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상도 지역 유네스코세계유산의 특성과 문화다양성

경상도 지역 유네스코세계유산의 특성과 문화다양성

엄연석, 전성건, 강경현, 박재현, 송은석, 이해임 (지은이)
동과서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5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상도 지역 유네스코세계유산의 특성과 문화다양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상도 지역 유네스코세계유산의 특성과 문화다양성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65251675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경상도 지역의 유네스코세계유산이 지닌 보편적인 탁월성과 특수한 가치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유네스코는 전쟁을 탈피하여 지적 도덕적 연대 위에 인류의 평화와 공동복리를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목차

서설 / 엄연석 21
1. 연구목표 및 필요성 21
2. 연구주제의 창의성 23
3. 연구방법론과 유네스코 이념 25
4. 연구 내용 29
5. 경상도지역 유네스코세계유산의 특성 36

제1부 이론편: 글로컬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39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글로컬’의 초기 기준으로 재조명한 경상도 지역의 세계유산 / 조민재 41

1. 머리말 41
2.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초기 목표와 의미 46
3.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변질한 의미와 목표 50
4. ‘글로컬’ 개념의 시작과 형성 과정 52
5. 초심으로 돌아가 재조명한 경상도 지역의 세계유산 55
6. 맺음말 61

근대 안동의 문화적 사유공간 –유네스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관점에서– / 양일모 67
1. 서론: 전통과 전통주의 67
2. 문화유산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지양 71
3. 안동의 근대적 사유공간 76
4. 결론: 안동 세게유산의 근대적 계승과 확대 91

제2부 경상도 지역의 유교문화 세계유산 97

퇴계학과 율곡학 유교책판의 문화다양성 가치와 평등 조화의 이념 –『성학십도』와 『성학집요』를 중심으로– / 엄연석 99

1. 머리말 99
2. 『성학십도』와 『성학집요』에 관한 선행 연구성과 요약 101
3. 『성학십도』와 『성학집요』의 책판의 현존상황과 문화사적 가치 109
4. 퇴계와 율곡의 이기심성론의 상관적 특성 비교 고찰 116
5. 『성학십도』와 『성학집요』의 보편적 이념과 정치사상적 특성 126
6. 『성학십도』와 『성학집요』에 내포된 문화콘텐츠적 함의와 정책제언 136
7. 맺음말 142

도산서원의 보편가치 –치유의 인문학과 공간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 전성건 147
1. 머리말 147
2. 공부와 치유의 도산서당 152
3. 추모와 교류의 도산서원 162
4. 도산서원과 공간형 콘텐츠 166
5. 맺음말 171

한국의 유교 책판’과 도(道)의 이어짐 –목판으로 제작된 『병명발휘』를 중심으로 / 강경현 177
1. 들어가는 말 177
2. 이황의 「병명」 180
3. 이상정의 『병명발휘』와 목판 간행 188
4. 나오는 말 196

제3부 경상도 지역의 불교문화 세계유산 199

부석사 연기설화의 심미적 경험과 치유적 기능 / 박재현 201

1. 머리말 201
2. 부석사의 창건과 연기설화: 공간의 성화(聖化) 204
3. 사랑과 상실을 바라보는 불교의 시선 212
4. 승화(昇化), 상실을 치유하는 가장 아름다운 방법 220
5. 맺음말 230

신라 불국신앙(佛國信仰)의 기록과 미술 / 송은석 235
1. 서론 235
2. 신라인의 불국에 대한 인식 층위 237
3. 석가탄생지 가비라국으로서의 불국 239
4. 석가모니 성적(聖跡)의 현장 북인도로서의 불국 243
5. 불보살들의 상주처(常住處)인 인도로서의 불국 253
6. 수미산 중심의 소세계(小世界)로서의 불국 265
7. 결론 267

신라불교의 수행 윤리로서의 효순 개념과 그 현대적 의의 -원효의 『범망경보살계본사기』와 태현의 『범망경고적기』를 중심으로- / 이해임 275
1. 서론 275
2. 『범망경』 출현 전후 유교와 불교의 갈등과 조화 279
3. 효순의 두 가지 유래 : 『효경』과 『주례』 287
4. 원효의 『범망경보살계본사기』 : 수계와 성불의 보편 윤리 294
5. 태현의 『범망경고적기』 : 은혜와 공경의 공동체 윤리 302
6. 효순 개념 중심의 유네스코 문화콘텐츠 제작 관련 정책 제안 306
7. 맺음말 311

저자소개

박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동명대학교 선명상치유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화두, 나를 부르는 소리』(2018), 『만해 그날들: 한용운 평전』(2015), 『깨달음의 신화』(2002) 등이 있다. 박사학위 논문은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2005)이고, 그 외에 「한용운의 시어(詩語) 연구」(2024), 「『서장(書狀)』에 나타난 낭만적 거짓과 선적(禪的) 진실」(2020), 「간화선 수행 관련 술어(述語)에 내포된 은유」(2019)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송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와이즈)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문화유산연구소 소장.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불교조각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태동고전연구소 연수원, 호암미술관과 삼성미술관 연구원, 송광사성보박물관 학예연구실장,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Asian Cultural Council의 기금연구원, 동국대학교(와이즈) 박물관장을 지냈다. 저서로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2012)가 있으며, 논문으로 「불국사와 석불사의 유기적 관계 재검토」(2023), 「신라 신문왕의 조장지(厝葬址)와 전 황복사지 석탑」(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엄연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1999),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 수석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는 『조선전기경학사상총론』(2022),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이념과 실천』(2022)(공저), 『조선전기역철학사』(2013)가 있다. 논문은 「곽종석의 태극이기론과 역학사상의 경학적 함의」(2024), 「유학 경전 속의 ‘열락’에 대한 심미적 이해와 정치적 교화」(2024), 「황윤석(黃胤錫)의 『이수신편』(理藪新編)에 나타난 이수역학의 문화다원론적 독해」(2023)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전성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2010), 국립경국대학교 미디어문화커뮤니케이션 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역서로 『정약용의 철학사상과 체제개혁론』(2014),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2015), 『다산 경세학 연구』(공역, 2023) 등이 있다. 논문은 「퇴계 성리학의 특수성-함양론을 중심으로」(2025), 「영남삼로의 역할과 그 위상」(2024), 「반계 경세학에 대한 영남 유학자들의 관심과 수용」(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강경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2014),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역서로 『퇴계 이황의 리(理) 철학』(2022), 『명유학안 역주』 1‧2(공역, 2023) 등이 있다. 논문은 「16세기 조선의 「천명도」와 『중용』 해석의 다양성」(2024), 「북한의 이황 철학 연구」(2023), 「조선시대 경연에서 『상서』 강독의 의미」(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해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상산고등학교 철학 교사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은 「『범망경보살계본사기』의 효순 개념 연구 -효순 개념의 유래와 의미를 중심으로」(2014), 「조선전기 중앙관료의 맹자에 대한 인식」(2018), 「성기호설과 성선설 -다산의 맹자 해석」(2019), 「송시열의 춘추관 연구」(2022) 등이 있다. 주요 저서는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이념과 실천」(공저)(2022),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심화와 대안」(공저)(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최명길의 사문록 역해와 심층 연구」(공역)(2022)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