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한국의 국방혁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한국의 국방혁신

(홍규덕 교수의 국방혁신 대전략)

홍규덕, 김규철, 안재봉, 김광진, 방종관, 박주경, 박종일, 장태동, 장원준, 정재호, 윤원식, 이흥석, 신경수, 김종태, 권태환, 조현규, 송승종 (지은이)
로얄컴퍼니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3,000원
0원
21,0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한국의 국방혁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한국의 국방혁신 (홍규덕 교수의 국방혁신 대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97827792
· 쪽수 : 317쪽
· 출판일 : 2022-04-18

책 소개

저자들이 이번 책자를 통해 다양한 관점과 시각에서 논의하고 분석한 결과들은 모두 정책부서에서 적시적이고 귀중한 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p우크라이나전 관련 국방혁신을 위한 정책 제언35우크라이나 전쟁이 주는 교훈: 국방 혁신에 대한 함의 / 홍규덕46p 러시아의 국가안보전략과 우크라이나전 / 김규철59p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군사교리적 시사점과 정책 제언 / 안재봉84p 우주전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시사점과 정책 제언 / 김광진96p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식별된 러시아 군사전략의 한계와 한국의 국방혁신 방향(부대구조와 전력구조를 중심으로) / 방종관106p 우크라이나 전쟁의 모자이크전 수행양상과 국방개혁에의 함의 / 양욱114p 우크라이나 전쟁: 군수지원 차원에서 본 시사점과 정책 제언 / 박주경136p 사이버전 차원에서 본 시사점과 정책 제언 / 박종일147p「우크라이나 사태」를 통해서 본 예비전력 차원의 시사점과 정책 제언 / 장태동158p방위산업 측면에서 본 우크라이나전 시사점과 정책 제언 / 장원준180p우크라이나전 관련 해군력 운용과 시사점 / 정재호201p우크라이나 전쟁 언론보도와 시사점 / 윤원식212p우크라이나전 관련 북한의 대응과 시사점 / 이흥석225p한미동맹 차원에서 본 우크라이나 전쟁 / 신경수235p우크라이나전 관련 NATO 대응동향 / 김종태249p우크라이나전 관련 일본의 대응과 시사점 / 권태환265p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대응 전망 / 조현규285p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시나리오 및 한국 함의 / 송승종295p

