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

전재성, 이왕휘, 이용욱, 박재적, 은용수, 안두환 (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엮은이)
사회평론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64357194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4-04-18

책 소개

국제정치학에서의 방법론 논쟁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 사례분석을 시도한다. 특정 방법론의 이분법적 선호에서 벗어나 각각의 장단점을 근본적인 차원에서 비교하고, 방법론이 실제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 각 분야에서 적용되는 방법론들을 살펴본다.

목차

서문 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 이왕휘.이용욱 5

제1장 이론, 방법 그리고 방법론
- ‘국제정치학 이론의 종언’ 논쟁의 비판적 검토 이왕휘 29
I. 머리말 33
II. 방법론 논쟁의 문제점들 37
1. 방법과 방법론 38
2. 방법과 이론 39
3. 철학적 방법론과 과학적 방법론 41
4. 방법들 사이의 위계질서 44
III. 21세기 방법론 논쟁: 쟁점과 함의 46
1. ‘대화와 종합’ 논쟁 46
2. ‘이론의 종언’ 논쟁 50
3. 방법론적 함의 55
IV. 맺음말 60

제2장 탈실증주의 국제정치학 인식론의 모색 전재성 71
I. 서론 76
II. 현상학과 탈실증주의 인식론의 정초 모색 79
1. 실증주의 인식론 비판 79
2. 후설의 현상학 방법론의 전개 84
3.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존재론 86
4. 언어, 몸, 감정 90
III. 구현주의적 전회와 탈실증주의 인식론의 모색 92
IV. 국제정치학의 실천적, 심리학적 전회 분석 96
1. 실천적 전회 96
2. 심리학적 전회 104
V. 동아시아 국제정치이론에 대한 함의 107

제3장 ‘국제안보연구’ 방법론 고찰
- 동아시아 ‘안보질서’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박재적 113
I. 서론 116
II. 국제안보연구의 심화와 확대 120
1. 분석수준과 분석단위의 심화 120
2. 안보의제의 확장과 ‘안보화(securitization)’ 127
III. 사례연구: 동아시아 ‘안보질서(security order)’ 연구 경향 129
1. 분석수준과 분석단위의 심화 131
2. 안보의제의 확장과 ‘안보화(securitization)’ 138
IV. 결론 142

제4장 외교정책 설명과 방법론
- 패러다임 전환 및 확장을 위한 제언 은용수 149
I. 국제관계학에서의 외교정책연구: 개괄적 검토 154
II. 현실/합리주의 VS. 외교정책분석론(FPA) 160
III. 대표적인 FPA 연구(방법): 심리/인지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169
IV. 외교정책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 174
1. 비주류에 대한 통섭과 다양성의 필요성 174
2. 다양성의 실현을 위하여: 쿤, 라카토스, 베버와 포퍼 180

제5장 세력 균형에서 협조 체제로
- 폴 슈뢰더(Paul W. Schroeder)의 근대 유럽 외교사 안두환 193
I. 『추축국 동맹과 미·일 관계, 1941년』(1958) 197
II. 『메테르니히 외교의 최정점, 1820-1823』(1962) 202
III. 『오스트리아, 영국, 그리고 크림 전쟁: 유럽 협조 체제의 붕괴』(1972) 209
IV. “구조적 전환”, “정치적 평형”, 그리고 “패권 질서” 219
V. 『유럽 정치의 전환, 1763-1848』(1994) 240
VI. 결어 268

제6장 구성주의 국제정치경제
- 방법론 고찰과 적용 이용욱 283
I. 서론 287
II. 구성주의 방법론 인식론적 토대 290
III. 구성주의 국제정치경제 분석기법의 다양성 301
1. 단일사례 분석 302
2. 비교사례 분석 304
3. 통계 분석기법 308
4. 컨텐트 분석기법 311
IV. 결론 314

