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사회와 미디어의 이해

현대 사회와 미디어의 이해

박기순, 백선기, 김정탁, 송해룡, 황용석, 한은경, 정회경, 박현순, 권상희, 김덕모, 류만호, 박주하, 윤석년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1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현대 사회와 미디어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사회와 미디어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84993310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05-09-23

책 소개

이 책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확장되어온 제반 커뮤니케이션 양상을 '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의 이해',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포괄적 맥락에서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서론 인간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미디어
인간의, 인간을 위한, 인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 토대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모형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이론
미래의 발전 방향과 추세
인간 커뮤니케이션으로의 복귀

제1부 미디어와 사회
01 미디어와 정치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미디어와 정치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정치적 기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이론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
언론과 정부와의 관계
미디어와 선거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형식
전자 민주주의와 정치 커뮤니케이션
민주주의를 위한 미디어의 역할

02 미디어와 경제
글로벌 시대의 미디어 기업에 대한 이해
미디어, 미디어 시장, 미디어 산업
미디어 산업의 특성
미디어 산업의 글로벌화

03 미디어와 문화
매스 미디어와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
문화에 관한 이해
매스 미디어와 대중 문화
대중 문화와 통속성

04 미디어와 스포츠
스포츠 커뮤니케이션과 스포츠 산업
미디어 스포츠에 대한 새로운 관점
미디어 스포츠 연구의 세계적 추이
미디어 스포츠 시장의 발달
미디어 스포츠의 내용과 메시지
뉴미디어와 스포츠 산업의 글로벌화

제2부 미디어의 이해

05 신문
인쇄 매체로서의 신문의 이해
신문이란 무엇인가?
신문의 기능과 역할
신문의 패러다임 변천 과정
신문사의 조직 구성
산업으로서의 신문
뉴스의 정의와 가치
신문 보도의 문제점
신문의 윤리 문제
공공 저널리즘, 민주주의, 그리고 신문

06 방송
정보화 사회와 뉴미디어
정보화 사회란
뉴미디어와 디지털
케이블 TV
위성 방송
디지털 TV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인터넷

07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인터넷에 대한 이해
디지털 미디어 혁명과 인터넷의 등장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

08 광고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왜 광고가 아니고 IMC인가?
IMC의 역사, 개념, 특징
IMC 실행의 도구
IMC의 5단계 전략수행 과정
IMC의 미래

09 홍보
현대 사회의 홍보의 이해
홍보(Public Relations)의 정의
Public Relations의 영역

제3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10 동양의 커뮤니케이션
동양적 의사소통의 미학
동양적 의사소통의 이해
儒.佛.仙의 언어최소주의
참다운 의사소통을 위해

11 미디어와 기호
미디어 기호학의 이해
왜 기호학인가?
기호학의 유래
미국의 기호학
미디어와 기호의 연계
21세기 미디어 기호학의 전망

12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인간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미디어로서 인터넷
인터넷 미디어의 발달
인터넷 서비스 종류
신(新)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공간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유형