※ 참고 자료 : 우크라이나-러시아 군사력비교, 우크라이나 개요

저자소개

송승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국방대학원(현 국방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미주리주립대학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방부 미국정책과장, 유엔대표부 참사관, 바그다드 다국적군사령부(MNF-I) 한국군 협조단장, 제네바 대표부 군축담당관 등을 역임했다. 현재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국 방외교저널(KDDJ)》 대표이사, 《주간조선》 칼럼니스트, 한국군사학회 부회장, 한국국가전략연구원(KRINS) 외교안보전략 센터장, 한국 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이해》, 《미국 비밀해제 자료로 본 대통령 박정희》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장진호 전투와 흥남철수작전》, 《북한의 미국 대통령 암살음모사건》 등이 있다.
펼치기
방종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방과학연구소(ADD) 겸임연구원방종관 연구원은 서울대학교 미래혁신연구원 산학협력교수, 한국국방연구원(KIDA) 객원연구원 등으로 전쟁사 · 무기체계 · 국방혁신을 연구하고 있다.1988년 육군사관학교 졸업과 동시에 포병 소위로 임관하여 2021년 육군 소장으로 전역했다. 이라크 파병을 포함하여, 각급 제대 지휘관과 국방부 군사보좌관,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과장, 전력기획 1처장, 전략기획차장, 육본 기획관리참모부장 등 국방부· 합참 · 육본에서 정책 · 전략 · 전력기획 업무를 수행했다. 미국 합동참모대학을 수료했으며,「히틀러의 비밀무기 V-2」를 번역하였다.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생존전략」(유용원 저)의 대담자로 참여하였으며, 중앙일보 안보·국방 분야 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YTN ‘뉴스멘터리전쟁과 사람’ 프로그램에 무기체계 및 전쟁사 전문 패널로 출연하고 있다.
펼치기
정재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방부 정재호 박사는 해양안보·정책, 북극안보, 국제안보 관련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 졸업 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Moscow State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아시아 해양안보, 북극 해양군사안보, 러시아 군사안보, 미·러 안보관계, 핵안보 등이다. 초계함 함장, 해군본부 정책실, 주러시아 해군무관등을 역임하였다.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정세(공저), 21세기동북아 해양전략:경쟁과 협력의 딜레마(공저), 러한 국방전문용어사전(공저), 러시아 해양력과 해양전략(공역), 21세기 해양안보와 국제관계(공저), 2020-2021 동아시아 해양안보와 전망(공저), “After the US-Russian New START: What’s Next?”, “북극해의 전략적 가치와 해양안보” 다수 책자, 번역서, 논문, 기고문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홍규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주요 약력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교 국제정치학 석·박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현) 국제정책연구원(IPSIKOR) 원장 현) 국가보안학회(KAAHS) 회장 현) 한국평화활동학회(KAPPO) 회장 현) 아태안보협력이사회(CSCAP) 한국대표 현) DCAF 동아시아 SSG 포럼 한국대표 현) 북한연구소 이사 전) 국방부 국방개혁실장 전) 한국유엔체제학회(KACUNS)회장 전) 민주평통 상임위 외교안보분과위원장 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남북교류협력추진위원회 위원 전) 통일연구원 책임 연구원
펼치기
안재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 부원장공군제2사관학교를 졸업 후 제11전투비행단에서 F-4D 팬텀 전투기 후방석 조종사로서 비행생활을 했으며, 이후 공군전투발전단 전략기획담당, 공군본부 장기전략/교리담당, 합동참모본부 군사전략과 공중전략담당, 공군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정책보좌관, 공군본부 비서실 지휘관리과장, 공군본부 국방개혁TF장을 역임했으며, 현 공군항공우주전투발전단장 직을 끝으로 2013년 12월 공군준장으로 전역했다. 군 복무 중에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사, 국방대학원 안전보장학 석사를 취득했으며,전역 후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군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전역 후에는 국방과학연구소(ADD) 전문위원, 공군사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했고, 현재는 연세대학교 항공우주전략연구원 부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새로운 패러다임의 군사교리』(충남대 출판문화원, 2019)가 있으며, 논문으로 ‘한국군의 군사기본교리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장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교수 1991년 육군사관학교 토목공학 학사, 1998년 미국 공군대학원 군수관리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2005년 서울대학교 기술정책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경력으로 산업연구원 방위산업연구부장, 미 CSIS Visiting Fellow, 한국혁신학회 부회장,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국방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국내외 120여 편 이상의 논문과 보고서가 있으며, ‘2022 자랑스런 방산인(방산학술상)’, 과기부장관 표창(2017)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규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주러 육군무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초빙연구위원, 한국국방외교협회 러시아센터장, 육 군사관학교 노어과 졸업, 러시아 총참모대 안보과정 졸업, 국방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박사, 전 주러시아 한국대사관 육군무관, 전 국방정 보본부 러시아 분석관 등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러시아의 군사전략: 위협인식과 군사력 건설 동향”(2020), 『러시아의 사이버안보』(공저, 2021),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의 작전 분 석”(2022), 『미중러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방외교협회 이사 겸 북한센터장육군사관학교 43기로 임관, 정보보안부대에서 오랫동안 근무하였다.