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94955858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12-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畵報
제1부 압축적 근대화 속의 농촌사회
제1장 총론|이성호.이정덕
1. 최내우(崔乃宇)
2. 최내우의 ‘일기쓰기’
3. ??창평일기??(1969~1980)
1) 가족과 자녀 그리고 개인
2) 가족의 경제활동
3) 마을 사회와 마을 내 사회적 관계
5) 과학화와 문명화
6) 마을 주민 간 교환, 거래 관행
7) 공간의 분화와 확장, 침투와 개방
4. [월파유고]
1) 최내우의 삶과 [월파유고]
2) [월파유고]에서의 두 번째 시기
5. 압축적 근대화와 농촌사회
제2장 1970년대 국가와 농촌개발
1. 국가권력과 지역 사회|이성호
1) 국가 체제에 의한 수직적 통합
2) 국가의 이념적, 도덕적 지배
3) 시장 논리의 확산과 수용
2. 농촌개발과 새마을운동|김희숙
1) 농업.농촌기반시설 확충
2) 식량.퇴비증산
3) 농가소득사업과 영농기술교육
4) “새마을事業”
3. 농업과 농가사업|문만용
1) 통일벼와 새로운 영농기술
2) 도정공장
3) 양잠
4) 산림녹화와 양묘
5) 축산
6) 맺음말
4. 일상생활 속 물질문화|문만용
1) 전기와 전화
2) 상수도
3) 교통수단
4) 보건의료
5) 맺음말
제3장 지역사회의 조직과 농촌경제
1. 촌락사회의 조직들|안승택
1) 행정조직
2) 대동조직
3) 생산조직
4) 상조친목조직
2. 농촌노동의 양상|양선아
1) 교환노동
2) 고용노동
3) 가족노동
4) 맺음말
3. 비-시장교환의 양상들|안승택
1) 호혜적 교환의 성격을 지닌 증여
2) 재분배로서의 ‘희사’
제4장 가족과 개인
1. 가족, 친족, 문중생활|이정덕
1) 부모, 형제, 본인
2) 처, 자녀
3) 친가친족
4) 외가와 처가친족
5) 제사 및 문중활동
2. 생활권역과 외지출입|김규남
1) 창평 마을의 삶
2) 주변 지역과의 교류
3) 외지 출입
4) 맺음말
3. 언어생활과 표기 특성|김규남
1) 토속 방언의 반영과 기피
2) 과도교정과 외재적 위신 지향성
3) 한자 사용에 대한 집착과 한계
4) 표기 특성
5) 맺음말
제2부 월파유고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는 한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겪은 일들을 매일 매일 적어 놓은 기록이다. 그래서 그 속에는 한 시대를 살아온 개인의 생각과 행동, 느낌과 해석 등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이렇듯 일기는 개인의 자연스러운 일상생활 모습을 총체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나 공식기관에서 출간된 각종 공식기록뿐 아니라 가문의 문서와 같은 다른 사적 문서들과도 분명하게 구별된다.
일기는 한 사람이 보고 듣고, 경험하고 느낀 바를 그때그때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과거의 특정한 역사적 시기나 사건을 발생 당시의 현장 상황에서 가장 생생하게 복원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자료이다. 조금 개념적으로 정리하면 일기는 변화하는 사회와 문화 속에서 개인의 물질적, 사회문화적, 정신적 위치 정보를 담고 있어서, 전체 사회 또는 민족국가 수준의 사회변동과 지역사회 및 공동체 수준의 변동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을 개인의 경험을 통해 보여준다. 즉 일기는 총체적이며 현장적이고 구체적이다.
‘제1장’ 총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