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북한학 강의

현대 북한학 강의

함택영, 임수호, 장달중, 정성장, 구갑우, 김근식, 이정철, 김갑식, 정영철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220원
21,7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북한학 강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북한학 강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64357002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3-11-29

책 소개

한반도에 살아가는 보통 사람들에게 북한은 매우 중요한 존재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전문가적 견해들은 이데올로기와 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 그리고 사실상의 무관심으로 오염되어 있다. <현대 북한학 강의>는 보통 사람들을 위한 북한학 교과서이다.

목차

서문 장달중

제1장 통치 이데올로기-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정성장
김일성시대 북한 통치이념의 기원·형성·변화 19
- 스탈린식 마르크스·레닌주의 | 주체사상의 탄생
김정일과 주체사상의 이론적 체계 26
김정일시대 새로운 통치담론: 선군정치론과 강성대국론 30
- 선군정치론 | 강성대국론(강성국가론)
김정은시대 ‘김일성·김정일주의’와 ‘김정일애국주의’ 강조 39
- ‘김일성·김정일주의’를 당의 지도사상으로 채택 | ‘김정일애국주의’ 강조를 통한 간부와 대중의 애국심 활용

제2장 권력구조와 엘리트 김갑식
북한 정치를 어떻게 볼 것인가 51
- 체제의 내구력: 붕괴론 vs. 유지론 | 사회주의 일반론 vs. 북한 특수론 | 북한의 정치체제, 수령제 | 사회주의 국가의 당국가체제 | 수령중심의 당국가체제 | 김정일시대의 권력구조 | 1990년대 북한의 위기 | 발전기제: 내각책임제와 선군정치 | 수령의 직할통치와 당·정·군 역할 분담 | 수령중심의 당국가체제와 당·정·군 관계
김정은 정권의 권력구조 80
- 권력승계과정 비교 | 제한적 단일지배체계로 출범
권력엘리트 85
- 북한의 세대 구분 | 엘리트 충원과 세대교체

제3장 탈냉전기 대외정책과 대외관계 임수호
북한은 비합리적 행위자인가 99
북한외교의 기조와 외교정책 결정·집행체계 101
- 북한외교의 이념과 기조 | 외교정책 결정·집행체계
탈냉전기 북한 대외관계의 전개 116
- 남방외교 | 전방위외교 | 6자외교 | 신북방외교
핵심 현안에 대한 북한의 입장 130
- 핵문제 | 비핵무기지대 | 평화체제

제4장 선군경제, 시장 그리고 개혁 이정철
북한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 중인가 151
물량물동적 경제체제와 부족의 경제 메커니즘 155
야심가, 음모가, 사회주의 배신가들과의 투쟁, 선군경제론 161
구획경제와 시장의 동학 164
- 7·1 조치-가격 신호의 강화 | 7·1 조치와 정책 패키지 전환 | 7·1 조치와 구획경제론-선군경제 노선의 병행
북한 경제의 부문별 특성과 변화 양상 172
- 경영 계획 시스템의 변동과 대안의 사업체계 | 세금없는 나라(?)의 재정 및 예산과 화폐 금융 부문 | 대외 협력론의 강화와 경제·핵무력 병진 노선
삼위일체 불가능론 182

제5장 핵무력과 경제건설의 딜레마 함택영
북한의 생존전략과 군(軍) 187
- 위기 그리고 선군 | 당의 군대, 지도자의 군대 | 조선인민군의 조직과 통제·감시 체계
조선인민군의 기원과 성장 200
- 창군과 한국전쟁 | 국방에서의 자위와 내부 갈등 | 군비경쟁-‘4대 군사로선’의 변용 | 김정일시대의 ‘강성대국’과 핵개발
남북한 군사력균형 211
- 정태적 군사력평가 | 동태적 군사력 평가 | 핵무장능력 및 종합평가
안보의 합리적 충분성 223

제6장 북한주민의 일생과 변화하는 일상 정영철
북한 주민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231
요람에서 무덤까지-북한 주민의 일생 233
- 출생과 함께 시작되는 조직생활-개인의 출생과 국가의 양육 | 북한체제 속의 개인 만들기-교육 | 의무적인 노동과 조직되는 여가-노동과 여가 | 사회의 재탄생-결혼 | 국가로부터의 부름과 생의 마지막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사회 현상의 탄생과 북한 사회의 변화 266
- 시장의 탄생-새로운 삶의 공간의 탄생 | 사회의 변화와 삶의 변화-집단주의의 약화와 개인주의의 강화 | 북한의 변화-체제 내의 일탈과 위로부터의 수용 그리고 한계

