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5968512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07-05-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새로운 진보 - 복지와 평화
공동체 자유주의 비판과 새로운 진보주의 - 강동호
세계화시대의 복지국가 - 신기남
신자유주의 역사, 정책, 평가 - 고세훈
중됴개혁자유주의 정치세력의 위기와 재정립 방향 - 조희연
'평화의 지배블록', 흔들려서는 안돼 - 서동만
우리에게 복지국가는 가능한가? - 고세훈
2부 양극화 극복의 한국경제모델
한국경제, 구조적 저성장과 양극화를 넘어서 - 이강국
새로운 축적체제의 출현과 지속가능한 성장의 필요조건들 - 박종현
양극화 극복을 위한 정책 방향 - 유종일
방비된 세계화와 한미 FTA - 정승일
간접적 증세를 통한 양극화해결 방안 - 김은경
부동산 문제의 해결, 올바른 패러다임의 정립이 관건 - 전강수
3부 이제는 교육혁신의 시대
대학 서열체제 혁파를 통한 대학개혁 - 정진상
'3불정책'과 대학의 자율성 - 김용일
대학서열화와 과중한 사교육비 문제 - 김덕영
2008년 대학입시안을 재고하라 - 김정명신
대안학교의 오늘과 내일 - 현병호
4부 좌담 - 문제는 교육이다!
사회 : 신기남
김용일 / 김정명신 / 송인수 / 한만중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육문제에 대한 우리의 일관된 관점은 공교육 강화에 있다. 우리의 1차적인 해법도 공교육에 대한 투자 확대에 있다. 교사 1인당 학생의 수, 교육 시설 등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고 공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대한 혁신, 교사의 자질 향상 등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위한 공적 투자의 확대는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p57 중에서
시장적 구조조정과 정책적 구조조정을 병행한다는 전제 하에 대학에 대한 공적인 투자가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그 성공적인 모델은 포항공대와 한국과학기술원입니다. 정부가 두 대학에 집중적인 선투자를 했거든요. 사립대의 경우는 시장에 구조조정을 맡기고 국립대는 정부가 정책수단을 동원하여 개입해야 한다는 거죠.-p32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