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트] 스피노자 3종 세트 - 전3권

[세트] 스피노자 3종 세트 - 전3권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지은이), 김호경, 조현진, 양진호 (옮긴이)
책세상
20,7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트] 스피노자 3종 세트 - 전3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트] 스피노자 3종 세트 - 전3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K892434198
· 쪽수 : 485쪽
· 출판일 : 2006-10-25

목차

[에티카]

들어가는 말

제1부 신에 대하여
부록

제2부 정신의 본성과 기원에 대하여
정리 49의 따름정리와 증명 및 주석 - 의지와 지성은 동일한 것이다

제3부 정서의 기원과 본성에 대하여
서문

제4부 인간의 예속 혹은 정서의 힘에 대하여
서문
부록

제5부 지성의 역량 혹은 인간의 자유에 대하여
서문

해제 - 자연 속에서 자유를 추구한 철학자
1. 데카르트를 넘어선 스피노자
(1) 실체의 문제
(2) 정신과 신체의 관계 문제
(3) 자유의 문제
2. <에티카>는 무엇을 주장하고 있는가
(1) 신은 인격적 존재가 아니다 - 목적론과 의인론적 신관에 대한 비판
(2) 우리는 아는 만큼 긍정하고 긍정하는 만큼 안다 - 데카르트의 의지론 비판
ㄱ. 데카르트의 오류에 대한 설명 비판
ㄴ. 관념, 사물의 상, 개념의 구분
ㄷ. 가능한 반론과 그것에 대한 논박
(3) 인간은 자연의 일부다
(4) 만물은 자기 보존의 힘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동등하다
(5) 정념은 의지가 아니라 정신의 인식에 의해 치유될 수 있다
3. <에티카>는 서양 사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1) 17세기 - 무신론자 스피노자
ㄱ. <신학-정치론> 비판
ㄴ. 실체의 통일성과 결정론
ㄷ. 스피노자 서클
(2) 18세기 - 창조적인 오해의 시기
ㄱ. 범신론과 카발라주의
ㄴ. 전투적인 익명의 스피노자 추종자
ㄷ. 범신론 논쟁
(3) 19세기 - 다양한 이미지의 공존
ㄱ. 독일 낭만주의자와 관념론자 - 신에 취한 사람
ㄴ. 쇼펜하우어와 니체 - 고행자로서의 스피노자
ㄷ.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4. 스피노자 사상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부록 - <에티카> 차례

용어 해설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데카르트 철학의 원리]

들어가는 말 : 양진호

제1부
서론
기하학적 증명

부록 : 형이상학 반성 - 일반 및 특수 형이상학에서 떠오르는 난제들에 대한 짤막한 해명
부록 전체 차례

해제 -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또는 스피노자의 데카르트 | 양진호
1. 데카르트의 신 존재 증명
1)의심의 근거와 코기토
2)코기토의 능력과 관념의 기원 물음
3)코기토의 무능력과 순환 논증
2. 형이상학의 두 가지 길
1)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 - '그 자체로' 또는 '우리에게'
2) 데카르트 - 인식의 순서와 사물의 질서
3. 스피노자의 길
1)신의 '실존'에서 신의 '관념'으로
2)참된 방법 - 베이컨의 '신기관' vs 스피노자의 '지성개선론'
3)관념의 형성과 두 방법론의 통합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신학-정치론]

들어가는 말
서문

제1장 성서 해석에 관해서
제2장 거룩한 법의 진실한 기원에 관해서. 그리고 성서는 어떤 의미에서 거룩한 문서인가. 성서가 신의 말씀을 포함하고 있는 한에서, 성서는 훼손되지 않고 우리에게 전해졌다.
제3장 이성이 신학에, 신학이 이성에 종속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어떤 근거에서 우리가 성서의 권위를 확신할 수 있는가

해제 - 스피노자, 미신과 종교, 종교와 철학의 경계에 서다
1. 왜 <신학-정치론>인가
2. 스피노자의 삶과 시대 : 신 또는 자연
3. 스피노자의 신 : 신에 대한 지적인 사랑
4. 스피노자의 종교 : 상상과 이성
5. 스피노자의 성서 : 자연적 해석
6. 스피노자의 자유 : 보편적 종교
7. 다시 생각하는 스피노자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저자소개

