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7986924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2-06-25
책 소개
목차
· 간행사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성호의 대학·중용 해석과 의미 - 최석기 -
1. 머리말
2. 경서 해석의 이유와 관점
3. 학용(學庸) 해석의 양상과 특징
4. 경서 해석의 배경과 영향
5. 맺음말―학용 해석의 의미를 겸하여
성호의 정치사상 - 정만조 -
1. 머리말
2. 정치사상의 배경
3. 정치사상의 형성과 전개
4. 맺음말
성호의 안민부국론 - 이헌창 -
1. 머리말
2. 안민부국론(安民富國論)의 사상적 기초
3. 안민부국론의 체계
4. 안민부국책의 내용
5. 맺음말
성호의 역사인식 - 김문식 -
1. 머리말
2. 한국사 편찬의 필요성
3. 한국사에 대한 이해
4.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
5. 맺음말
성호의 서학관과 과학사상 - 구만옥 -
1. 머리말
2. 서학(西學) 인식과 수용의 논리
3. 전통적 자연학(自然學)에 대한 비판과 과학 담론의 전개
4. 맺음말
· 이 책이 이루어지기까지
· 연보
· 성호 연구논저 목록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호가 안민부국의 정책론을 진전시킨 토대에는 사상적 진전이 있었다. 그는 선과 악의 양분법으로 인간을 파악하는 전통적 관념에서 벗어나 욕망을 가져 이익을 추구하고 환경에 영향을 받고 합리화 능력을 가진 인간관을 정립하였는데, 이것은 합리적 선택을 하는 근대 경제학의 인간관에 접근하였다. 성호는 이러한 인간관을 가졌기 때문에 경세론에서 경제의 의의를 잘 인식하고 경제적 인센티브 등을 고려하는 제도의 설계를 중시하였다. 그는 또한 유학의 민본 이념을 발전시키고 가난의 구제를 위한 문제의식을 깊게 추구하였다. ---「성호의 안민부국론」 중에서
성호의 저술로부터 충실한 유학자로서의 성호를 확인할 수 있는가 하면, 유학의 틀을 벗어나 근대지향적 요소를 가진 실학자의 면모도 발견할 수 있다. “영조 20년 이후 60대 중반에 들어선 성호는 근기는 물론 전체남인의 재야 세력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입지를 다져가고 있었다.”는 지적처럼, 성호는 실학자로서의 면모를 빼더라도 대유학자인 것이다. 이러한 성호의 사례는 실학자가 당대 사상계에서 고립된 존재가 아니었음을 드러낸다. 사실 조선후기의 실학은 유학을 부정한 것이 아니라 그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그 폐단을 극복하여 유학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개신 유학이었으므로, 모든 실학자에게서 배합의 정도 차는 있지만 양면을 동시에 발견할 수 있다. 종래 실학자에 관한 연구는 그 실학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 경향이 있었는데, 앞으로는 실학사상의 바탕에 놓인 유학사상 전반을 파악한 위에서 근대지향적 사유를 유기적으로 고찰하려는 연구가 절실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