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미술가

한국의 미술가

(인물로 보는 한국미술사)

김영나, 박은순, 변영섭, 안휘준, 이내옥, 진준현, 정형민, 이예성, 박정혜, 정영목, 이선옥, 김정희 (지은이)
사회평론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미술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미술가 (인물로 보는 한국미술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56025834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06-02-01

책 소개

한국미술사의 대표 거장 13인의 삶과 예술을 소개하는 책이다. 서울대박물관에서 진행했던 '수요교양강좌'의 내용을 엮어 펴냈다.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까지 각 시기를 대표하는 미술가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가들의 삶과 작품세계를 안내하고, 이를 통해 한국 미술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목차

<한국의 미술가>를 펴내며

현동자 안견 - 한국적 산수화풍을 창출한 조선의 대표 화가
1. 한 점의 그림으로 조선을 대표하다
2. 잃어버린 생애를 찾아서
3. '몽유도원도' : 꿈속에서 노닌 복숭아밭을 그리다
4. 안견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작품들
5.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은 안견의 화풍

이징과 김명국 - 옛것을 따르느냐 마음으로 그리느냐
1.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두 화원
2. 이징, 종실 출신으로 화원이 되다
3. 왕실과 사대부들이 애호한 이징의 예술
4. 김명국, 술에 취해 붓을 휘두르다
5. 거칠고 자유분방한 김명국의 예술
6. 보수와 파격, 엇갈리는 평가

공재 윤두서 - 고뇌와 좌절 속에서 피워낸 선구적 예술세계
1. 조선 후기 회화의 개척자
2. 당쟁의 회오리 속에서도 학문에 힘쓰다
3. 폭넓은 학문은 폭넓은 예술을 낳고
4. "옛 그림을 배우려면 공재로부터 시작하라"
5. 시대를 한발 앞서 간 지식인의 비애

겸재 정선 - 조선의 산수, 눈으로 보고 가슴으로 그린다
1. 화폭에 담은 선비화가의 삶
2. 백악산 아래에서 조선을 그리다
3. 문화의 새 물결, 그 중심에 서다
4. 조선 산수화의 새 지평을 열다

현재 심사정 - 뼈아픈 고독이 걸작의 뼈대가 되어
1. "나라 안에서 제일"인 문인화가
2. 힘겨운 삶을 그림에 의지하고
3. 모방 속에서 창조해낸 조선남종화
4. 하루도 쉬지 않고 그린 그림들
5. 불운의 화가가 남긴 것들

표암 강세황 - 속세의 때를 벗은 문인화를 그리리라
1. 시.서.화에 뛰어난 '예원의 총수'
2. 삶이 곧 예술, 예술이 곧 삶
3. 당대 최고의 평론가로 이름을 날리다
4. 평생에 걸쳐 문인화가의 길을 걷다
5. 세속에 매이지 않은 예술의 경지

단원 김홍도 - 조선의 다양한 얼굴을 그려낸 천재적 국민화가
1. 문예부흥 시대의 중심에 선 화가
2. 중인 출신의 화원에서 진정한 예술가로
3. 사실적인 더욱더 사실적인 산수화
4. 조선인의 얼굴을 화폭에 담다
5. "단원은 못 그리는 것이 없다"
6. 천재화가가 탄생하기까지

우봉 조희룡 - 글씨와 그림은 가슴속이 아니라 손끝에 있나니
1. 19세기 화단을 꽃피운 화가
2. 변화와 개혁의 중심에 선 '묵장의 영수'
3. "나는 누구에게도 속한 바가 없다"
4. 자유과 파격의 예술세계

금암당 천여 - 붓으로 그리고 마음으로 완성한 깨달음의 세계
1. 불화를 그리는 승려, 화승
2. 불사와 수행이 하나가 되어
3. "팔도총림의 불사에 응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4. 불화의 맥을 이어나가다
5. 19세기 전라도를 대표하는 화승

근원 김용준 - 격동의 시대를 껴안은 전인적 예술가의 초상
1. 식민지와 분단 시대의 대표 지성
2. 시대 속에서 미술을 바라보다
3. 빼어난 지성으로 화단을 논하다
4. 전통을 근대적으로 해석한 그림들

수화 김환기 - 동양적 서정을 탐구한 서양화가의 1세대
1. 근대 화단을 대표하는 작가
2. 동경유학 : 추상회화를 실험하다
3. 해방 ~ 파리 시기 : 한국적 정체성을 추구하다
4. 뉴욕 시기 : 만년에 성취한 우주적 질서와 화음
5. "나는 외롭지 않다. 나는 별들과 함께 있기에."

