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서울 보성고 졸업
동국대학 불교학과(불교학 인도철학) 졸업
동국대학 대학원 석박사(인도불교 한국불교) 졸업
고려대학 철학과 대학원(동양철학 한국철학) 박사수료
미국 하버드대학 한국학연구소 연구학자 역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외국인연구원 역임
동국대, 서울대, 서울대대학원, 서울시립대, 강원대,
한림대 외래교수 역임
사)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역임
한국불교사학회 회장 겸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 교수 (현재)
유튜브: 고영섭교수의 문사철대학
한국불교사연구소TV
『한국사상사』, 『한국의 불교사상』, 『한국불교사』, 『한국불학사』(3책), 『붓다와 원효의 철학』,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분황 원효』,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2책), 『분황원효불교사상사』 등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사 관련 논저 다수
펼치기
김광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 대학원 수료. 문학박사, 현재 동국대 특임교수.
『한국근대불교사 연구』, 『한국근대불교의 현실인식』,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우리가 살아온 한국불교백년』, 『새불교운동의 전개』, 『한국현대불교사 연구』, 『한용운 연구』, 『백용성 연구』, 『선학원 연구』, 『보문선사』, 『명성스님 수행록』 등의 저서가 있음.
펼치기
신규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인도철학과와 중국철학과에서 화엄과 선불교를 연구하여 1994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화엄철학, 선불교, 중국철학사, 도가철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규봉종밀과 법성교학>, <선문답의 일지미>, <한국 근현대 불교사상 탐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일우 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무봉 성우 대율사께 율맥 전수(2020), 여천 무비 대강백께 강맥 전수(2022), 중봉 성파 종정예하께 선맥 전수(2023).
동국대 불교학과와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율장)와 고려대 철학과(선불교), 동국대 미술사학과(건축)・역사교육학과(한국 고대사)・국어교육학과(불교 교육)・미술학과(고려불화)・부디스트비즈니스학과(강릉단오제)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국대 강의전담교수와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중앙승가대 불교학부 교수와 승가학부 학부장 및 동국대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 월정사 교무국장과 수행원장, 사단법인 인문학과명상연구소 이사장,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이사장 겸 회장,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부회장, 동국대 교책 연구 기관인 선·교·율 실천연구소 소장 등을 맡고 있다.
불교와 인문학을 아우르는 190여 편의 논문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수록했으며, 『인생이 흔들릴 때 열반경 공부』, 『태양에는 밤이 깃들지 않는다』, 『성공을 쟁취하는 파워 실전 명상』, 『최강의 공부 명상법』 등 70여 권의 저서를 펴냈다. 저서 가운데 『불교미술사상사론』(2012)과 『신이 된 선승, 범일국사』(2024)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찰의 상징세계(상・하)』는 2012년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붓다순례』(2014)와 『스님의 비밀』(2016), 『불화의 비밀』(2017), 『스님, 기도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2019)는 세종도서, 그리고 『백곡 처능, 조선불교 철폐에 맞서다』는 2019년 불교출판문화상 붓다북학술상에 선정되었다. 이외에 제7회 영축문화대상(학술 부문)과 제1회 한암상 및 제19회 대원상 특별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오경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교수.
동국대학교 사학과에서 「조선 후기 승전과 사지 편찬」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조선 후기 불교문화사를 연구하여 조선불교가 지닌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저서로는 『사지와 승전을 통해 본 조선후기 불교사학사』, 『조선후기 불교동향사연구』, 『조선시대 불교의 호국과 호법』이 있으며, 2020년에는 일제강점기 불교를 중심으로 한 『한국근대불교사론』을 펴낸 바 있다.
펼치기
김상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중국 북경외국어대학 전임교수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불교문학에 대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공저로 『불교문학과 불교언어』·『불교문학 연구의 모색과 전망』·『불가의 글쓰기와 불교문학의 가능성』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한국불가한시선』 등을 번역했으며, 「박한영의 저술 성향과 근대불교학적 의의」 등 다수의 불교계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펼치기
정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봉큰스님 증손자
1975년 도승스님을 은사로 출가
1985 년 사미계, 1991년 구족계를 범어사에서 자운스님을 계사로 수지
동국대 선학과에서 학.석.박사 학위 취득
‘경봉선사 연구’ 논문
前 정각사(통도사 양산전법회관) 주지
前 대한불교조계종 교육부장, 한국선학회 10대 회장 역임
現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장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동국대학교 선학과 학과장
서울국제명상엑스포 운영위원장
펼치기
법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대학원에서 불교를 공부하다가 불심도문 스님을 은사로 발심 출가한 뒤 오랜 세월 깨달음을 찾았다. 불교의 가르침은 물론이고, 동서고금의 영성, 종교, 명상 단체와 역사 속의 성자와 스승 등을 두루 찾았으며, 갈고닦았고, 절망했다. 결국 돌고 돌아 방편을 뺀 초기불교와 선불교에 눈뜨면서 더 이상 찾지 않을 수 있었다. 현실에서는 20년 남짓 군승(軍僧)으로 재직하며 군인들에게 마음공부를 전했고, 동시에 인터넷 마음공부 모임인 ‘목탁소리’를 이끌었다.
현재는 사단법인 대원회 상주 대원정사와 해운대 목탁소리 주지로 있으며, 유튜브 ‘법상스님의 목탁소리’를 통해 종교를 초월해 17만여 구독자와 소통하고 있다. 특히 매주 실시간으로 열리는 유튜브 목탁소리 토요법회와 대원정사 일요법회는 매회 1천여 명 이상의 도반들이 온오프라인 법회에 동참하고 있다. 스님의 설법은 자상하지만 파격적이고, 쉽지만 강력하다. 무엇을 하라고 하는 것이 없음에도, 강의를 듣는 것만으로도 저절로 괴로움은 쉬고, 삶이 변화된다.
저서로는 『법상의 슬기로운 생활수행』, 『부자수업』, 『보현행원품과 마음공부』, 『수심결과 마음공부』, 『금강경과 마음공부』, 『반야심경과 선 공부』, 『도표로 읽는 불교 교리』, 『눈부신 하루를 시작하는 108 필사 명상』, 『내 안에 삶의 나침반이 있다』 등이 있다.
◾홈페이지: www.moktaksori.co.kr
◾유튜브: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