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70136608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07-10-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이데올로기의 탄생과 진화 | 정희준
1. 신보수주의의 탄생 그리고 대중문화와의 조우
2. 신보수주의의 역사와 정치성
3. 가족의 가치 - 신보수주의의 지배 전략 그리고 억압적 이데올로기 정치
4. 이데올로기 투쟁과 대중문화
제2장. 스포츠를 통한 일상의 지배 - 올바름의 조작 그리고 질서의 창조 | 정희준
1. 알리에서 조든까지 - 혼란 그리고 새로운 질서의 등장
2. 조든 상품화의 대전제 - 백인 같은 흑인 만들기
3. 정상적인 가정, 올바른 젊은이 - 미디어를 통한 의미 조작과 대중 훈육
4. 바른생활 USA- 이성애적 남성성의 지배, 그리고 소수자의 사회 격리
5. 또 하나의 장애, 여성성 - 신보수주의적 구도와 그 관용의 한계
6. 알리, 마침내 미국의 품으로
제3장. 롤링선더에서 블록버스터까지 - 베트남 전쟁 이후의 슈퍼 할리우드 | 서현석
1. 영웅 없는 시대의 영웅
2. 존 웨인 신화
3. 자기 치유의 미덕
4. 아메리칸 드림과 베트남 악몽
5. 상실의 시대
6. 록키의 패배와 실리
7. 슈퍼영웅이라는 히스테리
8. 반복되지 않는 역사
9. 온화하고 친절한 하드 바디
10. 집으로
11. '진짜' 진짜와 '진짜'영웅
제4장. 펑크의 죽음과 MTV의 탄생 | 이동연
1. 1980년대 미국 대중음악의 지형 변화
2. 청년문화와 대중음악신의 새로운 전환 - 펑크에서 뉴웨이브로
3. 신보수주의의 도래와 1980년대 대중음악 환경의 변화
4. 1980년대 미국 대중음악의 신보수주의화 - 세 가지 국면
5. 신보수주의 문화의 힘
제5장. 가족의 모든 것 - 레이거니즘, 자본주의, 그리고 텔레비전 | L. S. Kim
1. 열린 브라운관과 레이거니즘
2. 케이블의 확산과 자본주의 신화
3. 1980년대의 가족 - 캐링턴, 코스비, 카너
1) 부와 과잉의 매혹
2) 피부색의 암도
3) 고분고분하지 않은 여성의 성공과 실패
4. 1990년대 - 인종과 미디어, 안방극장의 섹스, 그리고 MTV
1) 로드니 킹과 아메리칸 드림의 실종
2) '악한 흑인'과 '춤추는 이토들'
3) 새로운 미혼 여성들의 갈림길
4) MTV와 새로운 아메리칸 드림
5. 가족의 이데올로기
제6장. 낡았지만 견고한 괴물기차 | 민병직
1. 시작 - 어떤 시선
2. 회화의 복권 - 이곳에서 새로운 것은 그것이 환영받았다는 것이다
3. 회화라는 전지구적 현상
4. 우리는 모두 괴물기차에 타고 있었다. 그런데 내릴 수도 없었다
5. 괴물기차에서 내릴 수 없는 몇 가지 이유 - 미술 시스템
6. 세로운 (그러나 낡은) 문화 전략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보수주의는 ... 시장을 통한 '관리'와 함께 정부나 기업의 재정 지원을 문화 예술계에 대한 회유의 미끼 또는 무기로 사용하기도 한다. 즉 노골적인 공격과 언론을 통한 선전뿐 아니라 회유와 협박 등을 병행하며 그들이 이상적이라 여기는 미국을 만들어가려 하는 것이다.-p34 중에서
1980년대 록의 노로맨티시즘이 보여준 새로운 경향은 록과 메탈의 '팝화'라 할 수 있다. 프리스는 팝은 예술이 아니라 기술이며, 세상을 새롭게 보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 상실, 질투처럼 흔해빠진 감정을 표현하는 대중적 곡조와 클리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p16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