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92913896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24-11-25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평화의 꿈의 죽음 1945-1953
2장 탈식민지 전쟁 1947-1975
3장 베트남 전쟁 1964-1975
4장 시나이반도에서 포클랜드섬까지 1967-1982
5장 냉전 종식 1979-1993
6장 새로운 세계 무질서 1991-1999
7장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2021
8장 이라크 전쟁 2003-2011
9장 푸틴과 우크라이나의 생존 전쟁 2022-
10장 이스라엘과 가자지구 2023-
11장 미래의 전쟁
지도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이 전쟁을 정치적・경제적・지정학적 맥락에서 다룬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전쟁을 군사사(軍事史) 맥락에서 다루는 문헌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많은 비용과 공력을 투입해 정밀 무기와 스마트 폭탄을 개발하는 세계에서 러시아는 의도적으로 잔인한 2차 세계대전 양식의—돈바스 일부 지역에서는 1차 세계대전 양식의—전투 방식을 채택했다. 1945년 이후 군사 전략과 전술이 크게 발전하고, 각 전쟁은 다음 장에서 소개하는 것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교훈을 제시하는 상황에서 러시아가 대조국전쟁(러시아에서 2차 세계대전을 일컫는 용어)을—이번에는 러시아가 희생자가 아니라 침략자라는 점이 다르지만—상기시키는 퇴행적 전투를 선택한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1장 평화의 꿈의 죽음
한국전쟁에서 맥아더의 중요한 문제는 그가 궁극적으로 전략적 지도자의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자질인 전쟁의 ‘큰그림’을 잘못 구상 했다는 데 있었다. 그의 큰그림은 미국의 월등한 화력으로 북한군을 상대적으로 손쉽게 격파하고, 중공군이 북한을 돕기 위해 압록강을 넘어 지원군을 파견해도 이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의 주변에는 이 두 가지 근본적으로 잘못된 신념을 문제 삼을 참모가 없었다. 그가 전장에서 965킬로미터 떨어진 도쿄에서 전쟁을 지휘하고 한국을 거의 방문하지 않았다는 것도 도움이 되지 않는 요소였다. 가장 잘 입증된 전쟁의 교훈은 지휘관이 꼭 전선에 있을 필요는 없지만, 최소한 전역이 되는 국가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