현역시 독일통일기획요원, 주일본 한국대사관 무관, 미국 중부사 연락장교를역임하였다. 한국국방외교협회에서 북한센터장과 주간국제안보군사정세에 미국을 담당하는 등 미북관계와 일본의 군사전략, 미일 군사관계 등을 분석하고있다. 저서로는 『초강대국 미국의 국방부와 안보기관(2021)』이 있으며, 인도태평양 사령부에 대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윤원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 졸업, 육군 대령 전역 신문방송학 석사, 국제정치학 박사 재향군인회 홍보실장 겸 대변인 북극성안보연구소 미디어전략센터장 육군사관학교 42기로 졸업(국제관계 전공), 연세대(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외교안보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방부와 합참을 비롯한 정책부서와 전후방의 각 제대별 야전 부대에서 언론 홍보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참모로 33년 복무하고 육군 대령으로 전역하였다. 2010년도 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 당시 국방부 대변인실 공보과장 겸 부대변인으로 군과 언론의 갈등 현장에서의 경험을 계기로 군과 언론 최초로‘국가안보 위기 시 군 취재보도 기준’을 제정하였다.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언론집중교육 프로그램 기획 설계(2013-2014년), 태극연습·UFG 연습 등 주요 훈련 연습시 모의전황 브리핑 연습 체계를 한국군에 처음도입 시행하였다(2001년). 군 전역 후 미디어메이커스협동조합 대표, Y미디어 대표, 육사동창회 부설 북극성안보연구소 미디어전략센터장, 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원, 재향군인회 홍보실장 겸 대변인, 뉴스투데이 안보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광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석좌교수공군사관학교 졸업 후 F-16 전투기 조종사부터 3훈련비행단장과 공군대학 총장까지 역임하고 공군 준장으로 전역하였다. 국방대학교 군사학석사와 미국 미주리 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있었다. 합동참모본부에서는 핵WMD대응센터 차장과 대북군사정책 과장 등을 역임했고, 국방부에서는 미국정책과에서 근무했다. 한글 단행본 ‘민주국가의 전쟁’, ‘제복과의 전쟁’과 영문 단행본 TheStages of Development and the Termination of Wars between States을 출간했으며,국방연구원에서 북핵 대비 TF와 공군본부에서 미래 우주력 발전 TF 총책임자로 있었다. 현재 국방과학연구소 국방우주기술센터 연구개발 자문위원, 합참 정책자문위원, 세종연구소 객원 연구위원, 헤럴드 경제 객원 에디터로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박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前 육군 군수사령관육군사관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군사전략과 석사 학위 후 현재 KIDA전력투자분석센터 자문위원과 국방자원연구센터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있다. 미국 안보지원센터 FMS 과정, 하버드대 케네디 스쿨 국제안보 고위정책(SMG) 과정 그리고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경력으로 초대 백신 수송지원본부장, 육군 참모차장, 육군 군수사령관, 국방부 군수관리관, 제11기계화보병 사단장, 육군 군수사령부 계획운영처장, 합참 군수부장, 제7기동군단 참모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군수관리과장, 제26기계화보병사단 참모장과 여단장, 2군단 군수참모, 제30기계화보병사단 군수참모와 대대장, 육군본부 시험평가단 보병화기시험장교, 육군대학 교무처 교육통제장교 / 군수교관 등을 역임하였다. 주로 기계화부대와 군수분야에 근무하였으며, 야전과 국방부, 합참, 육군본부, 군수사령부 등 군수분야 모든 정책부서를 경험한 군수전문가로 평가되고 있다.
펼치기
박종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하렉스인포텍 CTA박종일 박사는 (주)하렉스인포텍 CTA로 플랫폼기업의 사이버보안과 글로벌 진출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뉴욕주립대(SUNY at Buffalo)에서 전자공학 석사학위, 조지아공대(Georgia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 교수, 정보사령부 지휘관/참모, 사이버사령부 지휘관/참모및 연구소장을 역임하면서 사이버안보 정책, 연구개발, 작전 등 다양한실무 경험을 쌓고 2018년 육군준장으로 전역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이버안보, 정보이론, 통신공학 및 인공지능 등이며 전역 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로서 사이버보안컨설팅과 국가과제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펼치기
장태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예비전력연구센터장육사 44기로 임관하여 현역 때는 국방부 개혁실 예비전력 개혁담당과 육군본부 동원과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특히 국방개혁의 핵심인 동원전력사령부 창설과 국가 예비전력연구소 설립 기획 책임자로서 성과를 달성하였고, 전역 후에는 국방대학교 예비전력연구센터장으로서 예비전력 분야 정책과제 개발과 미래 예비전력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분야 연구에 매진하고 있음. 향후 현재의 예비전력연구센터를 국가급 예비전력연구소로 확대 개편하고, 국방대에 예비전력분야 석·박사 과정 신설 등 연구와 교육의 핵심 메카로 거듭날 수 있는 역량을 쌓아가고 있는 중이다.
펼치기
