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원 the Origin

기원 the Origin

김희준, 박성래, 최재천, 홍성욱, 최덕근, 배철현, 이홍규, 우종학, 이현숙, 박형주 (지은이), 재단법인 카오스
휴머니스트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기원 the Origin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원 the Origin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5862373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6-05-16

책 소개

렉처 사이언스 KAOS 시리즈 1권. 빅뱅부터 물질과 생명의 탄생, 문명과 기술의 시작까지 모든 것의 기원에 대한 국내 최고 석학들의 강연을 담았다. 초등학생부터 중장년층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맞춤형 강의를 통해 기원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듣는다.

목차

머리말 멈추지 마라, 질문을. 그리고 과학으로 저항하라!·4

1강 우주의 기원 : 경이로운 세계 우주, 그 시작을 찾아서- 우종학
우주의 시공간·22 / 광활한 우주·28 / 우주의 팽창·29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33 / 빅뱅우주론의 탄생과 우주배경복사·37 / 빅뱅 이전·40 / OX퀴즈로 풀어보는 우주 팽창·41 / 경계 없는 우주·43 / 우주의 거시구조: 암흑물질의 발견·46 / 거시구조의 진화: 중력이 지휘하다·50 / 우주의 기원, 그 풀지 못한 숙제·53 / QnA 우주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54

2강 물질의 기원 : 사실 우리는 138억 년 전에 태어난 겁니다- 김희준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50 /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64 / 빅뱅우주론의 세 기둥·66 / 물질의 기원에 대한 탐사·67 / 초기 우주에서 일어난 일·70 / 입자의 표준모형·71 / 무한히 작은 쿼크·74 / 쿼크에서 양성자로·79 / 별에서 일어난 일·80 / 과학의 아름다움을 느끼며·84 / QnA 물질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88

3강 지구의 기원 : 45억 년 전에 일어난 일- 최덕근
지질시대와 역사시대·96 / 지질학이란 무엇인가·97 / 태양일과 항성일·99 / 하루는 꼭 24시간일까?·102 / 태양계의 구성원·104 / 태양계의 형성 과정·107 / 지구와 달의 탄생·109 / 44억 년 전에 일어난 일·112 / 맨틀 대류와 대륙의 탄생·115 / 우리 삶의 터전, 지구·119 / QnA 지구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120

4강 생명의 기원 : 우연한 일들의 집합이 생명을 탄생시키다- 최재천
생물학은 관찰하는 학문·126 / 생명의 탄생, 확률의 기적·128 / 생명의 기원에 관한 농담·132 / 다윈, 진화론의 탄생·134 / 《종의 기원》의 기원·137 / 통섭학자 다윈·140 / 생명의 한계성·142 / 생명의 영속성과 일원성·143 / 생명의 우연성·145 / 어리석은 존재, 인간·146 / 자연을 알기 위해 노력하다·148 / QnA 생명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150

5강 암의 기원 : 답은 유전자에 있다- 이현숙
생물학과 물리학의 차이·158 / 암에 대한 기록·159 / 암의 특징·163 / 암 발병 연구의 역사·164 / DNA의 발견·167 / 돌연변이 DNA와 암·171 / 암유전자와 암억제유전자·174 / 암세포생물학의 추이·178 / 암 치료의 현재와 미래·181 / 연구가 나를 계획했다·183 / QnA 암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186

6강 현생인류와 한민족의 기원 : 모든 인류는 같다, 모든 인류는 다르다- 이홍규
생명과학의 역사·194 / 멘델의 유전법칙과 신합성이론·198 / 유전체학과 진화론의 변화·199 / 새로운 계통분지도의 탄생·202 / 인류의 기원·204 / 네안데르탈인의 분포·208 / 유전학과 문화로 찾는 한민족의 기원·211 / QnA 인류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216

7강 종교와 예술의 기원 : 인간의 두려움에 관한 이야기- 배철현
이야기가 있는 동굴벽화·224 / 인간이란 무엇인가·232 /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특징·233 / 우주를 움직이는 강력한 힘·237 / 동굴에서 길을 찾다·240 / 기도, 섬세한 내면의 소리·243 / 크로마뇽인의 유산, 묵상·245 / QnA 종교와 예술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250

8강 문명과 수학의 기원 : 수학, 그 아름다운 예술과 질서- 박형주
예술과 수학의 탄생·258 / 황금비율의 수학·261 / 수학으로 발견한 소리·263 / 실용과 추상의 대립·266 / 바빌로니아와 그리스의 수학 비교·269 / 이집트의 수학·272 / 그리스 수학의 세 시기·274 / 마테마타, 배우고 가르치다·276 / 실용적이었던 중국 수학·277 / 인도의 수학·278 / 이슬람 수학·279 / 유럽의 수학·281 / 과학혁명과 수학의 난제·283 / 현대 수학의 응용·286 / QnA 문명과 수학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290

