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8896735062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3-08-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전에
각 강의의 구성과 요약
1강 ‘배제된 자들의 민주주의’에 관한 단상·홍세화
그 무덤에 햇살이? | 빼앗긴 ‘붉은 깃발’ | 열정과 허무 사이 | 새로운 자본주의 정신 |
‘고도’는 내일도 오지 않을 것이다 | 배제된 자들의 민주주의
2강 한국의 민주주의를 다시 생각한다·손호철
민주주의의 상태를 묻다 | 한국 민주화운동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민주화를 읽는 방법 | 한국 민주화 연구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3강 신자유주의를 넘어 문화사회로 가는 길·강내희
굳건했던 신자유주의가 흔들리고 있다 | 신자유주의 지배 속에 사회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 부채경제라는 사회적 후유증 | 금융파생상품이란 무엇인가 | 현대인의 삶에 깊숙이 파고든 파생상품의 논리 | 미래할인 관행의 확산과 기획금융 | 신자유주의가 이끈 ‘문화의 경제화’ | 차입의존형 삶의 방식이 확산되다 | 신자유주의적 주체 형성과 인구정책의 관계 | 문화사회를 향하여
4강 사회변혁을 위한 역사 읽기: 역사의 반복과 정치적 리듬 분석·심광현
폭발성 패턴이란 무엇인가 | 아리기의 시각에서 본 역사의 패턴 | 러시아혁명의 재구성: 레닌이라는 감독을 만나다 | 저항의 시간을 준비하며: 정치적 리듬 분석의 전망
5강 신보수정권 시대, 민주주의 좌파의 길을 모색하다·조희연
초자본주의적 입장에서 민주주의론의 가능성을 묻다 | 군부 독재에서 복합적 자본 독재의 시대로 | 근대사회에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적 변혁주의’ | ‘87년 체제’ 아래 벌어진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전쟁 | 신자유주의적 역사블록의 형성과 내부의 불안정 | ‘포스트-민주화’ 체제로의 이행과 민주주의 좌파의 새로운 도전
6강 한국 진보정치의 회생을 위한 제언·김세균
세계자본주의는 위기에 접어들고 있다 | 민중·노동자의 저항이 들불처럼 번지다 | 한국의 정치 지형과 진보정치 | 한국 진보정치의 미래, 어떻게 개척할 것인가 | 낡은 것과의 결별을 촉구한다
7강 과학자본주의 시대, 통합적 합리성이 필요하다·우희종
생명이란 무엇인가 |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과학의 의미 | 합리성의 회복과 확장을 위하여 | ‘과학주의’를 넘어 그물눈 주체 되기
8강 원효와 마르크스의 대화, 신자유주의의 대안이 되다·이도흠
신자유주의가 망쳐버린 것들 | 상품-화폐 관계의 왜곡과 불교와 마르크스주의의 동몽이상 | 상품-화폐 관계의 현정과 화쟁의 정치경제학의 조건 | 생태경제학, 자연과 인간의 화쟁을 꿈꾸다 | 불교 공동체의 사회경제학 | ‘화쟁의 사회경제학’으로 신자유주의를 극복하자
9강 녹색당이 이 시대를 읽는 방법·하승수
세계, 녹색당을 주목하다 | 녹색당이 바라보는 지금의 지구, 지금의 한국 | 녹색당이 구상하는 세계: 녹색전환이 필요하다 | 한국녹색당의 미래를 공유합니다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