명저들은 강의에서는 가장 많이 소개되고, 사회과학 전공자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야의 연구자나 학생들에게는 거의 소개되지 않던 현대의 주요사회과학 저서들이다.

목차

1. 성장의 한계 : 인류가 직면한 위기에 관한 로마클럽 보고서
The Limits to Growth: A Report for the Club of Rome’s Project on the Predicament of Mankind
Donella H. Meadows | Dennis L. Meadows | J?gen Randers | William W. Behrens
유근배

2.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판단: 휴리스틱과 편향들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Daniel Kahneman | Paul Slavic | Amos Tversky
김청택

3. 경제와 사회의 현대적 의미
Economy and Society
Max Weber
서이종

4. 해석으로서의 문화실천: 인간 주체성과 중층적 문화기술을 위한 해석인류학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Clifford Geertz
김광억

5. 보이는 손: 미국기업의 경영혁명
The Visible Hand: The Managerial Revolution in American Business
Alfred D. Chandler
이철희

6. 아이디어의 미래: 상호연결된 세계에서의 공유지의 운명
The Future of Ideas: The Fate of the Commons in a Connected World
Lawrence Lessig
이천표

7. 이타적 선물 주기: 혈연에서 사회정책으로
The Gift Relationship: From Human Blood to Social Policy
Richard M. Titmuss
김상균
8. 감시와 처벌의 현대적 의미
Surveiller et punir: Naissance de la prison
Michel Foucault
최정운

9. 정치적 자유주의
Political Liberalism
John Rawls
유홍림

저자소개

김광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졸업(독문학 및 인류학), 영국 옥스퍼드대학 석사 및 박사(사회인류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하버드대학·베이징대학 강좌교수,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중국산둥대학 특임일급교수. 한국과 중국의 사회와 문화 전공. 『혁명과 개혁 속의 중국 농민』, 『문화의 정치와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문화의 다학문적 접근』 등 많은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광억의 다른 책 >
서이종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베를린자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과학사/철학 협동과정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전공분야는 과학기술사회학으로 의생명기술과 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과학사회논쟁과 한국사회(2005), 학문후속세대를 위한 연구윤리(2013) 등이 있으며 “Dr. Hwang Scandal from the Viewpoint of Politics of Science”(2009), “미국 터스키기 매독연구의 생명윤리 논란과 그 영향”(2009), “막스 베버의 사회학과 비인간들”(2011) “일본제국군의 세균전 과정에서 731부대의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의의”(2014), “만주의 ‘벌거벗은 생명’과 731부대의 특설감옥 생체실험의 희생자”(2014) 등이 있다. yjsuh@snu.ac.kr
펼치기
유근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을 거쳐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 회과학대학 부학장,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장, IGU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한국 GIS학회 회장, 국토지리학회 회장, 환경부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재난재해지원과학기술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국토해양부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위원, 측량 및 수로조사분과 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연안공간학회장 등을 지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의 해안습지 연구』, 『한국 서해안의 해안사구: 지형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의 하구역: 하구둑 건설 이후의 지형변화』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천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사, 경제학 석사를 마치고 미국 브라운대학교(Brown University)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경제학 조교수, 한국개발연구원 수석 연구원이었으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미국 버클레이 information school의 객원 교수였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33년을 근무하였고,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 교수이자 비전업 공인회계사이고, 국제경제학회 및 금융ICT학회 회원이다.
펼치기
최정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거쳐 시카고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오랫동안 서양 정치사상을 연구하면서 정작 우리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한국 근현대 사상사의 부재를 깨닫고 이를 발굴, 정립하는 연구에 매진해왔다. 전작 『한국인의 탄생』과 이 책 『한국인의 발견』은 그러한 지적 여정의 결과물이다. 지은 책으로 『한국인의 탄생』(2013년) 『오월의 사회과학』(1999년), 『지식국가론』(1992년)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푸코의 눈: 현상학 비판과 고고학의 출발」, 「새로운 부르주아의 탄생: 로빈슨 크루소의 고독의 근대사상적 의미」, 「개념사: 서구 권력의 도입」, 「국제정치에 있어서 문화의 의미」, 「권력의 반지: 권력담론으로서의 바그너의 반지 오페라」 등이 있다.
펼치기
유홍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및 대학원을 거쳐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옌칭연구소 및 럿거스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정치학회 및 한국정치사상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주간 및 기록관장을 맡고 있다. 『현대 정치사상 연구』, 『정치학의 이해』(공저), 『현대 정치와 사상』(역서)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김상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애버딘대학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보장제도 연구를 전공하였고 특히 연금제도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Combatting Poverty(공저) 등이 있고 현재 <국민연금의 역설>이란 제목의 책을 집필중이다.
펼치기
김청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계량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및 인지과학협동과정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사연구학회 회장,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이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경제학 교수,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미국 UCLA 방문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경제학회 청람상을 수상했으며, 2001년 이후 현재까지 미국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의 연구원(research economist)과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프로젝트의 책임연구원(project leader)으로 활동하고 있다. 건강, 은퇴, 인구고령화 등의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20여 편의 국제학술지 논문을 포함하여 총 5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고령노동: 경제활동과 고용구조의 장기적 변화』가 있다.
펼치기
김세균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 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자유 베를린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서울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복무했고, 재직 시 서울 대학교 한국 정치 연구소 소장, 서울 대학교 여성 연구소 소장, 서울 대학교 사회 과학 연구원 원장을 맡았다. 관심 분야는 정치 이론, 정치 사상, 국가론, 계급 정치와 대중 운동론 등이다. 박사 논문은 「일반 이론 수준에서 본 자본주의국가 운동」이고, 단독 저서로는 『한국민주주의와 노동자-민중정치』, 공저로는 『사상이 필요하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성장의 한계>는 지구환경문제의 저작에서 예외없이 중요한 논거로, 혹은 환경논의의 획기적인 이정표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구체제를 전일적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접근한 최초의 연구였다.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판단>은 1970년대 초반까지의 기술적 접근법에 의한 판단과 의사결정의 연구들을 집약적으로 수집, 정리하여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여기에 제시된 논문들이 그 당시의 연구들을 충분히 대표할 수 있도록 표집되었는지는 다소 의문스럽다. 전체 논문의 3분의 1이 카네만과 트버스키에 의하여 저술되었고 대부분이 논문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지지하여 주기 때문이다. 사실 이 당시에는 카네만과 트버스키의 이론에 대한 강한 비판이 있던 시기는 아니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편중되어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경제와 사회>는 현대사회에서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형태로 재발견되고 재검토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사호이론가들은 대부분 베버의 이론을 검토하면서 그에 의존하면서 이론을 발전시켜 나갔다. 부르디외는 맑스, 베버 뒤르켕에 대한 이론적 검토에서 출발하여 자신의 이론을 전개하였고 기든스도 맑스와 베버의 자본주의 발생과정, 베버와 뒤르켕의 구조와 행위이론을 검토하면서 구조화이론을 발전시켰으면,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은 베버의 사회적 행위의 합리화에 압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1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