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를 졸업하고, 오하이오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동남아시아 역사를 전공했다. 근?현대 말레이세계 민족주의 운동과 국민국가 건설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종 대학 동남아연구소 소장, 포드재단 연구교수,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 객원교수,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 전문위원을 역임하며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펼쳐왔다.
지은 책으로 《동남아시아사: 창의적인 수용과 융합의 2천년사》, 《Ideology and Shaping of Malaysia: A Socio-intellectual History(이념과 말레이시아 국가 건설)》이 있고, 함께 지은 책으로 《동남아의 종교와 사회》, 《동남아의 정치변동》, 《동남아의 지역주의와 종족갈등》, 《일제하의 동남아》, 《불교 군주와 술탄: 태국과 말레이시아 왕권의 역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Visions without Heat: The Search for a Malaysian National Identity, 1948-1990', 'In Search of ‘Unity in Diversity’: The Image of Women in New Order Indonesia', '오랑 라웃의 활동과 역할: 전통 말레이세계 국가형성의 숨겨진 동학' 등 4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최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학사, 중국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베트남사)
호주국립대학교 (Graduate Diploma, 동남아시아학)
호주국립대학교 (박사, 베트남사)
2024년 현 인하대 사학과 교수
[저서]
『짜오 아인 비엣남 - 안녕하세요 베트남』(나라사랑,1994)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ang(18201841)
(SEAP, Cornell University, 2004)
Water Frontier: Commerce and the Chinese in the Lower
Mekong Region, 1750-1880 (Rowman & Littlefield, 2004 공저)
『동남아시아사 - 전통시대』(대한교과서 주식회사,2006, 초판)
『베트남 근현대사』(창비,2008, 초판)
『진랍풍토기』(산인, 2013, 역서)
『한국과 베트남 사신, 북경에서 만나다』(소명출판사,2014,공저)
『동남아시아사 - 민족주의 시대』(산인, 2016)
『사마천의 동아시아-초,한,남월,조선』(산인, 2018)
『베트남 근대사의 전개와 메콩 델타』 (산인, 2020)
펼치기
조흥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독일 함부르크대 동양학부 동남아시아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일본 교토대 동남아시아연구소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부산대 국제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9년 퇴직했다. 연구 분야는 동남아시아의 역사, 종교, 민족, 여성, 화인 등이다. 지은 책으로 《동남아의 화인사회: 형성과 변화》(공저), 《메콩강과 지역협력》(공저),《불교 군주와 술탄》(공저), 《태국: 불교와 국왕의 나라》(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교류사》(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제3세계의 역사와 문화》(공저), 《근대 태국의 형성》(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여성이 이끄는 세계》 등 여러 권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밀턴 오스본의 《메콩강: 그 격동적인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 등이 있으며, 수많은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펼치기
오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치고, 호주 모내시대학교에서 말레이시아 농촌경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이다. 전공 분야는 경제인류학이며 이슬람금융과 동남아시아 지역연구가 주요 관심 영역이다. 주요 연구로는 “선물의 혼과 신화적 상상력”, “동남아의 증여와 호혜성”, “이슬람보험의 계약적 형태와 샤리아 아비트리지: 이슬람적 증여와 공유 개념을 중심으로”, “와크프의 법 제도와 운영 방식: 자선, 공익, 시장의 조합으로서 이슬람 재단”, “이슬람금융의 쟁점들: 경합하는 이슬람적 대안성의 의미”, “지식의 통섭과 인류학”, 《이자 없는 금융은 가능한가?》(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태국어를 전공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지역학 석사 학위(태국 외교)를 취득했다. 그 후 태국의 쭐라롱껀 대학교 대학원으로 유학을 떠나 국제관계학과에서 공부하면서부터 태국 역사와 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귀국한 후 고민 끝에 전공을 바꾸어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과에서 비교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교수로 봉직하다가 정년퇴직했다.
펼치기
김민정(金民晶, KIM, Minjung)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단독저서로 『이주 시대의 젠더: ‘다문화’ 한국사회와 필리핀 출신 여성들』, 편저서로 『경계를 넘는 한인들: 이주, 젠더, 세대와 귀속의 정치』, 『동남아의 중산층, 시민사회, 지역운동』, 공저서로 『아시아 여성의 오늘: 위기, 도전 그리고 연대의 목소리』, Redefining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Transnational Mobility and Identity in and out of Korea, 『젠더와 사회: 15개의 시선으로 읽는 여성과 남성』, 『글로벌 아시아의 이주와 젠더』, 『세계신화의 이해』, 『혼혈에서 다문화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민정(金民晶, KIM, Minjung)의 다른 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