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귀환 혹은 순환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

윤영도, 신현준, 이정은, 조경희 (지은이), 신현준 (엮은이)
  |  
그린비
2013-04-15
  |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9,000원 -5% 0원 600원 18,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귀환 혹은 순환

책 정보

· 제목 :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6827753
· 쪽수 : 316쪽

책 소개

아이아 총서 105권. 귀국 동포들의 이동 유인과 그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이 각기 다른 공간에서 펼치는 문화적 실천의 면면을 포착함으로써, ‘존재하되 존재하지 않았던’ 재한동포들의 삶을 역사적 · 일상적 차원에서 복원해 낸다.

목차

서문

1장 동포와 이주자 사이의 공간, 혹은 민족과 국가에 대한 상이한 성원권_신현준
1. 돌아온, 그러나 환영받지 못한 | 2. 이동하는 코리안들: 뿌리, 경로 그리고 귀환 | 3. ‘돌아온 동포’의 개념화를 위하여 | 4. 이름과 정체성의 분류학 | 5. 결론

2장 조선족.고려인 초국적 역/이주와 포스트국민국가적 규제 국가장치_윤영도
1. 들어가며 | 2. 동아시아의 초국적 이주사와 조선족.고려인의 역/이주 | 3. 조선족?고려인의 초국적 이주와 규제장치의 변천 | 4. 나가며: 포스트국민국가 시기, 조선족.고려인 이주와 정체성정치의 가능성

3장 한국 내 조선족동포 커뮤니티의 구성과 교류_이정은
1. 머리말: 조선족동포 커뮤니티의 등장 | 2. 조사방법과 조사대상자들의 성격 | 3. 문화자원을 활용한 커뮤니티의 구성 | 4. ‘정치적 집합행위’에서 일상문화 활동으로의 변화 | 5. 중국동포 사회와 한국 사회와의 교류 | 6. 맺으며

4장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재한고려인들의 월경 이동과 과문화적 실천들_신현준
1. 서: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고려인을 위한 복수의 장소들의 발생 | 2. 영토화된 ‘소비에트 고려인’으로부터 탈영토화된 ‘CIS고려인’으로 | 3. 장소의 치환과 사회적 지위의 변환 | 4. 사회적 관계들과 소통의 네트워크 | 5. 차이의 문화정치와 과국적 커뮤니티의 (재)구축 | 6. 결론: ‘고향’에 정주하지 않는 고려인들

5장 이동하는 ‘귀환자’들: ‘탈냉전’기 재일조선인의 한국 이동과 경계의 재구성_조경희
1. 디아스포라의 역/이동 | 2. 대상과 방법: 자이니치의 변별성 | 3. 한국 사회와 재일조선인의 관계의 재편 | 4. 경계선을 둘러싼 일상적 정치 | 5. 상상적 이동과 문화적 접속 | 6. 결론: 생활권의 확장과 과국적 성원권의 요구

6장 동포의 권리로부터 재한의 권리로? 혹은 성원권으로부터 장소권으로?_신현준
1. 서: 민족적 불평등과 공간적 불평등으로 | 2. 외국인들을 위한 장소들: 서울의 경우 | 3. 이주자로서 동포들의 치환된 장소들 | 4. 도시의 공간적 불평등과 이주자들을 위한 장소 | 5. 결론: 시민권 없는 장소권

후기: 대면(interface)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윤영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국제법과 춘추의 유비類比적 사유연구─윌리엄 마틴의 중국 고대 국제법 연구를 중심으로」, 「‘권/권리’ 개념 절합의 계보학─『만국공법』을 중심으로」가 있으며, 역서로 『만국공법』(근간)이 있다. 중국 근현대 사상 및 문화사를 탈식민주의적 관점과 문화 연구의 방법론을 통해 재조명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신현준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및 국제문화연구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문화산업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사회과학과 문화연구의 다양한 분야, 특히 대중문화, 국제이주, 도시공간에 대해 폭넓게 연구하고 있다. 국제 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의 편집위원,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으로 활동해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팝의 고고학 1960/70》(공저),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공편),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공편),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공편), 《Made in Korea: Studies in Popular Music》(공편)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현준의 다른 책 >
조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HK교수. 일본학/사회학 전공.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공부하였고 “제국일본/식민지조선의 사회사업과 민중통치” 연구로 도쿄외국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식민지 사회사, 재일조선인, 젠더와 소수자 등이다. 주요 공저에 『주권의 야만-밀항, 수용소, 재일조선인』(한울, 2017), 『‘나’를 증명하기-동아시아에서 국적, 여권, 등록』(한울, 2017) 『두 번째 ‘전후’-1960~19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한울, 2017), 『残余の声を聴く:沖縄、韓国、パレスチナ』(明石書店,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현준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및 국제문화연구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문화산업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사회과학과 문화연구의 다양한 분야, 특히 대중문화, 국제이주, 도시공간에 대해 폭넓게 연구하고 있다. 국제 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의 편집위원,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으로 활동해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팝의 고고학 1960/70》(공저),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공편),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공편),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공편), 《Made in Korea: Studies in Popular Music》(공편)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현준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냉전이라고 부르는 시기 동안 조선인들의 후예들은 소련, 중국, 일본에서 소수민족 혹은 ‘민족적 소수자’(national minorities)로서 각기 특징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 서로 다른 언어의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정체성은 한반도에 남아 있던 사람들의 정체성과의 차이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도 상당한 차이를 발생시켰다. 진영 간 대립과 국민국가 간 경합으로 인해 이런 차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중국과 일본, 소련과 일본, 중국과 소련 사이에는 상이한 성격의 정치적·이데올로기적 긴장과 대립이 존재했고 이는 때로 영토분쟁까지 야기했다는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여기에 북한(조선)과 남한(한국) 사이의 적대는 이들에게 ‘고국’(homeland)이나 ‘고향’(hometown)에 대한 상상을 혼탁하게 만들었고, 특히 한국의 경우 ‘자본주의 진영의 피투성이 독재국가’라는 상상 이상을 낳지 않았던 것 같다.


이제까지의 고찰에서 명확해졌듯, 1990년대 이래 동포들의 ‘귀환’은, 비(非)한국인들의 한국 내부로의 이입(移入) 및 한국인들의 외국으로의 이출(利出)과 더불어 한국 경제가 글로벌 경제와 통합되는 방식과 양상에 의존한다. 동포들의 경우 한국인이 아니면서 외국인도 아닌 독특한 지위를 갖도록 ‘만들어지는’ 과정이 지난 20년 동안 진행된 것이다. 이렇게 한국으로 이입된 동포들은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특정한 정체성을 부여받아 왔다.


한국 역시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변화에서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과거와 달라진 것은 이주의 측면에서 봤을 때, 이출국에서 이입국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1980년대를 거치면서 경제적 약소국의 처지로부터 벗어나 거의 선진국의 문턱에까지 이를 정도로 경제적으로 급성장한 점이 동남아와 중국과 같은 지역의 저임금 노동자들에게 하나의 흡인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위 국내에서도 저임금 노동력의 부족이나 농촌총각 문제와 같은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이들 지역의 이주자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는 점 또한 흡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이주와 관련된 전반적인 법?제도상의 변화를 가져왔는데, 기본적으로 외국인 노동력의 적극적인 수용을 그 기본방향으로 하는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한국 정부는 1993년 산업연수제나 1998년 연수취업제, 그리고 2003년의 고용허가제와 같이 노동 송출국으로부터 입국한 노동자들의 취업과 체류를 위한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고, 노동부와 법무부가 함께 이들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방향으로 전반적인 국가장치의 정비를 진행해 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