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742924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총론 재난문학론을 위하여
한・미・일 재난 서사의 마스터플롯 비교 연구
1. 문제해결의 시뮬레이션으로서의 마스터플롯과 재난 서사
2. 한・미・일의 재난 서사 마스터플롯 구조 비교
3. 결론:마스터플롯 다시 쓰기의 시대
9・11과 3・11, 혹은 문학의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에서
1. 재난문학의 두 층위, 치유서사와 대항서사
2. 9・11, ‘적과 동지’의 인식/서사를 넘어:조너선 사프란 포어(Jonathan Safran Foer)와 모신 하미드(Mohsin Hamid)의 경우
3. 3・11, ‘신화와 부흥’의 인식/서사를 넘어:신카이 마코토(新海誠)와 다와다 요코(多和田葉子)의 경우
4. 결론을 대신하여:재난문학의 문화/문명론적 기능
제1부 체르노빌에서 후쿠시마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의 문학에 나타난 방사능과 경계
1. 들어가며
2. 『가지지 못한 사람』과 불안의 외부
3. 『혹은 수라의 십억 년』과 유동하는 경계
4. 방사능을 문학화한다는 것
5. 나가며
재난 속의 동물과 인간
1. 들어가며:재난과 동물, 그리고 인간
2. 축산 농장과 생정치
3. 동물 돌봄 행위와 인간 표상
4. 돌봄 바깥의 동물 표상
5. 나가며:재난 속의 인간과 동물의 관계 재정립과 「성지Cs」의 의미
제2부 팬데믹, 취약성과 연대성
포스트코로나 멜랑콜리아
1. 코로나바이러스 시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2. 정동으로서의 애도와 우울
3. (포스트)코로나 멜랑콜리아, 그리고 문학
재난의 생명 정치와 연대의 (불)가능성
1. 자연의 역습, 근대성의 한계와 ‘재난’
2. ‘재난’, 그리고 연대의 불가능성:정유정과 편혜영의 소설
3. 연대, 사랑, 그리고 재난적 주체에서 벗어나기:최정화와 최진영의 소설
4. 나오며
제3부 인류세, 기후변화, 포스트휴먼
기후재난은 어떻게 서사화되는가
1. 문제의식
2. ‘허리케인 도널드’ 이후의 세계
3. 지구공학적 해결이라는 환상
4. Cli-Fi를 읽는 시간
재난서사의 새로운 동향과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출현
1. 재난에 대한 새로운 인식
2. 재난의 경험과 재건의 상상력:『지구 끝의 온실』
3. 방법으로서의 재난과 새로운 문명:「리셋」, 「7교시」
4. 인류의 종말과 ‘우리’의 시작:「두 번째 유모」
5. 인류세 문학을 꿈꾸며
『지구 끝의 온실』에 나타난 자연재해 아포칼립스 세계의 주체와 공동체 연구
1. 들어가며
2. 아포칼립스 세계의 인간의 권리
3. 아포칼립스 세계의 해체되는 공동체
4. 아포칼립스 세계의 기술자 주체
5. 지구의 녹색 주체
6.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