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면역국가의 탄생

면역국가의 탄생

(20세기 미국의 백신접종 논쟁사)

제임스 콜그로브 (지은이), 정세권 (옮긴이),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기획)
모시는사람들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75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면역국가의 탄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면역국가의 탄생 (20세기 미국의 백신접종 논쟁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6291906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04-30

책 소개

20세기 미국에서 천연두, 디프테리아, 소아마비, 홍역 등 다양한 전염병을 예방, 퇴치하기 위한 백신접종을 둘러싸고 벌어진, 국가와 개인의 권리 사이의 정치적, 윤리적, 법적 논쟁의 역사를 짚어본다.

목차

옮긴이의 글
서문
감사의 글

서론┃미국 역사 속 백신접종의 정치학과 법률
위험, 강제, 그리고 백신접종의 윤리
백신접종 정책과 법률의 진화

1장┃설득과 강제 사이―20세기 전환기 백신접종
1893~1894년 대유행
법정에 선 백신접종
1901~1902년 대유행
야콥슨 대 매사추세츠 사건 그리고 강제된 건강

2장┃민주주의 속 과학―혁신주의 시대와 1920년대 천연두 백신접종
과학의 위상과 국가의 범위
너무 다양한 백신접종 반대론
‘민주주의 속의 과학’
성인, 아이 그리고 강제의 범위
무관심, 행동주의 그리고 천연두의 오래된 위협
백신접종 반대론의 쇠락과 천연두의 소멸

3장┃디프테리아 백신접종―설득의 힘 그리고 한계들
독소-항독소 그리고 디프테리아 백신접종의 기원
뉴욕의 ‘디프테리아는 이제 그만(No more Diphteria)’ 캠페인
설득의 힘: 새로운 공중보건 이데올로기의 등장
공중보건 vs. 민간의학
설득의 한계
디프테리아 백신접종의 유산

4장┃강경파와 약점―소아마비 백신 팔기
소크 백신의 출현
‘뒷문으로 들어온 사회주의 의학?’
“소크에게 돌려주지 마라”: 백신 판매
사회적 기울기의 (재)발견
소크에서 세이빈까지
백신접종지원법
소아마비의 소멸

5장┃박멸주의와 그에 대한 불만들
홍역 백신과 사회적 기울기
홍역 박멸
위험과 이익: 미국에서 천연두 소멸이 가져온 결과
끈질진 홍역
‘No Vaccine, No School’: 강제의 귀환
백신접종, 종교 그리고 법정

6장┃동의, 설득, 그리고 배상―위기 속 백신접종 프로그램
정보에 입각한 자발적 동의, 경고할 의무 그리고 책임 위기
신종플루 그리고 전국적 백신접종 그룹
‘No Shots, No School’: 강제와 반발
백일해, 학부모 그리고 연방보험 체계로 가는 길

7장┃확대와 반발―21세기 전환기 백신접종
아동을 위한 백신
모든 아동의 수를 세기
‘포위당한’ 백신
민주주의 속 과학, 돌아오다
우리 불평의 ‘어두운 겨울’: 천연두 백신접종의 귀환
21세기 백신접종: 새로운 것과 오래된 것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제임스 콜그로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롬비아 대학교 메일먼 공중보건대학(Mailman School of Public Health) 교수. 개인의 권리와 공공복지의 관계, 그리고 미국 역사에서 공중보건 정책이 변해온 사회적, 정치적, 법적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Epidemic City: The Politics of Public Health in New York(2011), Searching Eyes: Privacy, the State, and Disease Surveillance in America(공저, 2007), The Contested Boundaries of American Public Health(공동편집, 2008) 등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세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농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양 과학기술의 역사 특히 미국 의료의 역사를 공부했고 최근에는 한국 의료의 역사도 연구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대외정책과 공중보건의 관계 및 한국에 미친 영향, 1960년대 이후 한국 의료의 전문화 및 상업화, 의료기술의 역사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본성과 양육이라는 신기루』(2013), 『과학, 사실과 사기 사이에서』(2011) 등 다수의 번역서와 『질병과 함께 걷다』(2024), 『첨단기술시대의 의료와 인간』(2024), 『새로운 의료, 새로운 환자』(2023), 『환자란 무엇인가』(2023) 등 공저서를 출판했다.
펼치기
정세권의 다른 책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은 4차 산업혁명시대 인간 중심 가치를 정립할 수 있는 통합의료인문학의 구축과 사회적 확산을 목표로 연구와 실천을 진행하고 있다. 의료인문학 지식의 대 중화에 힘쓰고 지역사회의 인문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지역인문학센터 〈인의예지〉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백신접종에 회의적인 사람들 특히 부모들은 강제력을 사용하는 것에 격렬하게 반대해 왔다. 이들의 생각은 Vaccination News라는 백신접종 반대 사이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사이트는 “일말의 가능성뿐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아이를 해칠 뭔가를 억지로 할 수밖에 없는 부모들을 반대한다”고 자신을 소개한다. 이런 태도는 백신접종과 위험에 관한 아주 중요한 심리적 현상, 즉 작위적 오류(errors of commission)보다 부작위의 오류(errors of omission)를 더욱 선호한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면역력을 얻지 못하는 것이 아이를 더 위험하게 할 수 있다는 반론은 (백신접종에 회의적인) 부모의 걱정과 불안 앞에서는 거의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20세기 전환기 주 정부 혹은 지방정부가 공동체의 복지를 위해 거주민 개인의 자유를 얼마나 제한할 수 있는지는 해결되지 못한 난제로 남았다. 백신접종 반대론자들이 제기한 수십 건의 소송은 전국의 법정에서 수많은 판결을 낳았다. 대부분의 판결은 강제적 백신접종 법안을 옹호하는 것이었고, 특히나 학교 입학 조건에 이를 적용했다. 그렇지만 브루클린 보건 당국을 상대로 한 윌리엄 스미스의 소송과 같은 예외적인 판결도 있었다. 스미스 사건과 같은 여러 사례는 주 입법부가 강제적 조치를 특별히 승인할지 여부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이런 대립된 의견들은, 전염병을 통제하기 위해 광범위한 경찰력을 사용할 수 있는 주 정부 및 지방정부의 권한을 확실히 한 역사적인 대법원 판결의 배경이 되었다.


과학과 정통 의학에 대한 의심, 그리고 개개인의 행동에 대한 정부의 간섭을 반대하는 반국가주의 이데올로기가 백신접종 반대론자들에게 공통의 기반을 제공했지만, 이런 표면적인 유사함 뒤에는 각각의 배경과 전망에 있어 중요한 차이가 있다. 당시 공중보건 관료들은 보통 백신접종 반대론을 균질적인 운동으로 이해하면서 ‘반대론자들(the anti’s)’이라고 경멸하듯 불렀고 대중매체 논평자들의 평가도 비슷했다. 그러나 이 시기 전국에 걸쳐 일어난 백신접종 반대 운동을 하나의 통합적인 현상으로 바라보면 안 된다. 20세기 초 백신접종 반대 운동은 믿음·전략·목적 등에서 서로 다른 각양각색의 비균질적인 개인과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