장욱진 - 동화적이고 이상적인 세계를 꿈꾼 진정성의 화가
1. 신화 속의 인물
2. 가슴에 품은 이상세계를 캔버스에 펼치다
3. 삶과 작품이 하나 된 진정성의 작가

도판 목록
필자 소개

저자소개

김영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전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뮬렌버그 대학을 졸업하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덕성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도쿄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서양미술사학회,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미술사교육연구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 서울대학교박물관 관장을 역임하는 한편,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을 이끌며 연구, 전시, 교육 분야에서 박물관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저서로 《한국의 미술들: 개항에서 해방까지》 《김영나의 서양미술사 100》 《20세기의 한국미술》 《서양 현대미술의 기원》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Tradition, Modernity and Identity》 《韓國近代美術の100年》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은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전공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미술사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덕성여대 박물관장과 차미리사교양대학장 역임.   미국 스토니부룩 소재 뉴욕 주립대학교 강사 및 연구원, 일본 동경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외국인연구원, 세조(成城)대학교 대학원 초빙교수, 사단법인 온지학회 회장,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총무이사, 역사학회 평의회 이사,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동산분과 문화재위원회 위원,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인천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위원, 교육과학부 인문사회학술 정책위원회 위원, 서울시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위원, 국립여성사박물관 자문위원, 인천 아트플랫폼 운영위원회 위원, 인천문화재단 우현상 운영위원회 위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집위원, 국토정보지리원 지도박물관 유물구입자문위원회 위원, 국회도서관 유물구입 평가위원 등.   저서로는 『金剛山圖 연구』, 『조선후기 선비그림의 선구자 공재 윤두서』, 『조선후기의 선비그림 儒畵』, 『이렇게 아름다운 우리 그림』, 『정선:진경산수화를 완성한 화가』, 『금강산 일만 이천봉』 등이 있고, 공저로는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한국지도학발달사』, 『왜관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표암 강세황: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외 다수 있음.
펼치기
변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서울시ㆍ충청북도ㆍ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제7대 문화재청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1991년부터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표암 강세황 회화연구』(일지사, 1988), 『화안?동기창의 화론』(시공사, 2003)(공역), 『한국미술사』(문예출판사, 2006)(공저), 『미술사, 자료와 해석』(일지사, 2008)(공저), 『표암유고』(지식산업사, 2010)(공역), 『중국미술상징사전』(고려대학교출판부, 2011)(공역), 『문인화, 그 이상과 보편성: 21세기 문인화의 가치에 새로이 눈뜨다』(허원미디어, 2013) 등이 있다. 인간ㆍ문화ㆍ예술ㆍ미술ㆍ그림이란 무엇인가를 학문의 화두로 삼으며, 동아시아 문인화의 보편성과 한국성에 관심을 가지고 천착해 왔다. 「화론의 초기양상과 한국성」(민족문화연구, 1997), 「조선 전기 화론 이해의 몇 가지 문제」(민족문화연구, 1999), 「문화의 시대 그림읽기[讀?]와 여백(餘白)」(史叢, 2012), 「문화의 시대에 다시 읽는 강세황」(표암 강세황 탄신 300주년 특별전, 2013) 외 논문이 여럿 있다.
펼치기
안휘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문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수학 전(前)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박물관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물관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대 예술연구실장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대표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체육부 학예사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장 상훈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간행물윤리상(저작 부문), 위암 장지연상(한국학 부문),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문화유산상(학술 부문), 옥조근정훈장, 안견미술문화대상, 세종문화상(학술 부문), 용재학술상, 효령상(문화 부문),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 부문) 주요 저서 『한국회화사』(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문예출판사, 1988), 『옛 궁궐그림』(대원사, 1997), 『한국회화의 이해』(시공사, 2000), 『한국회화사 연구』(시공사, 