이흥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겸임교수이흥석 교수는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겸임교수 겸 글로벌국방연구포럼(GDRF)의 사무총장, 육사 총동창회 산하 북극성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으로 활동 중이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전북대학교에서 석사학위, 국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북한체제, 한·미동맹, 미·중관계, 국방정책 및 군사전략, 국가정보 등이다.연합사 정보생산처장, 연합사 작전효과평가처장, 국방정보본부 계획운영실장, 합참 전비검열실 검열관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맞춤형 억제 신뢰성 제고”, “중국의 강군몽 추진동향과 전략”,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비핵화 동인에 관한 연구”,“북한 군사전략과 군사력건설에 관한 연구” 등이며, 주요 언론기고는 “김일성-김정일-김정은, 그들은 왜 미사일에 집착할까”, “우크라이나전에서 본 억제와 동맹” 등으로 심도 깊은 연구와 활발한 학술 활동으로 실사구시의 전략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펼치기
신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미동맹재단 사무총장신경수 예비역 육군소장은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국방무관으로 근무한 뒤 전역하여 현재 재단법인 한미동맹재단의 사무총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아울러 합참, 한미연합사에 대한 정책자문도 실시하고있다. 군 생활시에는 국방부 국방정책실 및 한미연합사에서 한미동맹 현안에 대한 협의를 주도하였다. 신경수 장군은 미국 지휘참모대학, 핀란드 UN PKO 훈련센터, 영국 왕립안보연구소, 이탈리아NATO 방위대학, 미국 아태안보연구소 등에서 학생장교 및 객원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소말리아, 이라크 파병 근무경험도 갖고 있다. (이메일:shinks2011@gmail.com)
펼치기
권태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방외교협회 회장, 예비역 육군준장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서강대 정책대학원에서 북한 및 통일정책 석사, 일본 다쿠쇼쿠대학에서 안전보장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방부 정책실에서 대외정책 총괄을 담상했고, 일본 자위대에서 지휘참모대와 국방대학원과정을 연수하고, 오카자키 연구소에서 객원연구원, 주일본 한국대사관에서국방무관과 육군무관 등을 역임했다. 전역 후 세종연구소에서 객원연구원,국방대학교 초빙교수 등을 통해 국내외 외교안보 경험을 토대로 2018년 한국국방외교협회를 설립하였다. 현재 한국군사학회 부회장, 한일군사문화학회 부회장, 북극성연구소부소장, 합참 및 육군 정책자문위원으로 국방외교 발전과 후진양성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새로운 안보환경과 한국의 생존전략’, ‘통일한국의 비전과 군의 역할’, ‘한일 새로운 미래, 어떻게만들것인가?’와 번역서로 ‘근대일본의 군대’ 이외 ‘일본의 군사전략’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주간국게안보군사정세’를 2019년 이후 발행하고 있으며, 국제안보정세와 일본의 안보군사, 한일 및 한미일 안보협력 등 국방외교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조현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방외교협회 중국센터장, 중국 復旦大 객좌교수, 국제정치학박사.육군사관학교 41기로 졸업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어를 전공하였고,中國人民大學 國際關係學院 국제정치학 석사 및 박사(수료) 과정을 수학했으며,단국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방정보본부에서 중국분석총괄장교, 아시아과장, 중동아과장을 역임했다. 주중한국대사관 무관, 주대만한국대표부 연락관으로 근무함으로써 양안(兩岸)에서 모두 무관생활을 한 기록을 세웠다. 전역 후에는 국방일보 ‘최근 세계 군사동향’ 칼럼의 중국분야 고정 집필진으로 활약했고, 현재 한국국방외교협회 중국센터장, 신한대학교 특임교수 겸 평생교육원 부원장, 중국 복단대(復旦大) 객좌교수, 대륙전략연구소 이사, 한중안보평화포럼 자문위원, 국군군사안보지원사령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중국 문제(군사·정치·대외관계), 한중관계, 북중관계, 미중전략경쟁, 동아시아 및 아태지역 안보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육군본부·국방대학교·합참대학·군사안보지원사령부·정보사령부·국방어학원·육군정보학교, 그리고 사단급 이상 사령부 등에서도 국제 정세 및 중국 정치ㆍ군사 분야 강연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푸틴의 우크라 침략으로 ‘미국이 30년 동안 누렸던 역사의 휴가’가 끝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미국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영토 및 세력권(sphere of influence)과 함께 과거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강력하고 공격적인 적대국에 직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70년간 강대국들 사이에서 평화를 지켜온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 미국은 더 이상 중국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정치·경제·안보 이익을 보장한다는 환상에 안주할 수 없다. 미국은 아시아와 유럽의 적대국에 동시적·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안보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우크라 침공이 한반도 안보에 주는 시사점과 교훈을 도출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예컨대, 전력의 균형이론 과점에서 도출되는 시사점이다. 우리는 미국과 NATO가 우크라이나에 군사적 개입을 주저함으로써 억지력을 확보하는데 실패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미국과 NATO와의 새로운 협력을 인도 태평양에서부터 확대해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교훈은 우리의 상쇄전략을 스스로 키워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