9강 과학과 기술의의 기원 : 과학과 기술, 그 복잡한 관계의 시작- 홍성욱
어원으로 본 과학과 기술의 기원·298 / 기술은 어떻게 등장했는가·300 / 기술과 욕망·303 / 피라미드와 기술·305 / 메소포타미아의 과학·309 / 그리그의 과학과 기술·310 / 자연의 발견·314 / 그리스 과학의 특징·316 / 고대 그리스의 우주론·318 / 코페르니쿠스와 과학혁명·321 / 과학의 기원은 어디에 있는가·323 / QnA 과학과 기술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326

10강 한국 과학기술의 기원 : 세종 시대의 과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박성래
우리는 뛰어난 민족일까·333 / 측우기·337 / 재이사상과 칠정산·340 / 우리나라 근대 과학의 시작·342 / 이광수의 절망과 일제 시대의 과학운동·344 / 한국 과학기술의 시작·347 / 한중일의 과학 발전사·350 / 중국의 근대 과학 수용·352 / 과학주의·354 / QnA 한국 과학기술의 기원에 대해 묻고 답하다·356

사진 출처·358
찾아보기·360

저자소개

김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물리화학을 전공하여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교수와 명예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석좌교수로 재직하였다.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 대표저자로, 재미있고 이해하기 쉬운 일상의 언어로 과학을 전달하는 한국 대중과학교육의 선구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과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연과학의 세계’는 ‘대학 100대 명강의’에 선정되었다. 지은 책으로는 『김희준 교수와 함께하는 자연과학의 세계』1~2, 『철학적 질문 과학적 대답』, 『빅뱅 우주론의 세 기둥』, 『과학으로 수학보기 수학으로 과학보기』(공저) 등 다수가 있다. 2022년 8월, 『수소경제의 과학』 원고를 마지막으로 영면에 들었다.
펼치기
박성래 (감수)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로, 공주고등학교를 2년 만에 수료하고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를, 캔자스 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하와이 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일보·중앙일보 기자를 지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과학기술처 정책자문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문화부 문화재 전문위원 겸 박물관 분과 전문위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총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과학사 서설』(1979), 『한국 과학사』(1982), 『한국인의 과학정신』(1993),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1998), Portent and Politics in Korean History(1998) 등이 있다.
펼치기
최재천 (감수)    정보 더보기
평생 인간과 자연을 관찰해온 생태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 서울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생태학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0여 년간 중남미 열대를 누비며 동물의 생태를 탐구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생명에 대한 지식과 사랑을 널리 나누고 실천해왔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한국생태학회장, 국립생태원 초대원장 등을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양심》 《숙론》 《최재천의 곤충사회》 《다윈의 사도들》 《다윈 지능》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 《과학자의 서재》 《통섭의 식탁》 《열대예찬》 《개미제국의 발견》 등을 썼다. 1989년 미국곤충학회 젊은과학자상, 2000년 대한민국과학문화상을 수상했다. 2019년 세계 동물행동학자 500여 명을 이끌고 총괄편집장으로서 《동물행동학 백과사전》을 편찬했다. 유튜브 채널 〈최재천의 아마존〉을 개설해 인간과 자연 생태계에 대한 폭넓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펼치기
홍성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과학기술학자. 기술재난을 분석한 『우리는 재난을 모른다』를 출간했다. 토머스 쿤과 브뤼노 라투르의 저서를 번역하고 있으며, 조만간 파놉티콘과 전자감시에 대한 논의를 21세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시기로 확대해서 다룬 『파놉티콘: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출간 예정이다.
펼치기
최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삼엽충 화석 연구를 통해 한반도 땅의 역사를 연구하는 지질학자다. 1971년 서울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86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2013년에 지질학 연구에 대한 공로로 운암지질학상을 수상했고, 2015년에 《한반도 형성사》를 출간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수여하는 한국 과학기술도서상 저술상을 받았다.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내가 사랑한 지구》, 《시간을 찾아서》, 《지구의 이해》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배철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전문헌학자이자 작가. 인류 최초 문자들의 언어인 셈족어와 인도-이란어를 전공했다. 기원전 5세기 페르시아제국의 다리우스 대왕이 남긴 삼중쐐기문자 비문에 관한 연구로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건명원(建明苑) 원장과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인류가 남긴 경전과 고전을 연구하여 후대를 위한 강의와 집필 활동에 몰입하고 있다. 블로그 <배철현의 매일묵상>(blog.naver.com/eduba)에 일상의 소소한 관찰을 글로 적고, 유튜브 채널 <배철현의 더코라THE CHORA>에는 동서양 경전과 고전을 통해 얻은 혜안을 영상으로 올리고 있다. 2020년 교육기관 ‘더코라(www.thechora.com)’를 설립하여 청소년과 예술 청년들을 위한 인문학교 ‘서브라임’과 경영인들을 위한 ‘코라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자신과의 심오한 대면과 자기-극복 훈련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문명의 틀이라고 믿는다. 아슈탕가 마이솔 요가 훈련을 통한 영감으로 《배철현의 요가수트라 강독》을 집필하고 있다. 저서로 《타르굼 옹켈로스 창세기》《신의 위대한 질문》《인간의 위대한 질문》《인간의 위대한 여정》《배철현의 위대한 리더》그리고 위대한 개인을 발굴하기 위한 에세이 시리즈 《심연》《수련》《정적》《승화》등이 있다.