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시공사, 2000), 『한국미술의 역사』(시공사, 2003)(공저), 『고구려 회화』(효형출판, 2007), 『미술사로 본 한국의 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미술의 美』(효형출판, 2008)(공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사회평론, 2009),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학고재, 2009)(공편), 『청출어람의 한국미술』(사회평론, 2010), 『한국 그림의 전통』(사회평론, 2012),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12), 『한국 고분벽화 연구』(사회평론, 2013),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사회평론, 2015), 『한국의 해외문화재』(사회평론, 2016), 『한국 회화의 4대가』(사회평론, 2019),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사회평론, 2022),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22) 등
펼치기
이내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전남 광주에서 태어났다. 전남대학교 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수료하고,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공재 윤두서의 학문과 예술」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십사 년간 국립박물관에서 근무하면서, 진주·청주·부여·대구·춘천의 국립박물관장과,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장 및 아시아부장을 지냈다. 한국미술사 연구와 박물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인 최초로 미국 아시아파운데이션 아시아미술 펠로십을 수상했다. 대표 저서로 『공재 윤두서』 『백제미의 발견』 『안목의 성장』이 있고, 주요 기획서로 『사찰꽃살문』(한국의 아름다운 책 100 선정), 『백제』(코리아 디자인 어워드 그래픽 부문 대상 수상), 『부처님의 손』(서울인쇄문화대상 수상)이 있다.
펼치기
진준현 (감수)    정보 더보기
한국미술사 전공.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미술사학회 이사를 지냈으며,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관으로 30여 년간 재직하다가 2017년 말 퇴임하였다. 퇴임 후에도 한국미술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를 왕성하게 연구하는 한편, 서울시 문화재위원으로 자문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단원 김홍도 연구』, 『우리 땅 진경산수』, 「오원 장승업의 생애」, 「민중의 꿈, 민화 금강산도의 양식계보」, 「조선시대 회화에 보이는 여성풍속」, 「민화 효제문자도의 기원에 대하여」, 「조선시대 판화와 관련 화가에 대한 일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정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웰즐리 대학(Wellesley College)에서 서양미술사를 전공하고, 미시간 대학(University of Michigan)과 컬럼비아 대학(Columbia University)에서 동양미술사로 각각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미술사 교수로 재직했으며, 예술의전당 전시감독(1999-2001), 서울대학교미술관 관장(2006-2012), 한국미술이론학회 회장(2006-2008), 국립현대미술관 관장(2012-2015)을 역임했다.
펼치기
이예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의상학을 공부한 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미술사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심사정에 관한 국내의 대표적인 연구자로 꼽히며 여러 대학과 기관 등에서 한국미술사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현재 심사정-조선남종화의 탄생》과 여럿이 지은 책으로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한국의 미술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박정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생. 미술사학자. 오늘날 우리가 조선시대 궁궐과 왕실의 그림을 익숙하게 떠올릴 수 있게 된 것은 명실상부 그의 연구 덕이다. 누구보다 일찍 조선시대 기록화, 궁중회화, 채색화 분야 연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그는 궁중기록화의 세계를 거쳐 조선 양반들이 남긴 사가기록화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여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가 우리 곁으로 생생하게 다가오게 하였고, 학자로서 평생 매진해온 궁중기록화의 총체를 다시 한 번 총집성하여 펼쳐내 보였다.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겸임교수를 거쳐,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방문교수, 스토니브룩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2002년부터 지금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 양성에 각별히 힘을 쏟고 있는 그는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 서울시?경기도?