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깨달음, 궁극인가 과정인가

깨달음, 궁극인가 과정인가

박찬욱, 윤희조, 한자경, 정준영, 김호귀, 박태원, 성해영, 윤호균 (지은이)
운주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690원
21,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3,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깨달음, 궁극인가 과정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깨달음, 궁극인가 과정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4069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4-11-20

책 소개

밝은사람들 총서 9권. 언제부터인가 한국 불교계는 그 실체도 불분명한(?) 깨달음의 문제에만 너무 매달리는 경향을 보여 왔다. 정작 깨달음의 개념이 어떠하고, 그 내용은 무엇인가? 그리고 깨달음의 정체는 과연 어떠한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목차

기조 강연/ 간화선, 깨달음에 이르는 지름길/수불 스님・5
기획자 서문/ 깨달음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향상일로向上一路 하시길 기원하며・11
편집자 서문/ 우리는 왜 깨달음을 구하는가?/한자경・17

{초기불교의 깨달음 이해} 붓다의 깨달음, 해탈, 그리고 열반 /정준영 47
1. 깨달음을 향하여・47
2. 깨달음, 해탈, 그리고 열반・49
1) 초기불교의 깨달음・49
2) 초기불교의 해탈・62
3) 초기불교의 열반・72
3. 깨달음, 그리고 소멸・90

{선불교의 깨달음 이해} 선종의 깨달음과 그 유형 /김호귀 95
1. 서언・95
2. 보리와 진여의 이해-제1의 깨달음・102
1) 『원각경』의 원각묘심과 본래성불・102
2) 『열반경』의 불성과 열반・105
3) 『금강경』의 깨달음과 공성・109
3. 진여와 해탈의 자각-제2의 깨달음・114
1) 좌선과 깨달음・114
2) 견성과 그 체험・122
3) 본래성불의 자각・127
4. 대기와 대용의 실천-제3의 깨달음・134
1) 깨달음의 보편성과 일상성・134
2) 깨달음의 지속성과 현재성・141
5. 결어・151

{불교학의 깨달음 이해} ‘깨달아 감’과 ‘깨달음’, 그리고 ‘깨달아 마침’ /박태원 161
1. 글 길에 오르며・161
1) 깨달음의 퍼즐 맞추기・161
2) 왜 깨달음을 문제 삼는가?・162
3) ‘깨달음’이라는 말-용법과 의미의 혼란 문제・165
4) ‘깨달음’이라는 용어의 정의-불각/시각/본각과 관련하여・169
2. 깨달음의 성취조건?‘깨달아 감’/‘깨달음’/‘깨달아 마침’의 내용・175
1) 조건인과를 포착하는 사유능력-일체를 연기적으로 파악하는 능력・175
2) 탐욕・분노・무지의 해체 능력-진리관과 깨달음・199
3) 이해와 마음, 그리고 깨달음・211
3. 깨달음의 ‘각자성’과 ‘상호통섭의 연기성’-그 균형과 통합・230
1) 깨달음의 ‘각자성’과 ‘상호통섭의 연기성’・230
2) 마음능력의 ‘각자성과 연기성’・234
3) 원효의 안목・237
4) 입정의 각자성과 출정의 연기성은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가?・239
4. ‘깨달아 감’/‘깨달음’/‘깨달아 마침’의 의미・243

{비교종교학의 깨달음 이해} 깨달음 체험과 완성의 의미 /성해영 249
1. 깨달음 체험과 완성・249
2. 종교체험과 깨달음 체험・253
1) 신비주의와 변형 의식 상태(ASC: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253
2) 체험의 유형론(typology)・259
3) 깨달음, 궁극인가 과정인가・271
3. 아빌라의 테레사와 『내면의 성』・278
1) 다섯 번째 궁방・278
2) 여섯 번째 궁방・283
3) 일곱 번째 궁방・285
4. 종교체험의 비교 분석은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는가・290
1) 합일체험에는 서로 다른 구체적인 유형이 있다・290
2) 체험의 관점에서 깨달음에 관한 논의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291
3) 깨달음 체험과 윤리적 자기완성・292
5. 맺는 글: 완성이란 무엇인가?・294