자유주제
제7장 1970년대 북한의 평화협정 제안 연구
- 한국 배제의 시원 이보미 323
I. 서론 328
II. 평화협정 논의의 쟁점 330
III. 한반도의 미니데탕트와 북한의 남북평화협정 제안 333
1. 미중화해와 북한의 국제정세 인식 335
2. 남북대화 이면의 한반도 정세 평가 336
3. 남북평화협정 제안의 목적 343
IV. 남북대화 중단 이후 북한의 북미평화협정 제안 347
1. 파리평화협정의 체결과 북중관계의 이완 348
2. 남북대화 중단의 한반도적 연원 351
3. 북미평화협정 제안 이후 한국 배제의 고착화 357
4. 1975년 이후 군사력 및 경제력 평가의 변화 360
V. 결론 362

부록 371

저자소개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이왕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런던정경대(LSE)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바이든 시기 중국의 다자외교 전망”, “동아시아 지역 정체성의 역사적 변화와 그 국제정치적 함의”, “중국 지경학의 기원-전한 시대 화친(和親)과 기미(羈縻)”, “수렴과 다양성/분기 이분법: 미중 패권 전이 논쟁에 주는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은용수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펼치기
안두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국제관계사 담당 교수로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18세기 영국 지성사 및 외교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대 래드클리프 고등 연구소 및 옌칭 연구소 특별 연구원을 지냈으며, 논문으로는 “The Anglo- French Treaty of Utrecht of 1713 Revisited: The Politics of Rivalry and Alliance” 등이 있으며, 편서로는 F?nelon in the Enlightenment: Traditions, Adaptations, and Variations (Amsterdam, 2014), 역서로는 마이클 하워드의 전쟁사 삼부작의 다른 두 권 『평화의 발명: 전쟁과 국제질서에 대한 성찰』(전통과현대, 2002)과 『유럽사 속의 전쟁』(글항아리,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은용수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민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소병일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원 하홍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 용채영 세인트앤드류스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과정 민 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SSK 연구단 연구교수 이중구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선임연구원 김성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이민정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펼치기

책속에서

국제정치학에서 유래한 또는 국제정치학에만 특정한 방법론이 없기 때문에, 국제정치학계의 방법론 논쟁은 사실 정치학, 더 근본적으로는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연구성과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최근 방법론 논쟁의 역사적 및 이론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계와 인문학계의 연구를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국제정치학계 내에서의 방법론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감정의 요소는 부정적 국제관계에도 적용된다. 파타와 피에르케는 너스바움의 감정이론에 기대어 인지주의적 감정론을 전개한다. 이에 의하면 감정은 사실상 이성적 판단이 전제되어 발생하며, 가치판단을 거쳐서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감정은 스스로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 이성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감정이 합리성에 대한 반대라기보다는 복리추구적 판단(eudaimonistic judgement)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부정적 감정의 한 예로 모욕감(humiliation)을 고찰하는데, 자신의 위신에 대한 배반의 감정이 국제정치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경로를 서구에 대한 중동 국가들의 정책에서 찾아내고 있다(Fattah and Fierke 2009, 67).


그런데 주목할 것은 동아시아 안보질서와 관련하여 미국 주도 동맹체제의 존속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아시아에서 자유주의적 특징을 가진 미국의 헤게모니 질서를 유지하는 데 있어 미국 주도 동맹체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동맹이론에 의하면 동맹 형성의 근간이 되었던 공동의 적이 사라지면, 동맹은 동맹국들 간 ‘상대적 이익(relative gain)’에 대한 우려로 붕괴되기 마련이다. 냉전 기간 동안 미국 주도 동맹체제의 ‘존재이성’은 공산주의에 대한 대응이었기에, 냉전의 종식 후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도 동맹체제가 왜 존속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존속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탈냉전 후 나토가 해체되지 않고 오히려 동유럽 국가들을 회원국으로 포함시키는 등 확장되어 나가는 것을 설명하는 데 있어, 다수의 연구가 체제와 국가를 분석 수준과 단위로 설정하고 수행되었다. 그러나 일군의 학자들은 분석 수준과 단위를 심화·확장하여, 나토가 냉전 기간 지불한 매몰 비용(sunk cost), 나토의 기구로서의 이익(organizational interest), 관성(inertia), 자산특정성(asset specificity) 등의 제도적 요인과 공동체 의식, 집단적 정체성 같은 관념적 요인을 주요한 독립변수로 부각시켰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