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한을 파견하다

북한을 파견하다

이철수, 이다혜, 이애리아, 이창호, 방일권, 박수성, 렘코 브뢰커, 윤애림 (지은이), 강민주 (옮긴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1,200원
22,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한을 파견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을 파견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52129116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9-09-15

책 소개

연구진은 정보 수집 및 접근의 어려움을 비롯한 학술 연구 여건상의 제약을 뚫고 북한 해외노동자들의 삶과 노동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려 노력했으며, 이들의 존재가 통일을 향한 과정에 어떠한 법제도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목차

감사의 글

제1장 북한 해외노동자는 누구인가? ―기초적 사실 및 연구의 필요성
1. 북한 해외노동자 연구의 배경, 대상 및 목적
2. 북한 해외노동자의 규모 및 파견 방식
3. 주요 파견 국가 개관: 파견 배경과 업종
4. 북한 해외노동자의 현실: 근로조건 및 환경
5. 본서의 주요 내용

제2장 러시아 연해주 및 사할린 지역의 북한 노동자
1. 서론
2. 1940년대 사할린 파견 북한 노동자의 삶과 문화
3. 연해주 및 사할린 지역 북한 노동자의 삶과 문화
4. 결론

제3장 EU의 북한 해외노동자 ―법의 준수와 집행의 중요성
1. 서론
2. 북한의 해외파견노동: 일반적 분석
3. 근로감독의 역할: 그 역량과 한계
4. EU 내 이주노동자로서의 북한 노동자
5. 하청계약 확산구조에 예속된 북한 해외노동자
6. ILO 감독 메커니즘
7. 책임 및 사법접근권
8. 결론

제4장 이주노동의 관점에서 본 북한 해외노동자
1. 들어가며
2. ‘강제노동’ 접근법의 의의와 한계
3. ‘이주노동’의 접근법
4. 북한 해외노동자 인권 보장: 권리의 주체와 의무의 주체
5. 소결

제5장 종합 및 전망 ―법제도적 해결방안의 모색
1. 논의의 종합: 북한 해외노동자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
2. 북한 해외노동자에 대한 법적·제도적 접근
3. 향후 과제 및 전망