{상담심리학의 깨달음 이해} 온마음 상담과 불교적 성찰 / 윤호균 297
1. 수행으로서의 상담과 불교・297
1) 삶의 세계: 현실, 사실, 진실・299
2. 상담자의 태도・302
1) 보살・302
2) 상담자의 태도 또는 자세・304
3. 괴로움의 생성과정・309
1) 십이연기・310
2) 경험의 과정・312
3) 홀림・314
4. 수행과 상담의 실제・315
1) 있는 그대로 보기・316
2) 새롭게 보기・326
3) 뜻대로 살기・334
5. 요약 및 남은 과제・339

참고문헌・345
주・357

저자소개

한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25년 2월에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 마음의 연구』,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 영지』, 『성유식론 강해 I: 아뢰야식』,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체유심조』, 『능엄경 강해 I·II』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펼치기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박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대학원에서 불교철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 울산대 철학과에서 불교철학, 노자, 장자철학을 강의. 주요 저서로는 『원효전서 번역』, 『대승기신론사상연구』, 『원효, 하나로 만나는 길을 열다』, 『돈점 진리담론 –지눌과 성철을 중심으로』, 『원효의 화쟁철학 –문門 구분에 의한 통섭』, 『원효의 통섭通攝철학 –치유철학으로서의 독법』,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등이 있다.
펼치기
정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기불교 학자이자 명상 지도자로, 30여 년간 불교 수행을 실천하며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바라보는 길을 전해온 수행자다.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명상학 전공 교수로 20년째 재직 중이며, 스리랑카 국립 켈라니아대학교에서 위빠사나 수행을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한국의 안국선원을 비롯해 미얀마, 스리랑카, 태국, 미국, 캐나다 등 세계 30여 곳의 수행처에서 뛰어난 스승들에게 배움을 얻으며 명상의 길을 걸어왔다. “수행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우리 안에 있다”는 깨달음을 바탕으로 집착과 번뇌에서 벗어나 행복에 가까워지는 길을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안내하고 있다. 빠알리어 경전을 번역하는 경전연구소 상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불교와심리연구원 원장으로서 불교의 지혜와 현대 심리학의 접점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한마음연구》의 편집위원장을 맡아 학문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다. 저역서로는 《있는 그대로》, 《위빠사나》, 《몰입이 시작이다》, 《어려울 때 힘이 되는 8가지 명상》, 《불교의 기원》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추론적 위빠사나의 실천 재고》, 《명상의 부작용과 불교적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초기불교의 사띠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 등 60여 편을 발표했다. 명상 지도자이자 연구자인 그는 학문과 실천을 아우르며 초기불교와 현대인의 삶을 잇는 다리를 놓고 있다.
펼치기
성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서울대에서 종교학 석사학위를, 미국 라이스대학에서 종교심리학과 신비주의의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과 논문으로 『수운 최제우의 종교체험과 신비주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탄트라의 종교 사상 비교」, 「‘무종교의 종교’ 개념과 새로운 종교성」 등이 있다. 종교체험의 비교 연구를 통해 영성과 종교성을 탐구하는 것이 주된 관심이다.
펼치기
윤호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심리학과 박사 현재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 가톨릭대 심리상다대학원장 저서 <삶, 상담, 상담자> 외 <정신치료와 수도> 외
펼치기
윤희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담학전공 지도교수 불교학연구회 부회장 | 주요 저역서 | 『불교와 중의학』(씨아이알, 2025, 공역) 『윤회』(운주사, 2024, 역서) 『불교심리학과 인지행동치료』(씨아이알, 2024, 공역) 『유식과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씨아이알, 2024, 역서) 『붓다와 아들러의 대화』(씨아이알, 2022, 역서) 『한역으로 읽는 알아차림의 확립 수행』(씨아이알, 2021, 공역) 『붓다의 영적 돌봄』(씨아이알, 2021, 공역) 『만다라 미술치료』(학지사, 2020, 공역) 『불교심리학 연구』(씨아이알, 2019, 저서) 『자비와 공』(민족사, 2018, 공역) 『심리치료와 행복추구』(씨아이알, 2017, 공역) 『불교심리학사전』(씨아이알, 2017, 역서) 『붓다와 프로이트』(운주사, 2017, 공역) 『불교상담학개론』(학지사, 2017, 역서) 『불교의 언어관』(씨아이알, 2012, 저서)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