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전쟁의 거짓말

한국전쟁의 거짓말

(스탈린, 마오쩌둥, 김일성의 불편한 동맹)

천젠, 캐스린 웨더스비, 션즈화, 밀턴 라이텐버그 (지은이), 아르고(ARGO)인문사회연구소, 오일환, 이연식, 방일권 (옮긴이)
채륜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전쟁의 거짓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전쟁의 거짓말 (스탈린, 마오쩌둥, 김일성의 불편한 동맹)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8609688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8-11-20

책 소개

전쟁과 평화 학술총서 3-1권. 단순한 진영논리에 가려진 거짓말들을 하나씩 해부하고자 한다. 거꾸로 동맹간의 갈등이 적대 진영과의 대립보다 얼마나 깊은 진폭의 상흔들을 남기고, 그 상처는 두고두고 변형된 형태로 '관계'를 일그러뜨리는지 적나라하게 역사의 실체를 재조망하고자 한다.

목차

옮긴이의 말

1장 중소동맹과 중국의 한국전쟁 개입_천젠(Chen Jian)

2장 “무엇이 두려운가?” 스탈린의 대미 전쟁 위험 감수
_캐스린 웨더스비(Kathryn Weathersby)

부록문서
[문서 No. 1]
- 슈티코프가 스탈린에게 보낸 전문(1949년 4월)
[문서 No. 2]
- 소비에트연방 내각위원회 결의문

3장 한국전쟁기 중국과 북한의 갈등과 해소_션즈화(沈志華)

4장 한국전쟁기 미국의 생물학무기 사용에 관한 중국 측의 거짓 의혹 제기
_밀턴 라이텐버그(Milton Leitenberg)

뒤늦게 공개된 한국전쟁의 거짓말을 뒷받침하는 문서들

[문서 No. 2]
- 한국전선에서 세균에 감염된 곤충을 살포한 사실을 발견했다는 보고에 관한 지시(1952년 2월 19일)

[문서 No. 11]
- 세균전 방역상황 보고에 관한 지시

[문서 No. 15]
- 키로프(S.M. Kirov)군사의료아카데미 학생 겸 의무대 중위로서 북한 인민군 군사의무대 고문으로 파견되었던 셀리바노프(Selivanov)가 L.P. 베리야에게 보내는 설명문

[문서 No. 23]
- 마오쩌둥과의 면담 결과에 관해 북경주재 소련대사 V.V. 쿠즈네초프가 V.M. 몰로토프에게 보낸 전문

[문서 No. 24]
-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당 기율위원회 위원장인 슈키리아토프가 G.M. 말렌코프에게 보낸 비망록, 북한 사회안전성과 내무성에 고문으로 파견되었던 글루호프(Glukhov)와 스미르노프(Smirnov) 동지의 보고서와 관련된 S.D. 이그나티예프(Ignatiev) 전 국가안전부 장관의 행동에 관한 당의 조사 결과

[문서 No. 25]
- 북한주재 대리대사 S.P. 수즈달레프가 V.M. 몰로토프에게 보낸 전문

[문서 No. 27]
- 세균전 참전 미군 포로의 자백 공개 계획(1953년 11월 8일)

[문서 No. 28]
- 티버 머레이(Tibor M?ray), “세균전에 관한 진실” 연재기사(1957년 5월 6일~19일)

[문서 No. 30]
- 중국인민지원군 위생부장 우쯔리(吳之理)의 글
[문서 No. 31]
- 티버 머레이(Tibor M?ray), “세균전-기억과 회상”

