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떤 복지국가인가?

어떤 복지국가인가? (양장)

(한국형 복지국가의 모색)

이종오, 조흥식, 김용일, 최영기, 장지연, 신필균, 석재은, 이정우, 은수미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3,000원 -0% 0원
430원
42,570원 >
43,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4,300원
3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떤 복지국가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떤 복지국가인가? (양장) (한국형 복지국가의 모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88946056206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13-11-06

책 소개

보편적 복지국가는 가족정책과 노동정책의 두 기둥을 중심으로 소득보전정책과 사회서비스 제도가 씨줄과 날줄처럼 잘 연계되어야 하며, 모든 사회구성원이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인소득자 모델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목차

서문

제1부 왜 복지국가인가
제1장 민주주의 개혁과 복지국가 모색_이종오
제2장 포용적 성장, 복지국가와 사회적 대화_이정우

제2부 어떤 복지국가인가
제3장 젠더레짐과 복지국가의 설계_장지연
제4장 한국 가족정책의 현황과 과제: OECD 가족정책 비교와 이인소득자 모델_신필균
제5장 수준 높은 교육복지 향유와 계층이동성 강화_김용일
제6장 한국형 고용 모델의 탐색_최영기
제7장 이중적 노동시장을 넘어_은수미
제8장 한국의 연금과 젠더레짐_석재은
제9장 돌봄과 사회서비스 정책_조흥식

제3부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제10장 체제전환의 요구와 복지민주주의연합_정해구
제11장 복지지향적 경제정책을 위한 구상_김호균
제12장 변화하는 복지국가와 시민사회의 재구성_김윤태·배선휘
제13장 한국의 복지정치: 복지동맹 구축 전망과 과제_주은선

[보론] 유럽연합 가입 15년과 스웨덴 복지 모델_유아킴 팔메

저자소개

조흥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박사 청주대학교 교수, 영국 헐 대학교(University of Hull) 사회복지학과 객원교수 미국 시카고 로욜라 대학교(Loyola University Chicago) 사회복지대학원 교환교수 영국 버밍엄 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 사회복지학과 방문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김용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에 이어 교육정책 및 정치학 Educational Policy & Politics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경인여자대학교 교수,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등을 거쳐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사단법인 한국교육정책연구원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과 한국교육학회 부회장을 역임하는 한편, 사단법인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를 설립하여 초대 연구소장 겸 이사를 역임했다.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교육문화팀장),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 정책자문위원, 부산광역시 의정자문위원회 위원, 민주통합당 보편적복지특별위원회 위원, 경기도교육감 공약이행종합평가단 위원장, 서울특별시교육청 조직개편추진위원회 위원장, 서울혁신미래교육정책포럼 운영위원장(서울특별시교육청) 등의 공직을 수행하며 교육정책의 실체를 생각해 왔다. 주요 저서: 『미군정하의 교육정책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9), 『위험한 실험: 교육개혁의 정치학』(문음사, 2000), 『교육의 미래』(문음사, 2002), 『속설과 진실: 김용일의 교육 칼럼집』(교육비평, 2003),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문음사, 2009), 『교육의 계급화를 넘어』(북이데아, 2010), 『우리 학문 속의 미국(공저)』(한울 아카데미, 2003),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공저)』(살림터, 201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한국교육의 전망과 과제(공저)』(박영스토리, 2018)
펼치기
최영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장, 한국노사관계학회 회장, 대통령자문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한국 노사관계 시스템 진단과 발전방향>(2013, 공저), <양극화 고령화 속의 한국>(2011, 공저), <한국형 노사관계 모델의 탐색>(2004, 공저), <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정치: ‘87년 이후 사회적 합의를 중심으로>(1999,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사회포럼 이사장을 맡고 있다.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산업사회연구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민교협 공동의장을 역임한 바 있고,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장(2003)과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2006~2008)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의 개혁과 민주주의>(2000), <한국노동운동의 이념>(1988, 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정신: 막스 베버>(1998)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광복 61년,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2006), 「분단과 통일을 다시 되돌아보며」(1993), 「반제반일민족주의와 6·3운동」(1988), 「60~70년대 공업화과정에서의 사회구조의 변화와 사회운동」(1986) 등이 있다.
펼치기
장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사회학을 전공했고, 주된 관심 분야는 소득 불평등, 복지국가, 일과 생활의 균형이다. 지은 책으로 《경제적 불평등과 노동시장연구》(2013, 공저), 《어떤 복지국가인가?》(2013, 공저), 《OECD 주요국의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2012, 공저), 《노동시장 구조와 사회보장체계의 정합성》(2011,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필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무금융우분투재단 이사장.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를 졸업했고, 스웨덴 정 부 장학생으로 스톡홀름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를 마쳤다. 스웨덴 사회보험청 책임연구원, 스톡홀름 광역시의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한국 크리스찬아 카데미 사회교육원 원장, 지구를위한세계운동 한국본부장, 대통령비서실 민정 2비서관, 시민사회 비서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사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총장, 복지국가여성연대 대표 등을 지냈다. 통일사회당 국제대변인(부장) 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복지국가 스웨덴』, 『어떤 복지국가인가?』(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석재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역임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펼치기
이정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0년 대구에서 나고 자랐다. 1972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1983년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부터 경북대학교에서 38년간 불평등의 경제학, 비교경제론, 경제민주주의 등을 강의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참여정부 초대 대통령 정책실장, 대통령 정책기획위원장 겸 정책특보를 역임하면서 참여정부의 경제, 사회 정책의 기초를 놓았다. 그 뒤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을 지냈고 지금은 경북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대표 저서로 《불평등의 경제학》 《약자를 위한 경제학》 《왜 우리는 불평등한가》가 있으며, 공저로는 《노무현이 꿈꾼 나라》 《헨리 조지와 지대개혁》 《어떤 복지국가인가?》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 《비정상 경제회담》 《경국제민의 길》 등 50여 권이 있다.
펼치기
은수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회학과에 입학한 뒤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노맹) 정책국장으로 일하다 체포되어 6년 가까이 수감생활을 했다. 1997년 출소 뒤, 대학에 복학해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노동연구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노동정책 자문위원, 청년유니온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했고, 민주통합당 비례대표로 19대 국회위원을 지냈다. 2016년 테러방지법을 반대하는 필리버스터를 10시간 18분 동안 했고, 같은 해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여러 학교, 시민단체, 노동조합 등에서 ‘노동, 청년, 정치’를 주제로 한 강의와 공부를 계속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IMF 위기』 『날아라 노동』 『은수미의 희망 마중』 『어떤 복지국가인가』(공저) 『여성의 일, 새로고침』(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