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96051541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8-09-24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축제의 풍경
마쓰리, 경계를 넘어 히라이 토시하루
시대의 변화와 함께 새로 태어난‘한일축제한마당’- 역사연구자의 상념(想念) 정 재정
조선시대 축제의 다양한 모습 전 경욱
제 2 장 한일 이문화(異文化) 축제 이야기
대담-충돌을 넘어 포용의 시대로 지 명관, 오구라 가즈오
'마쓰리'를 둘러싼 한일 마음의 교류, 그 다중주체주의적 고찰 오구라 키조
이문화(異文化), 이세계(異世界)로의 창 - 일본인이 본 한국 축제 가미야 니지
신과 인간이 함께 즐기는 마쓰리 - 한국인이 본 일본 축제 박 전열
제 3 장 축제의 기원과 현대
낱말과 함께 생각하는 한..일의 축제 김 용운
한국과 일본의 제사(祭祀)감각과 샤머니즘 마쓰오카 세이고
민속축제문화와 현대한국사회 서 연호
'사슴춤' 이 있는 풍경 아카사카 노리오
제 4 장 우렁차는 열 정 - 한일축제한마당
마음을 전하는 편지 구로다 후쿠미, 윤하
한일축제한마당은 북극성 다카수기 노부야
한일축제한마당의 전망과 과제에 대한 사적(私的) 고찰 부 백
차이를 조화로 바꾸는 마법 이마니시 하지메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일간의 지적(知的)교류는 일부 학회나 연구자에 국한된 면이 있었다. 게다가 내용도 지나치게 전문적이어서 일반 독자들을 쉽게 끌어당길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웃나라 문화에 관심이 있는 일반 독자들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수준의 내용과 전문성을 유지하고 있는 글을 소개하는 일은 한일문예비평계에 새로운 논의의 장을 마련할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범국민적 상호이해를 깊이 하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즉, 일반인들도 한일간의 문화적 연관성에 대한 지적이해를 심화시켜야 하는 시기에 와 있다고 본 것이다. (머리말에서 - 히라이 토시하루)
한일관계는 이미 상당한 성숙단계에 이르렀으며 민간교류는 역사의 벽을 넘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마쓰리과 축제 교류의 실현도 이러한 토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역사를 바라보는 진지한 태도야말로 우리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자세이다. 역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등 현명치 못한 행위로 인해 교류의 싹을 짓밟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겠다. (맺음말에서 - 오구라 키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