펼치기
이홍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나라 당뇨병 유전체 역학 연구를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이홍규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까지 서울대학교 내분비내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내분비대사영양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 내과 분과장, 국립보건원 생명의학부 부장, 중앙유전체연구소 소장,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회장, 대한내분비학회 회장, 대한당뇨병학회 회장, 아시아 당뇨병연구연맹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을지병원 석좌교수로 일하고 있다. 이홍규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은 당뇨병 역학조사를 실시해 한국인의 당뇨 치료 지침을 마련했고,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양적 이상이 당뇨병 발병의 주요 원인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의사로서,《아시아 미토콘드리아 연구학회》를 설립해 당뇨병의 근본적인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연구에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내과학 2005 최신지견』『당뇨병학』『바이칼에서 찾는 우리 민족의 기원』『복잡계의학-미토콘드리아, 에너지, 생명』『당뇨, 기적의 밥상』 등이 있다.
펼치기
우종학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자 거대 블랙홀과 은하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다. 예일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샌타바버라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UCLA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미 항공우주국 NASA 허블 펠로십(Hubble Fellowship), 한국천문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등 국제 학술지에 100편이 넘는 논문을 게재했고, 연구 외에도 과학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강연과 저술에 힘쓰고 있다. 과학과 기독교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며 연구하고 교육하는 단체인 ‘과학과 신학의 대화’를 설립해 대표를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IVP),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새물결플러스), 『우종학 교수의 블랙홀 강의』(김영사), 『대화』(공저, 복있는사람), 『기원』(공저, 휴머니스트)이 있고, 『현대 과학과 기독교의 논쟁』(공역, 살림), 『쿼크, 카오스, 그리스도교』(비아)를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이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포의 미스터리로 생명의 신비를 푸는 생명과학자’ 이화여자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 전공으로 유방암 암억제인자 BRCA2의 기능을 세계 최초로 밝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하버드 의과대학 세포생물학과와 워싱턴 주립대학 생화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쳤으며, 지금은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암세포생물학연구실에서 인간의 수명과 노화 그리고 질병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바이오인공지능연구단을 설립해 단장을 맡고 있다. 암세포 생물학의 난제 중 하나인 ‘염색체 불안정성’의 비밀을 처음으로 풀어내 암의 발병 원인을 규명했다. 또한 생체 시계라고 불리는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DNA가 복제할 때 이루는 새로운 구조의 비밀을 밝혀 노화와 더불어 텔로미어 DNA가 손상되는 메커니즘, 나아가 텔로미어 손상으로 암세포가 탄생하는 새로운 기전을 제시했다. 최근에는 생명과학 연구에 AI 기술을 적용한 융합 연구를 통해 우리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차세대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생명과학 분야의 미래를 이끄는 선도적인 연구 활동 외에도 카오스재단 과학위원과 이사, 서경배과학재단 이사로 과학 발전을 위한 사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KBS 〈이슈 Pick! 쌤과 함께〉, tvN <미래 수업>에 출연해 노화의 치료 가능성에 대해 흥미롭게 들려주는 등 대중과 생명과학 분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이 책은 저자의 첫 번째 책으로 삶과 죽음의 내밀한 세계를 세포의 눈으로 우리에게 생생하게 들려준다.
펼치기
박형주 (감수)    정보 더보기
국제수학연맹(IMU) 집행위원, 전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 아주대학교 수학과 석좌교수이다. 미국 오클랜드대학교 수학과 교수,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수학과 주임교수,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을 거쳐 현재 아주대학교 총장으로 재임 중이다. 2014 세계수학자대회(ICM) 조직위원장을 맡아 한국에서 열린 첫 번째 ICM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저서로는 《수학이 불완전한 세상에 대처하는 방법》 《기원the Origine》(공저) 《내가 사랑한 수학자들》이 있다. 수학의 대중화와 교육에 관심이 높아 EBS 수학 다큐멘터리 <생명의 디자인>(2009)과 KBS <명견만리>(2015)의 진행자로 참여했고, EBS 수학 다큐멘터리 <문명과 수학>(2012)의 자문 및 감수자로 참여했다. 현재 일간지와 주간지에 다양한 칼럼을 연재하는 중이다.
펼치기
재단법인 카오스 (기획)    정보 더보기
우리는 과학이 세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과학적 사고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과 기초과학에 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지식을 대중 강연, 콘서트, 출판 등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나누고자 합니다. 카오스재단의 강연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며 지난 강연은 재단 홈페이지와 네이버 TV캐스트, 유튜브를 통해 다시 볼 수 있습니다. • https://www.ikaos.org • https://tv.naver.com/kaos • https://www.youtube.com/KAOSscience
펼치기
재단법인 카오스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862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