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86430842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19-01-20
책 소개
목차
서문 | 6
제1장 선사시대의 빵 | 11
최초의 농부, 개미 | 13
쟁기의 발명 | 21
풀들의 경쟁 | 31
제2장 고대의 빵 | 43
제빵의 발견―이집트 | 45
네 얼굴에 흐르는 땀으로―이스라엘 | 70
씨알의 수난―그리스 | 93
엘레우시스의 빵 신전―그리스 | 114
빵은 곧 정치다―로마 | 144
빵의 신, 예수 그리스도―로마 | 168
제3장 중세의 빵 | 205
옛 땅, 새로운 사람들 | 207
수도사, 수호신 그리고 농민 | 214
방앗간 주인은 모두 도둑이다 | 230
제빵사가 우리를 굶주리게 한다 | 247
기아의 세기 | 261
괭이를 든 사람들 | 283
피 흘리는 빵 | 296
부풀어 오르는 빵 | 314
최후의 만찬에 대한 논쟁 | 336
제4장 초기 아메리카의 빵 | 355
위대한 방랑자―옥수수 | 357
감자의 시대 | 383
스퀀토와 올리버 에반스 | 402
제5장 19세기의 빵 | 435
과학은 혁명을 막을 수 있는가 | 437
프랑스 혁명의 주역, 빵 | 450
빵에 패배한 나폴레옹 | 468
빵은 면화보다 강하다―링컨 | 484
토지를 정복한 기계―매코믹 | 496
대지에게는 의사가 필요하다―리비히 | 513
맬서스의 도전 | 527
밀의 제국―미국 | 535
제6장 우리 시대의 빵 | 565
제1차세계대전과 승리의 여신, 빵 | 567
러시아의 빵―1917년 | 580
세계 지도를 바꾼 식물학자들 | 597
농민을 구제하라 | 616
데메테르, 다시 경고하다 | 631
빵, 건강, 사업 그리고 인간의 영혼 6| 43
히틀러의 ‘기근협정’ | 667
후기 | 700
참고문헌 | 701
찾아보기 | 716
리뷰
책속에서
인간의 식량이 된 종들은 수천 년에 걸쳐 번성한 형제들이다. 다른 곡식들과 그 역사가 전혀 다른 벼를 제외하면, 원시시대부터 인간이 이용한 곡식은 여섯 가지, 즉 인류 초기의 기장, 귀리, 보리, 밀과 고전주의 시대 말엽부터 이용한 호밀, 그리고 아메리카 발견 이후 재배된 옥수수이다. 여섯 형제가 1만 년이 넘도록 세상의 인간들을 먹여 살린 것이다. ― 1장 선사시대의 빵
그러나 빵이 처음 만들어진 때부터 밀은 곡식의 왕이 되었고, 그 지위를 오늘날까지 계속 유지하고 있다. 왕좌에 오른 이래 단 한 번도 그 자리를 내어준 적이 없었다. 슈바인푸르트와 레그랭이 신석기 시대의 고분에서 밀을 발견했는데, 그 밀은 기원전 6, 5세기의 것으로 밝혀졌다. 오스트리아 과학자 운거는 기원전 3천 년 무렵에 세워진 다흐슈르 피라미드의 벽돌 속에 파묻혀 있는 밀알과 겨를 발견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700년경에 밀 재배를 시작했으며, 그것을 기리기 위한 장엄한 의식까지 발전시켰다.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밀은 고대 유적지 텔에서 발견되었는데, 그 시기는 기원전 3천 년으로 추정된다. ― 1장 선사시대의 빵
이렇게 ‘제조된’ 제품, 빵은 이집트인에게는 식량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그것은 문화적 수준의 척도였고 측량의 척도였던 것이다. ‘빵의 개수’는 부를 의미했다. 이집트 방방곡곡에 있는 오븐은 실질적인 화폐 주조공장이었다. 오븐에서 구워낸 밀가루 반죽은 마침내 전국의 화폐가되었다. ― 2장 고대의 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