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55800300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5-01-15
책 소개
목차
1장. 석전과 한암을 통해 본 불교와 시대정신
Ⅰ. 서론_출가주의에 대한 재가주의의 도전
Ⅱ. 일제강점기의 계율문제
1. 일본불교의 침탈과 한국불교의 정체성
2. 한용운의 대처주장과 판단착오
Ⅲ. 석전과 한암의 계율정신
1. 석전의 『계학약전』 편찬
2. 한암의 선계일치와 4차례의 교정과 종정
Ⅳ. 결론-시대적 요청과 조계종의 미래
2장. 근대 한국불교에서 한암의 역할과 불교사적 의의
Ⅰ. 들어가는 말
Ⅱ. ‘궁핍한 시대’의 시인과 출사사문
Ⅲ. ‘마음의 자유’가 ‘행위의 자유’를 보장하는가?
Ⅳ. 결론
3장. 한암의 선사상과 계율정신
Ⅰ. 들어가는 말
Ⅱ. 한암의 선사상과 계율정신
1. 한암의 선사상
2. 한암의 계율정신
3. 한암의 선사상과 계율정신의 함수관계
Ⅲ. 나가는 말
4장. 한국불교와 석전 영호의 위상
Ⅰ. 서론
Ⅱ. 석전 영호의 발자취와 인간적 면모
1. 미당 서정주의 글에서
2. 위당 정인보의 글에서
3. 육당 최남선의 글에서
Ⅲ. 석전 영호의 한국선문금침
1. 막행막식의 선풍을 비판함
2. ‘본래무일물’ 구절의 폐혜
3. 조사선은 여래선보다 우월한 것인가?
4. 왜 오후수행을 하지 않는가?
5. 선교겸수의 주창
Ⅳ. 결론
5장. 석전의 계율관과 『계학약전』
Ⅰ. 들어가는 말
Ⅱ. 석전 영호의 계율관
1. 석전의 계율관 배경
2. 석전의 계율적 계보
3. 석전의 계율관 특징
Ⅲ. 『계학약전』의 의의
1. 『계학약전』의 내용
2. 『계학약전』의 특성
3. 『계학약전』의 의의
Ⅳ. 결론
6장. 석전과 한암의 문제의식
Ⅰ. 서언
Ⅱ. 석전과 한암의 행적에 나타난 비교
1. 수행
2. 교육 활동
3. 집필활동
4. 종단활동 및 민족운동
Ⅲ. 결어
7장. 영호 정호와 중앙불교전문학교 - 한국의 ‘윌리엄스 칼리지’ 혹은 ‘엠허스트 칼리지’
Ⅰ. 문제와 구상
Ⅱ. 석전 영호의 살림살이
Ⅲ. 개운사와 대원암의 불교전문강원 개원과 불전
Ⅳ. 중앙불교전문학교의 승격과 학풍
Ⅴ. 영호 정호의 사고방식
Ⅵ. 정리와 맺음
8장. 한암 선사의 선문답과 공안
Ⅰ. 선문답의 의의와 역할
Ⅱ. 선문답의 성격과 분류
Ⅲ. 한암 선사의 선문답
Ⅳ. 맺는말
9장. 천태에서 본 한암 스님의 선사상
Ⅰ. 머리말
Ⅱ. 계잠과 천태의 25방편
1. 계잠과 지계청정
2. 계잠과 의식구족, 한거정처, 식제연무
Ⅲ. 한암과 천태의 염불
1. 천태의 염불
2. 한암의 염불화두선
Ⅳ. 간경과 반행반좌삼매
Ⅴ.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