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605318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09-01-29
책 소개
목차
01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경고의 비과학적 면모- 김해동 계명대 환경방재시스템학과 교수 14
탄소 다이어트가 필요한 시대-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교수 22
흐름읽기 - 기후변화, 지구온난화의 쟁점 30
02 대체에너지
21세기를 위한 바이오 연료 개발- 서진호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 36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의 연착륙을 위해- 배정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042
흐름읽기 -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현황과 미래 048
03 GMO
GMO 기술 개발, 적극적으로 투자하자 - 이석하 서울대 식품생산과학부 교수 54
진화의 법칙을 거스르는 GMO - 김순권 경북대 응용생명과학부 교수 60
흐름읽기 - GMO, 시작에서 현재까지 현황과 쟁점 68
04 뇌와 의식
아직 풀리지 않은 ‘의식의 신비 - 한우진 서울대 BK21철학교육연구사업단 연수연구원 74
뇌신경과학, ‘의식’을 정복할까 - 곽호완 경북대 심리학과 교수 82
흐름읽기 - 의식은 두뇌의 신경과학적 과정으로 환원이 가능한가? 98
05 근본실재
‘실재의 흐름’ 개념, 비과학적이다 - 김성원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교수 106
계량 가능하지 않은 것도 탐구의 대상이다 - 고인석 인하대 인문학부 교수 112
흐름읽기 - ‘불연속성’과 ‘계산 가능성’ 논전 場 118
06 창의성
별도의 창의성 교육, 과연 효과적인가 - 최석민 대구교대 교육학과 교수 124
창의성 교육 비판이 지닌 이분법적 잣대 - 김영채 계명대 심리학과 명예교수 130
흐름읽기 - 창의 교육의 쟁점, ‘과학주의’ VS. ‘몰입’ 144
07 지능
전통 지능이론과 IQ 검사, 아직 유효하다 - 박혜원 울산대 생활과학부 교수 150
IQ 개념 대체할 다중지능(MI) 이론 - 문용린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158
흐름읽기 - 전통 지능이론 VS. 다중지능이론 164
08 디지털 치매
휴먼인터페이스 의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이준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 170
인간의 기술 의존성을 경계한다 - 서이종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176
흐름읽기 - 새로운 인간진화의 신호탄인가, 디스토피아의 징후인가 182
09 인공지능
감정도 모델링 가능하다 - 심귀보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188
자연지능, 인공적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 이영의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HK조교수 194
흐름읽기 -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이 출현한다면 200
10 사회생물학
도덕이 ‘생물학’에서 추론될 수 있을까 - 나정민 동국대 철학과 연구원 206
‘나쁜 환원주의’와 ‘좋은 환원주의’ - 전중환 이화여대 에코과학연구소 연구원 212
흐름읽기 - 생물학적 환원주의 놓고 ‘격론’ 218
11 시간
시간은 물리학으로 포착할 수 없다 - 황수영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224
시간은 객관적 본성을 가지고 있다 - 이관수 동국대 교양교육원 교수 232
흐름읽기 - 시간의 디지털적 계측은 가능한가? 240
12 우연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결정론의 만남 -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246
진화, 우연의 현상인가 필연의 결과인가 - 정민걸 공주대 환경교육과 교수 254
흐름읽기 - 세상은 우연으로 가득 차 있는 걸까 262
13 죽음
죽음은 種이 새로워지는 생명의 법칙 - 오상진 전남대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 268
죽음은 육체적 기준만으로 정의될 수 없다 - 오진탁 한림대 철학과 교수 276
흐름읽기 - 죽음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들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