제7장 남북관계와 통일 김근식
남북관계의 자화상 283
- 북한과 남조선 | 과도기의 이중성
동서독의 통일과 한반도의 상황 290
- 동서독의 화해협력 | 동독과 서독, 남한과 북한
남북관계 전개-적대와 대결에서 공존과 협력으로 299
- 상호 부인과 적대 | 체제 ‘경쟁’과 간헐적 ‘대화’의 남북관계 | 남북기본합의서와 상호 인정 | 남북정상회담과 ‘화해협력’의 남북관계
통일과 통일과정 309
- 통일과정의 중요성 | 통일과정의 원칙-역동성과 진보성
통일과정의 정치동학 313
- 독일-급속한 통합의 역동성 | 예멘-합의형 대등통합의 취약성 | 화해협력기간과 상호민주화의 필요성
한반도 통일과정-현실과 필요조건 318
- 통일과정의 이상과 현실 | 역동적이고 진보적인 한반도 통일과정의 필요조건들
기회의 창을 더욱 가까이 324

제8장 지식사회학과 북한연구방법론 구갑우
북한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333
- 사회과학의 대상과 방법 | 정체성의 정치와 연구대상 북한 | 연구대상 북한의 다원성: 지역연구·비교연구·국제정치
북한연구방법론을 둘러싼 논쟁 352
- 첫 번째 논쟁: 방법론의 부재(不在) 대 비교공산주의적 접근 | 두 번째 논쟁: 내재적 접근 대 외재적 접근 | 세 번째 논쟁: 북한연구방법론의 정치화(精緻化)와 방법론의 다원주의
북한연구방법론 363

주석 368
참고문헌 388
사진, 그림, 표 목록 402
찾아보기 406
저자 소개 414

저자소개

임수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정치학과에서 “북한의 경제개혁과 당국가체제의 쇠퇴”(2001)로 석사학위를,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성 외교(1989~2006)”(2007)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북한경제와 남북경협, 그리고 핵 비확산(nuclear non-proliferation)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책은 북한경제에 관한 저자의 첫 번째 저서로서 시장화를 중심으로 북한경제의 양대 축인 계획과 시장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것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부시행정부의 패권전략과 동아시아의 안보딜레마>(공저, 2004),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공저, 2005), “북한의 대미 실존적 억지/강제의 이론적 기반”(2007), “불량국가와 확장억지의 실패?”(2007), “남북한 경제협력강화약정(CEPA)의 의의와 가능성”(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정성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파리 낭테르대 정치학 석사 파리 낭테르대 정치학 박사 현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 센터장한국핵안보전략포럼 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외교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한미연합군사령부 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 국방부 및 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논저] Idéologie et système en Corée du Nord (L’Harmattan) 『日韓同時核武装の衝撃』 (ビジネス社) 『왜 우리는 핵보유국이 되어야 하는가』 (메디치미디어) 『우리가 모르는 김정은: 그의 정치와 전략』 (한울아카데미) 『현대 북한의 정치: 역사·이념·권력체계』 (한울아카데미) 외 다수
펼치기
구갑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 분야는 평화 연구, 국제정치경제, 북한외교다. 지은 책으로는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2007), 『국제관계학 비판』(2008)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벽 비교”(2012), “북한 핵 담론의 국제정치”(2017), “평창 ‘임시평화체제’의 형성 원인과 전개”(2018),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계보학”(2024), “신공화주의적 평화의 길”(2025) 등이 있다.
펼치기
김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특별시 남북교류협력위원, 경실련 통일협회 운영위원장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 청와대 안보실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이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정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조교수 사회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 조교수로 있다. 「김정일 체제 형성의 사회정치적 기원: 1967~1982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관심분야는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 분야이며, 남북관계의 역사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김정일 리더십 연구」, 「한반도 정치론(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신화와 현실: 북한 정규군 100만 신화 비판 」, 「주체사상의 순수이데올로기 화와 새로운 실천이데올로기의 등장」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