저자 소개

저자소개

박기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하고 미주리대학교(콜럼비아) 저널리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시건주립대학교(이스트랜싱)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학위와 오하이오대학교(애신스)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 사회과학대학장과 학부장을 역임했다. 한국PR학회와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의 회장에 각각 선출되어 학회 발전에 기여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저서로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저, 2001) 등이 있고, 역서로는 「세계 문화 이해: 김치에서 오페라까지, 상징과 비유로 읽는 세계 문화」(공역, 2002),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역,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백선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전공은 언론보도, 대중문화, 문화연구, 담론연구, 기호학이며, 많은 문화현상을 기호학의 개념과 방법들로 분석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광고 기호학」(2010), 「텔레비전 영상 기호학」(2003), 「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1997), 「보도의 기호학」(1995) 등이 있다. 최근에는 보도, 영화, 광고, 미디어 현상들에 기호학을 적용하면서 의미를 파악하는 즐거움을 맛보자는 의도로 제작된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시리즈를 출간했으며, 「미디어 기호학」(2015)과 「미디어 담론」(2015)의 이해총서를 출간했다. 한국언론학회 저서 부문(「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과 번역 부문(「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저술상을 수상했다. 한국기호학회 부회장, 한국방송학회장을 지냈으며, IAMCR의 국제평의회 의원, PACA 회장과 WCA 부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정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졸업해선 중앙일보 에 입사했다. 기자로 3년여를 일하다 미국으로 공부하러 떠났다. 미주리대에서 언론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받은 뒤 1985년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 교수로 부임해 34년을 근무하다 2019년에 정년퇴직했다. 커뮤니케이션을 동아시아사상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을 평생의 목표로 삼아 『장자』 내편, 외편, 잡편의 역․주 ․해․소를 펴낸 바 있고, 현재는 『논어』 역․주 ․해․소를 집필 중에 있다. 그 밖에도 한국 언론학회 저술상 및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禮와 藝: 한국인의 의사소통 사상을 찾아서』와 『노장 ․공맹 그리고 맥루한까지』, 『玄: 노장의 커뮤니 케이션』 등을 펴낸 바 있다.
펼치기
송해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방송학회장, 성균관대학교 사회대 학장, 문화융합대학원장, 국무총리 직속 국민안전안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넥스트 노멀>(2020, 공저), <미디어콘텐츠 4.0>(2019, 공저), <시니어 비즈니스 블루오션>(2018,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쟁점과 과제>(2017),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아이디스오더:기술문명 스트레스와 그 극복>(2015, 역저), <디지털미디어시대 리스크 현실과 진단>(2014,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2013,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미디어 비즈니스 시장과 생태계>(2010) 등이 있다.
펼치기
황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1999)를 취득한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면서 데이터저널리즘, 온라인저널리즘 정책 연구 등을 수행했다. 건국대학교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AI 및 데이터 기반 정책연구와 이용자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데이터저널리즘 코리아 컨퍼런스와 어워드, 뉴스테크 이니셔티브 등의 행사를 조직 및 운영하고 있다. 현재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위원, 디지털플랫폼민간자율기구 위원, 디지털플랫폼정책포럼 위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민간협의회 위원, 법무부 인권정책자문 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언론중재 위원,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위원회 위원, 미디어 다양성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대통령 표창(2019), 기획재정부장관 표창(2024), 교육부장관 표창(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2023),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표창(2015), 건국대학교에서 학술상(2014), 연구공로상(2015) 그리고 강의 우수상(2008), 리서치프론티어 상(2014, 2015, 2016, 2017, 2018) 등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디지털 플랫폼 정책 및 자율규제, 디지털미디어 이용자 행동연구,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설계와 구축, 추천 알고리즘 공정성 및 효과측정, AI 리터러시와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Telematics and Informatics)” 등 80 여 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데이터시대 언론학연구>(커뮤니케이션북스, 공저) 등 50 여 권 이상을 발간했다.
펼치기
한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며, IMC, 브랜드와 평판에 관하여 강의하고 있다. 또한 한국방송위원회의 상품판매방송 심의위원이며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에서 지상파방송광고 심의위원을 맡고 있다. 역서와 저서로는 'IMC광고론', '글로벌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광고의 새로운 패러다임'등이 있다.
펼치기
정회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SMIT) 교수다. ≪중앙일보≫ 기자와 영국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칼리지 방문연구원을 거쳐 한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했고, 현재 새공공영상문화유산정책포럼 이사, 대한민국열린정부위원회 국민참여분과위원장, 한국HCI학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바일과 여성 』(2015),『PAIRS 문제를 해결하는 융합리서치』(2015),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 』(2014), 『영상미디어교육의 이해 』(2013), 『미디어 경영 경제 』(2013) 등이 있다. 최근에는 공공 영상 아카이브 연구에 집중해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효과 연구: 매클루언의 미디어 테트라드 이론을 기반으로”(2024), “국내 공공 방송·영상 아카이브 설립을 위한 이용자 수요 분석”(2022), “국내 공공 방송·영상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해외 사례 분석”(2019) 등을 발표했다.
펼치기
박현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및 신문방송학과 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광고PR학과 석사 및 박사(PR 전공) 2012년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 저서 및 논문 "Effects of Message Framing and Anchoring on Reaching Public Consensus on the Korea-US FTA issue" (2011) "Hostile Media Perception, Involvement Types, and Advocacy Behaviors" (2011) "Promoting Organ Donation through an Entertainment-Education TV Program in Korea: Open Your Eyes" (2010) "A Test of the Third-Person Effect in Public Relations: Application of Social Comparison Theory" (2005) “Crisis Management Planning and the Threat of Bioterrorism” (2003) “Optimistic Bias and Perceptions of Bioterrorism in Michigan Corporate Spokespersons, Fall 2001”(2003) “Genetically Engineered Food Labels, Information or Warning to Consumers?”(2003) 등
펼치기
권상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텍스트 분석, 메시지와 뇌의 연관성, 메시지 감성 분석,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영화 석사 학위를, 그리고 서던일리노이대학교(SIUC)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아트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아칸소 주립대학교 언론방송학과 조교수와 삼성전자 홍보실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방문 교수로 연구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또한 한국소통학회, 인터넷융합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공지능연구 및 AI와 미디어 포럼을 진행한다.
펼치기
김덕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과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클리블랜드대학교 객원연구원, 한국언론연구원 객원연구위원을 거쳐 2005년 현재 호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언론의 지역밀착보도 활성화 방안>), <지역언론개혁론>, <지역시청자의 미디어접근활성화 방안>, <2002년 대선보도 연구>, <대한매일신보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류만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광주대학교 교수(언론광고학부 신문방송학 전공)이다. 지은 책으로 <언론의 자유와 민주주의>, <죽은 언론 살리기>(공저), <선거와 홍보전략>(공저), <남북한정치의 구조와 전망>(공저), <현대 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주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2006년 현재 광주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언론과 현대 사회>(공저), <현대매스 미디어 원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석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덴버대학교 교환교수(2002∼2003)와 광주전남언론학회장(2010∼2011)을 역임했다.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정책분과장과 제37대 부회장을 역임했다. 또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와 총무이사를 거쳐 제27대 한국방송학회 회장(2014∼2015)을 역임했다. 방송 및 미디어 관련 정책 연구가 주요 관심 분야다. 저서로 『지상파방송정책의 쟁점』(2014), 『소셜미디어 연구』(공저, 2012), 『미디어정책론』(공저, 2010), 『현대사회와 미디어의 이해』(공저, 2005), 『지역언론개혁론』(공저, 1999), 『언론모니터의 이해와 활용』(공저, 1998) 등이 있다. “한국 케이블TV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1995)를 비롯해 “위성DMB 수용에 있어서 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2005), “멀티미디어 저작물의 디지털 전송에 따른 저작권 보호”(2000)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81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