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3463927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6-07-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인권을 말하다
1강. 나는 왜 너를 괴롭히는가? - 표창원
폭력에 길들여진 사회 | 폭력의 심리학 | 정의로운 폭력은 존재하는가 | 폭력과 비폭력 사이 | ‘사랑의 매’는 정당한가? |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가? | 나는 왜 너를 괴롭히는가? - ‘갑질’의 이면 | 다시, 인간 본성을 묻는다
2강. 국가냐 개인이냐 - 오인영
민주주의의 세 가지 원리 | 국가냐 개인이냐 | “민주주의 내부의 적” | 지배자의 세 가지 논리 |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는 길
3강. 편견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나? - 선우현
철학에 관한 근거 없는 편견들 | 철학과 현실 사이의 긴밀한 내적 연관성 | 철학의 열 가지 주요 특성들 | 일상에서의 철학의 역할과 기여 | 철학(함) 직접 해보기
4강. 타잔은 왜 백인일까? - 이희수
아이에스(IS)를 아십니까? | ‘단일 민족’ 신화에서 벗어나기 | 타잔은 왜 백인일까? | 세계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이슬람 | 분쟁 지역으로서의 이슬람 | 유럽과 이슬람의 오랜 악연 | ‘세계사’에서 빠진 이슬람 역사 | 세종대왕과 이슬람의 과학기술
5강. ‘자기 이유’를 가지고 살아갈 힘 - 고병헌
평화를 배운다는 것 | 서로가 삶의 스승일 수 있다 | 삶의 ‘과정’에서 경험되는 평화, 자유, 행복 | 삶의 문맥을 짓는 힘 | ‘자기 이유’를 가지고 살아갈 힘 | 경쟁에 대한 대안적 이해 | ‘죽음’에 대한 성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안녕하십니까? 만나서 반갑습니다.
우리에게 남아 있는 이타심, 도덕이나 윤리의식 같은 것이 이성적 산물만은 아닙니다. 진화 과정을 통해 인류의 DNA에 새겨진 것이에요. 약자를 보호하는 게 결국은 인류 전체의 발전에 유리하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저는 여기에 희망이 있다고 생각해요. - 표창원
민주주의는 우리의 일상적 삶 속에 있습니다. 민주주의가 흔들리면 우리 삶도 흔들립니다. 우리가 꿈꾸는 삶을 향해 나아갈 때 민주주의도 한 걸음 더 발전합니다. - 오인영
데카르트는 이런 불합리한 신분제 사회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정말로 신이 위대하고 전지전능하다면 왜 신음하고 고통받는 피지배 계층이 존재하는가? 소수 특권층만이 인간답게 살고 나머지 다수는 핍박받는 비인간적인 신분제가 어떻게 신의 이름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 선우현
다문화는 포용을 필요로 합니다. 소수 집단은 억압하고 차별할수록 돌덩이처럼 더 강하게 결속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동서고금을 통해 봐도 불변의 법칙입니다. 포용하지 않으면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어요. - 이희수
설레며 나이 듦의 길을 걸을 수 있기 위해서는 몸의 아름다움이 수그러드는 그 여백을 지혜미나 절제미, 배려미 등의 또 다른 아름다움들로 채워가는 준비와 노력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이가 들수록 ‘끝마침의 아름다움’(유종미)을 추구해야 합니다. - 고병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