참고문헌

저자소개

방일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이다. 러시아학술원 역사연구소 역사학 박사이며, 역서로 유리 로트만의 『러시아 문화에 관한 담론』 1, 2(공역, 2011),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집 1_문서 번역집』(공역, 2020), 『태평양전쟁사』 1, 2(공역, 2017, 2019), 『한국전쟁의 거짓말』(공역, 2018)이 있으며, 저서로는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공저, 2018), 『제국과 국민국가』(공저, 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 이동』(공저,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윤애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용복지센터 연구위원(법학박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사회보장법], [노사관계법], [사회법의 쟁점](대학원) 강의 담당 (전)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임대우 강의교수
펼치기
이철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약 30년간 노동법 교수로 봉직하였다.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한국노동법학회,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 기획처장 및 발전기금 상임이사 등으로 우리 사회와 대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저서로는 노동법(2023), 노동의 미래(2020), 영혼 있는 노동(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창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이주민의 건강·의료에 대한 학제 간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 화교, 재외동포를 포함한 이주민 및 다문화사회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재단법인 무지개청소년센터 부소장,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 및 저서로 「연해주 지역 북한 노동자의 실태와 인권」, 「러시아 사할린 지역의 북한 노동자」, 「러시아 모스크바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의 북한 노동자」,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문화정책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의 다문화 공간』, 『글로벌시대의 문화인류학』, 『동아시아 관광의 상호시선』, 『20세기 동아시아화교의 지속과 변화』, 『향수 속의 한국 사회』,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 등이 있다.
펼치기
이다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사, 고용복지법센터 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며 노동법을 강의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부, 한동국제법률대학원 졸업 후 미국 변호사로 활동하였으며, 하버드 로스쿨에서 교환학생으로 수학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시민권과 이주노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글래스고 법과대학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으며, 이철수 교수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노동법의 새로운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돌봄노동, 이주노동, 인공지능, 기본소득 등 노동의 미래 담론을 주요 관심사로 하여 연구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공유경제와 고용관계」, 「기본소득에 대한 노동법적 고찰」, 「4차 산업혁명과 여성의 노동」, 『영혼 있는 노동: 한국의 노동법과 일의 미래』 등이 있다.
펼치기
렘코 브뢰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라이덴대학교 한국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중세역사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는 인권 및 탈북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북한 현대사에 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케임브리지 한국사: 중세편』의 편집자이며,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Forging the truth: Creative deception and national identity in medieval Korea”(2009), 『Establishing a pluralist society in medieval Korea, 918-1170: History, ideology and identity in the Kory? dynasty』(2010), 공동저서로 『고려 역사상의 탐색: 국가체계에서 가족과 삶의 문제까지』(2017) 등이 있다. 네덜란드어로 집필한 북한 관련 저서 『North Korea, Inc.』(2018)는 2009년 리브리스(Libris)상 ‘최고의 역사서’ 부문 후보에 올랐다. 임꺼 판 할딩엔과의 공동 저술 및 편집으로 『Slaves to the system: North Korean forced labour in the European Union, the Polish case, or how the supply of a captive DPRK workforce fits our demand for cheap labour』(2016),?『People for profit: North Korean forced labour on a global scale』(2018),?Pervasive, punitive, and prevalent: Understanding modern slavery in North Korea(2018),?『Tightening belts: Two regional case studi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2019) 등을 냈다.
펼치기
이애리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 속 일본 와세다대학교 지역?지역 간 연구기구 교수 학 력 교토대학교 인간?환경학 박사 논 저 『러시아 모스크바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의 북한 노동자』(공저, 2018), 러시 아 사할린 지역의 북한 노동자』(공저, 2017), 『The Reality and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Workers in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공저, 2016), 『연해주 지역 북한 노동자의 실태와 인권』(공저, 2015), 『さらば愛しい平?』(편역, 2012) 등
펼치기
박수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북한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에 재직하면서 북한 인물 및 정세 분석, 경제참관단 방북 등 북한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2014년부터 이애리아 교수 연구 팀으로 북한이탈주민 면담, 러시아 지역 현지 조사 등을 수행하며 「러시아 모스크바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의 북한 노동자」, 「러시아 사할린 지역의 북한 노동자」, 「연해주 지역 북한 노동자의 실태와 인권」 발간에 참여했다. 석사학위논문 「주요 일간지 북한 관련 웹사이트의 정보운용체계 비교 연구」가 있다.
펼치기
강민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용복지법센터와 공익인권법센터의 연구원이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박사과정에서 노동법과 인권법을 전공하고 있다. 홍익대학교 자율전공학부에서 법학과 영문학 학사학위를 받은 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협동과정에서 비교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스위스 제네바대학교에서 교환연구생으로 수학하였다. 북중접경지역에서의 체류와 북한 해외노동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통일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후 “Writing as Righting: Human Rights, Arendtian Action and North Korean Refugee Life Writings”라는 논문으로 비교문학 석사학위를 받고,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에서 전문위원, 객원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현재 초국경 상황과 체제전환기 시장통합 과정에서의 노동권 보호에 관심을 두고 ‘기업과 인권’을 주제로 박사학위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현재까지 북한 해외노동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국가는 러시아, 중국, 몽골,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앙골라, 말레이시아, 오만, 리비아, 나이지리아, 알제리, 적도기니, 에티오피아, 폴란드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스트리아, 독일 등 유럽연합(EU) 회원국가들에서도 북한 해외노동자의 존재가 파악되고 있다. 이들이 벌어들이는 소위 ‘외화벌이’ 수입은 UN 보고서에 의하면 12~23억 달러로 추산되는데, 일각에서는 이 수치가 과장되었다고 지적하며 연간 수억 달러 정도로 보기도 한다.


타국 출신 노동자에 비해 근면하다는 점도 있으나 북한 노동자가 선호되는 또 다른 이유는 집수리 등과 관련된 계약이 일당제가 아니라 도급제로 계산되기 때문이며 이 경우 북한 노동자가 여타 다른 노동자들에 비해 좀 더 유리한 입장에 있다. 예를 들어, 집수리 공사 최소 비용이 10만 루블(약 1,870달러, 2014년 10월 기준)일 경우 러시아 노동자들은 공사기간 한 달에 20만 루블을 청구하는 반면 북한 노동자들은 보름 동안 10만 루블에 일을 끝낼 수 있다고 제안한다. 러시아 노동자들은 정시에 출근하고 6시에 퇴근하며, 중간에 휴식시간도 갖지만 북한 노동자는 아침부터 밤 10~12시까지 쉬지 않고 일하며, 심지어 작업장에서 숙식까지 하면서 공사기간을 단축한다. 이렇게 해서 남은 15일 동안 새로운 일거리를 맡을 수 있게 된다.


최근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스마트폰’이다. 북한 노동자들에게 허용된 전화는 오로지 중국산 구식 핸드폰으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제품이다. 그러나 북한 노동자들은 따로 일감을 얻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스마트폰을 쓰다 보면 일감에 관련된 것 외에 인터넷을 검색할 기회가 생긴다. 2009년쯤부터 사할린 북한 노동자들 사이에 스마트폰이 유행하기 시작해,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이를 가지고 있다. (…) 이렇게 검열에 걸렸을 경우에 노동자들은 “얼떨결에 눌렀는데 그렇게 됐다”는 식으로 변명하지만 관리자들은 대개 인정하지 않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