경상북도 문화재위원,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국립중앙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서울역사박물관 운영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미술사연구회 회장 활동 등을 통해 지식의 사회 환원에도 애쓰고 있다. * 그동안 펴낸 책으로는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영조 대의 잔치 그림』, Court Painting from the Joseon Dynasty ,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 등이 있고, 이 밖에도 『조선왕실의 행사 그림과 옛 지도』, 『왕과 국가의 회화』, 『조선궁궐의 그림』, 『왕의 화가들』, 『조선의 명승』, 『한국미술, 세계를 만나다: 근대기 외국인 컬렉터 연구』등 여러 권의 공저와 「의궤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화원」, 「대한제국기 화원 제도의 변모와 화원의 운용」, 「현종정미온행계병과 17세기의 산수화 계병」, 「조선후기 〈왕회도〉 병풍의 제작과 의미」, 「19세기 궁궐 계화와 〈동궐도〉의 건축 표현」을 비롯한 수십 편의 논문이 있다.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로 2023년 제36회 우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정영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명예교수.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서울대학교미술관장,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소장, 서양미술사학회 회장, 한국미술이론학회 회장을 지냈다. 평론 활동과 함께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전인 <Zeitgeist, 시대정신>,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한국전쟁 정전 60주년 특별전: 기억의 재현, 서용선과 6.25>, 2010년 <노란선을 넘어서>(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 추모전) 등 다수의 전시를 기획했다. 지은 책으로는 《화가 김병기, 현대회화의 달인》, 《시선의 정치: 서용선의 작품세계》, 《Postmodern Art in Korea》, 《조선을 찾은 서양의 세 여인》, 《장욱진 Catalogue Raisonne: 유화》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석과 수용에 관한 문제”, “한국 현대회화의 추상성, 1950~1970: 전위의 미명 아래”, “한국 현대 역사화: 그 성격과 위상”, “피카소와 한국전쟁: ‘한국에서의 학살’을 중심으로”, “유영국의 초기 추상, 1937~1949”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선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미술사로 석사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회화사에 관심을 갖고 사군자화를 비롯한 문인들의 그림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대우재단 연구원을 지냈으며, 아주대, 명지대 등 여러 대학 강사를 거쳐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HK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호남지방문헌연구소에서 호남 서화 연구에 매진하면서, 전남 국제수묵 프레비엔날레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호남의 감성으로 그리다』(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사군자, 매란국죽으로 피어난 선비의 마음』(돌베개, 2011), 『선비의 벗 사군자』(보림출판사, 2005), 『한국의 미술가』(공저, 사회평론, 2006) 등이 있다. (이메일 : lsosun@hanmail.net)
펼치기
김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출생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불교회화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상임연구원, 서울역사편찬원 위원, 원광대학교 박물관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9년 현재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역사문화학부 고고·미술사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기도·전라북도·인천광역시·대전광역시 문화재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신장상』(1989), 『조선조 불화의 연구2─지옥계 불화』(공저, 1993),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연구』(1996), 『극락을 꿈꾸다』(2008),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2009), 『한국 회화사 용어집』(공저, 2003),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여성』(공저, 2014), 『회암사와 왕실문화』(공저, 2015), 『문화재학』(2017), 『영상으로 보는 고고미술사』(편저, 2017), 『신라의 조각과 회화』(공저, 2016) 등이 있으며, 고려불화 및 조선불화에 관한 논문이 다수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 후기 풍속화는 당시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발생한 것이다. 그리고그러한 변화의 주역이었던 하층민들의 관심과 영향력이 확장되면서 그들이 그림의 대상으로 떠오를 수 있었다. 게다가 중국으로부터 하층민의 삶을 담은 서적들이 수입되고, 양반 사대부들의 하층민에 대한 의식이 변화되었던 것도 풍속화가 등장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공재는 최초로 풍속화를 창조했다.

공재의 사물에 대한 객관적이고 상대적인 인식은 인간 존재에 대해서도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게 했다. 도 실제에 비추어 증명하고 경험하려 했던 그의 학문 태도와 당시의 사대부들이 천시했던 다양한 문화와 인간에 대한 애정은 기존의 관념과 사고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인간관을 형성하게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재는 자신의 그림에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이 아닌 노동하는 인간들을 표현하게 된 것이다. 이는 분명 이전에 없던 새로운 시도이자 혁명이었다. - 본문 112~113쪽, '공재 윤두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