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종교의 자유를 찾아 포르투갈에서 네덜란드로 이주해 온 유대인 상인 출신의 아버지 미카엘(Micahel)과 어머니 한나(Hannah Deborah) 사이에서 태어났다. 1656년 7월, ‘나쁜 견해와 행실’ 그리고 유대인 공동체가 제시한 사태 해결의 ‘방법과 약속’을 거절하여 파문을 당했으며, 이 무렵에 예수회 신부였던 학자 프란시스퀴스 판덴엔덴(Franciscus van den Enden)이 운영하는 라틴어 학교에 다닌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스피노자는 판덴엔덴에게서 라틴어뿐만 아니라 철학과 신학, 정치학도 배웠을 것이다. 1670년에는 네덜란드가 암울한 정치적, 종교적 상황에 직면하자 『신학정치론』을 집필하여 철학의 자유가 경건 및 국가의 안전과 양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유가 억압되면 경건과 국가의 안전 역시 위협받는다고 주장했다. 평생 렌즈를 깎으며 생계를 이어간 그는 크리스티안 하위헌스(Christian Huygens), 헨리 올덴부르크(Henry Oldenburg) 등 유럽의 학자들과 꾸준히 교류했다. 대표작은 형이상학과 인식론, 정념론과 윤리학을 총망라하여 "기하학적 순서로 증명된” 『윤리학』이며, 젊은 시절의 미완성작인 『지성교정론』은 『윤리학』의 입문 성격을 띤다. 『윤리학』은 스피노자 생전에 출판되지 않았으며, 『지성교정론』이나 미완의 최후 저작인 『정치론』 등 다른 원고와 함께 사후에 그의 지인들이 편집한 유고집으로 1677년에 출판되었다.
펼치기
김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학을 공부하면서 어느덧 40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모든 관심은 언제나 성경의 의미를 새롭게 하는 것이었다. ‘새로움’을 위해서, 문학이나 철학, 영화와 같은 다양한 내용들을 성경과 연결시켜 보기도 했고, 성경 이야기에서 소외된 인물이나 주제를 찾아내기도 했고,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에 의미를 더하려는 다양한 시도도 했다. 그 모든 시간들이 어떤 결과로 나타났든지 간에, 신학의 즐거움은 하나님이 만드신 사람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성경에서 만난 무수한 사람들 때문에 신학 하는 모든 시간이 감사하고 새로웠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과 연세대학교 대학원을 거치면서 신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에 재임하다 2023년에 은퇴했다. 저서로 《인간의 옷을 입은 성서》 《종교, 과학에 말을 걸다》 《여자, 성서 밖으로 나오다》 《예수가 상상한 그리스도》 《바울》 《누가복음》 《씬과 함께》 《예수가 하려던 말들》 《예수의 식탁이야기》 역서로 《성서-소피아의 힘》 《신학-정치론》 《스피노자》 《스피노자와 근대의 탄생》 등이 있다.
펼치기
조현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0장_「알튀세르와 정신분석학: 주체 구성의 문제」 옮김 스피노자의 철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숭실대학교와 서강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스피노자에 대한 베일의 비판은 정당한가?」(2008), 「속성의 공유불가능성 정리에 대한 라이프니쯔의 비판은 타당한가?」(2010) 등의 논문을 썼고, 크리스티앙 들라캉파뉴의 『20세기 서양 철학의 흐름』(공역, 이제이북스, 2006), 바뤼흐 스피노자의 『에티카』(책세상, 2006)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스피노자 철학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의의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펼치기
양진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인문학 교육을 연구·실행하는 ‘인문학교육연구소’(www. paideia. re. kr)의 소장직을 맡고 있다. ‘교육공간 오름’ 등에서 청소년들과 인문학 공부를 함께 하고, 대학에도 출강하면서 고전 번역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중세 말과 르네상스 시기의 철학적 문제의식이 어떻게 근대의 합리주의자들에게 이어졌는지를 추적하는 것이며, 이런 생각들의 단초들을 고대 헬라스인들 사이에서 발견하기를 즐긴다. 최근에는 서양미술사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슈테판 츠바이크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프로이트를 위하여》, 르네 데카르트의 《성찰》을 옮겼으며, 〈스피노자의 《데카르트 철학원리》(1663) 연구(1) -〈서론〉에서 ‘신 증명’과 ‘순환논증’의 문제〉, 〈방법적 회의는 어떻게 가능한가?데카르트의 판단-의지 이론에 관한 연구〉, 〈칸트의 이론철학과 형이상학의 문제 - 개념의 분석론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의 시도〉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