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회복적 정의 실현을 위한 사법의 이념과 실천

회복적 정의 실현을 위한 사법의 이념과 실천

하워드 제어 (지은이), 조균석, 김혁, 김성돈, 한영선, 김재희, 김현, 박성훈, 안성훈, 이창진, 장다혜, 장원경 (옮긴이)
KAP(Korea Anabaptist Press)
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회복적 정의 실현을 위한 사법의 이념과 실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회복적 정의 실현을 위한 사법의 이념과 실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법률이야기/법조인이야기
· ISBN : 9788992865203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5-01-22

책 소개

KAP 정의와 평화 실천 시리즈 6권. KAP 정의와 평화 실천 시리즈는 정의와 공의, 평화라는 개념이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영역에 머물지 않고, 사람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구체적인 삶의 자리에서 실현되도록 하려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개관
왜 정의화 평화 실천 시리즈인가?
회복적 사법에 대한 잘못된 인식들
회복적 사법은 니즈와 역할을 중시한다

제2장·회복적 원리
회복적 사법의 세 개의 기둥
“누가” 그리고 “어떻게”가 중요하다.
회복적 사법은 잘못을 바로잡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복적 렌즈
회복적 사법을 정의하기
회복적 사법의 목적
회복적 사법의 길잡이 질문
회복적 사법의 이정표

제3장·회복적 실무
핵심적 접근방식은 통상 만남을 포함한다.
“참여주체”와 “진행방식”에 따른 모델의 유형
목적에 따른 모델의 유형
회복적 연속체

제4장·둘 다인가 아니면 그 중 하나인가
응보적 사법 vs. 회복적 사법?
형사사법 vs. 회복적 사법?
회복적 사법은 강과 같다.

부록 I. 회복적 사법의 기본 원리
참고문헌
해 제
용어번역 알람표

저자소개

하워드 제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회복적 사법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는 처음으로 미국에서 피해자-가해자 회합 프로그램을 기획·주도하였고, 회복적 사법을 이론적으로 발전시킨 사람 중에 하나이다. 그의 저서인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원제 Changing Lenses: A New Focus for Crime and Justice, 2012년 KAP 출간)는 이 분야의 고전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Doing Life: Reflections of Men and Women Serving Life Sentences』와 『Transcending: Reflection of Crime Victims』 등 많은 저서가 있다. 하워드 제어는 이스턴 메노나이트 대학(해리스버그, 버지니아주 소재)의 대학원 부설 「사법과 평화구축센터」의 공동 소장이다. 이런 배경으로 그는 회복적 사법 분야에 대하여 강의하고, 실무를 하고 있다. 하워드 제어는 시카고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럿거스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김성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석사 및 법학박사학위 취득 독일 프라이부르크(Freiburg) 대학에서 박사과정 수학 경북대학교 법과대학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역임 사법시험․변호사시험 출제위원 법무부 형사법개정특별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현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요 저․역서 1. 사례연구 형법총론(1998) 2. 미국형사소송법(역, 1999) 3. 로스쿨의 영화들(2007) 4. 독일형사소송법(역, 2012) 5. 도덕의 두 얼굴(역, 2015) 6. 기업 처벌과 미래의 형법: 기업은 형법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2018) 7. 법의 이름으로(역, 2020) 등
펼치기
조균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제22회 사법시험 합격 일본 케이오대학 방문연구원 주일본 대한민국대사관 법무협력관(참사관) 서울남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변호사 일본 케이오대학 법학부 특별초빙교수 일본 대동문화대학 법과대학원 비상근강사 사법시험위원 한국형사판례연구회․한국피해자학회 회장 대검찰청 검찰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저·역서 일본형사소송법(2012)(역서) 형사소송법연습(제8판, 2017)(이재상 공저) 형사법사례형해설(제10판, 2025)(공저) 형사법통합연습(제5판, 2022)(공저) 형법주해(전 12권)(2023-25)(대표편집)
펼치기
김재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형사법을 전공(법학박사)했고, 현재 성결대학교 파이데이아학부 조교수이다. 회복적 사법과 관련해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회복적사업센터, 게이오대학교 법학부 등에서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서울중앙지검 형사조정위원, 경찰청 회복적경찰활동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안성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부 학사 일본 메이지대학 대학원 형사법 석사 일본 메이지대학 대학원 형사법 박사 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주요 저서 및 역서> 修復的正義の諸相(공저, 성문당, 2015) 일본행형법(공역,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6) 현대 한국의 범죄와 형벌(공저, 박영사, 2017)
펼치기
장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같은 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및 행정환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지니고 있으며, 대법원 전문직 재판연구관을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분쟁의 발생 및 다양한 해결 방법,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분쟁해결방법, 집단소송, 공공갈등관리, 학교폭력, 생명윤리, 사법통역 등의 주제로 3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