저자소개

션즈화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상해 화동사범대학 역사학과 종신교수이며, 국제냉전사와 한국전쟁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자이다. 주요 연구업적으로는 『최후의 천조: 모택동 김일성과 중조관계(最後的天朝: 毛澤東, 金日成與中朝關系(1945–1976)』(中文大學出版社, 2017), 『모택동, 스탈린과 조선전쟁(毛澤東, 斯大林與朝鮮戰爭)』(廣東人民出版社, 2013), 『After Leaning to One Side: China and Its Allies in the Cold War』(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 『A Misunderstood Friendship: Mao Zedong, Kim Il-sung, and Sino–North Korean Relations, 1949–1976』(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을 비롯한 약 20여 권의 저서가 있으며, Diplomatic History, Cold War History를 비롯한 영어권 및 한국, 일본, 러시아의 주요 학술저널에 약 10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캐스린 웨더스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SAIS) 교수로 1990년대 초 러시아 외교부와 구 소련공산당, 국방부 등의 기밀문서와 한국전쟁 관련 문서들을 발굴하고 연구했다. 20여 년 간 미국 우드로윌슨센터에서 ‘세계냉전사 프로젝트(CWIHP)’의 한국전쟁 연구책임자로 일했다. 고려대 등 국내 대학과 미국을 오가며 활동 중이다.
펼치기
밀턴 라이텐버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자이자 군축문제 전문가로서 오랫동안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에서 활동했다. 이후 코넬대, 메릴랜드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전술핵무기와 생물학무기 통제에 관한 연구의 세계적인 전문가이다. 주요 저서로 〈The Soviet Biological Weapons Program: A History(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천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코넬대학 역사학과 교수로 미국과 중국의 관계사, 중국을 둘러싼 세계냉전사 전문이며 미국과 중국을 오가며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Mao’s China and the Cold War(Chapel Hill, NC: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1)〉 등이 있다.
펼치기
방일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이다. 러시아학술원 역사연구소 역사학 박사이며, 역서로 유리 로트만의 『러시아 문화에 관한 담론』 1, 2(공역, 2011),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집 1_문서 번역집』(공역, 2020), 『태평양전쟁사』 1, 2(공역, 2017, 2019), 『한국전쟁의 거짓말』(공역, 2018)이 있으며, 저서로는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공저, 2018), 『제국과 국민국가』(공저, 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 이동』(공저,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이연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일본 소피아대(上智大, 蘭科硏) 및 유럽 대학 연합 국제공동연구단 학술연구기금 교수로서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 인구이동을 연구하고 있다. 주로 유럽제국과 일본제국 붕괴 후 본국인의 귀환 과정, 재산 처리와 법적 지위, 인구 유입으로 인한 사회문제를 비교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정착지를 찾지 못한 실향민(Displaced Person), 국제난민(International Refugee), 냉전기의 반체제 이탈 주민, 그리고 사람의 집단 이동에 따른 물자와 문화 전파 현상을 공부하고 있다. 1993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근현대사와 한일관계사를 전공했다. 1999년 일본 문부성 국비장학생으로 국립도쿄가쿠게이대학교(國立東京學藝大學) 일본연구과에 유학하였다. 2002년 교육인적자원부 산하 한일역사공동위원회 현대사분과 조교, 2003년 국무총리실 산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연구위원, 2008년 서울시사편찬위원회(현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대학원과 일반대학원,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시민대학 등에서 한국현대사, 국제교류사, 서울지역사 등을 강의했다. 2013년 일본 소피아대의 '일본제국 내 인구이동' 공동 연구에 참여한 이래 2021년부터는 옥스포드, 하이델베르크, 베네치아, 루뱅, 야기엘론스키 대학의 연구자들로 구성된 유럽 대학 국제공동연구단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전후 인구이동을 비교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한국, 일본, 타이완에서 출간된 『조선을 떠나며』(역사비평사, 2012)와 일본제국 붕괴 후의 인구이동을 다룬 蘭信三 外, 『引揚ㆍ追放ㆍ殘留』(名古屋大學出版會, 2019, 공저)가 있다. 그 밖에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사할린한인 문제와 한러일 3국 관계』(채륜, 2018, 공저) 등 약 50여 편의 전후 인구이동 관련 논문과 저서, 한일 정부 및 유네스코·유엔난민기구의 조사 연구 보고서 등이 있다.
펼치기
아르고(ARGO)인문사회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간 중심의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모토로 역사학, 국제정치학, 사회학, 교육학, 일본사, 중국정치, 중앙아시아, 사할린·연해주, 미술사, 음악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이 모인 연구소이다.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과 러시아, 중국, 유럽 등 여러 지역의 연구자들과 네트워크를 통한 연구를 진행하며, 모든 학문의 인문학적 해석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융복합적 콘텐츠 만들기에 몰두하고 있다. 태평양전쟁을 시작으로 한국전쟁과 사할린한인 문제 등 ‘전쟁과 평화 학술총서’를 통해 ‘평화’의 문제를 제기하는 한편, ‘클래식의 정치사회사’, ‘세계문화유산 다시보기 투어’, ‘미래사회와 교육’ 등 ‘인문학 총서’를 기획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전쟁 발발 직후 한 달 동안 스탈린이 보여준 전쟁관리의 모습을 재구성해보면 ‘신중한 독재자’의 기회주의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그는 한반도 상황에 관해 검토할 때 어떤 경우에도 미국과 직접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 갈등을 용납하지 않았다. 마오쩌둥에게는 미국과의 전쟁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지만, 스탈린의 격려는 동맹으로서 중국이 개입하더라도 세계대전으로 번질 위험은 없다고 판단한 스탈린이 ‘마오쩌둥을 꼬드기기 위한 허세’였다고 볼 수 있다.


동무는 사람들의 목숨을 가지고 도박을 하고 있는데, 이러다가는 전쟁이 재앙이 될 것이오. 인민지원군은 재정비와 재보급을 하는 데 꼬박 두 달이 걸리고, 또는 세 달이 걸릴 수도 있소. 충분히 준비가 되지 않는 한 단 1개 사단도 남진할 수 없소. 나는 동무가 적을 오판하여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 것에 절대 반대하오. 내가 태만하다고 생각하면 나를 경질하거나 군법회의에 회부하시오. 그렇지 않다면 나를 죽이시오.
중국 인민지원군사령관 펑더화이가 한국전쟁 중 김일성에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