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구도완, 문태훈, 문순홍, 조명래, 조현옥, 정규호, 이상헌, 송태수 (지은이), 바람과물연구소 (엮은이)
당대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환경운동
· ISBN : 9788981630850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02-06-29

책 소개

이 책은 '지탱 가능성'을 최우선의 가치로 그 발전 방향을 바꾸어가는 국가를 '녹색국가'라 칭할 때, 이 국가에 들어가기 위한 일련의 현실정치과정을 녹색정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녹색화'를 위한 연구를 계속해온 '바람과 물 연구소'가 엮었다.

목차

머리말 : 한국에서의 녹색국가 가능성, 그 논의의 문을 열며

국가론의 녹색화를 위한 시론
한국에서의 녹색 정부의 제약 요인과 가능성
녹색 국가의 전망
사회운동에서 전망으로
지방의제 21을 통한 거버넌스 실험과 녹색 가치의 제도화 방안
위천국가 산업단지 조성을 둘러싼 담론갈등 분석
한반도 '녹색' 통일 경제체제의 모색
녹색국가 논의의 구조와 과정

저자소개

구도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환경부 장관자문관,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장,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지금은 환경사회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환경운동, 생태민주주의, 생태전환 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 『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 민주주의』 등이 있다.
펼치기
문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한국의 환경 정책과 지속가능발전 분야를 연구해 왔다. 저서로는 『한국의 지방자치』(공저, 2022), 『시스템 사고로 본 지속가능한 도시』(2007), 『환경정책론』(1997)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한국 대도시의 참발전지수 연구」(공저, 2022), “Analyzing climate impacts on health, energy, water resources, and biodiversity sectors for effective climate change policy in South Korea”(공저, 2021), 「성장의 한계 논의의 전개와 지속가능발전에의 함의」(2016), 「환경문제의 개선을 위한 공공적 접근방법의 확대: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과제」(2010), 「지방자치단체 환경행정 역량 평가모델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2003), 「도시별 지속가능성의 측정과 도시간 지속가능성 비교연구」(공저, 1999), 「한국에 있어서 정부와 기업간의 관계: 환경보전, 공정거래, 산업기술개발정책을 중심으로」(1993) 등이 있다.
펼치기
문태훈의 다른 책 >
문순홍 (엮은이)    정보 더보기
놀라운 열정으로 한국 정치생태학의 기초를 닦고 생태여성론의 틀을 세운 뛰어난 학자이자 좀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사회운동가였다. 성균관대학교와 독일 루드비히-막시밀리안 대학에서 정치학을 공부했고, 호주 멜번 대학 박사후 과정을 밟으며 존 드라이젝 등 생태 사회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하고 토론했다. 여성환경연대, 생명민회 등 사회운동에 관여했고, 생태사회연구소 소장, 환경사회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2005년 1월 28일 작고할 때까지 대화문화아카데미 바람과물연구소의 소장으로 있으면서 녹색국가와 녹색정치에 대한 연구를 이끌었다. 저서로는 <<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 등이 있으며, 머레이 북친의 <<사회생태론의 철학>>, 울리히 벡의 <<정치의 재발견>>을 번역했다. 2005년 1월 향년 4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조명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제18대 환경부 장관 및 제11대 한국환경연구원장을 역임했다. 현실 정책과 시민운동에 참여하면서 자본주의하의 공간환경 문제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를 주로 수행해 왔다. 저서로 『공간으로 사회 읽기』(문광부 우수도서, 2014),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2013), 『지구화, 되돌아보기 넘어서기』(2009), 『현대사회의 도시론』(문광부 우수도서, 2008), 『개발정치와 녹색진보』(2006), 『녹색사회의 탐색』(학술원 우수도서, 2001), 『포스트 포디즘과 현대사회의 위기』(1999)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래의 다른 책 >
조현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재대학교 정외과 겸임교수. 지은 책으로는 <21세기 딛고 뛰어넘기>, <독일과 유럽연합 정치>, <여성이 지방의회로 간다>가 있다.
펼치기
정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농업과 환경을 주제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서울대환경대학원에 진학해 공부를 하며 정토회 불교환경교육원과 생태사회연구소에서의 활동을 통해 대안적인 민간연구소에 대한 꿈을 키웠다. 대학원 졸업 후 대화문화아카데미 바람과물연구소에서 녹색국가를 연구하고,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에서 민주주의를 연구하면서 풀뿌리운동, 시민환경운동 영역에 함께했다. 이후 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과 한살림연합 정책기획본부장을 맡아 생명운동과 협동조합운동, 친환경농업 현장 가까이서 활동했으며, 2022년 말 그동안 해오던 일을 모두 내려놓고 몸과 마음을 돌보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현재 생명학연구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공동)로 『개발국가의 녹색성찰』, 『녹색국가의 탐색』, 『녹색대안을 찾아서』, 『녹색당과 녹색정치』, 『아래로부터의 시민사회』, 『민주주의대 민주주의』, 『밥상의 전환 : 기후변화와 농업, 협동조합의 미래』, 『한국의 도시 지역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와 번역서(공동) 『정치생태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사회혁신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세상을 움직이는 물-물의 정치학과 정치생태학』, 『생태주의』, 『위험한 동거-강요된 핵발전과 위험경관의 탄생』(공저), 『위험도시를 살다-동아시아 발전주의 도시화와 핵 위험경관』(공저)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production of a national riskscape and its fractures: Nuclear power facility location policy in South Korea”(공저), “Multi-scalar Practices of the Korean State in Global Climate Politics: The Case of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공저), “닐 스미스의 자연의 생산 개념에 의한 청계천 복원 사업의 비판적 해석”, “위험경관의 생산과 민주주의의 진화: 삼척시 주민투표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ing South Korea’s Green Growth Strategy”, “서울시 전환정책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 미세먼지 정치화의 정치생태학적 해석: 국가의 ‘프레이밍 전략’ 비판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송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고용노동연수원 교수 국가인권위원회 자유권분과 전문위원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저서: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공저, 2010), 『신세기의 민족질서와 한민족』(공저, 2008), 『유럽의 제노포비아』(공저, 2006), 『유럽정치』(공저, 2004), 『한국민주시민교육론』(공저, 2004), 논문: 「유럽연합(EU)의 대북정책과 지원정책 및 경제교류 평가」(2009), 「독일 통일과정의 사회갈등과 거버넌스: 신탁청의 구동독 경제재편 문제 고찰」(2009), 「통독 후 구동독 지역클러스터 비교연구: 지역산업거점, 기업네트워크, 혁신경쟁력을 중심으로」(2007), 「독일 지방자치 개혁의 현주소: 신공공관리 행정개혁과 직접민주주의」(2003)
펼치기
바람과물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펼치기

책속에서

지구화와 더불어 국가의 위상은 분명 약화되고 있다. 그렇지만 날로 심해지는 생태환경의 훼손을 근원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생태친화적 대안사회가 모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권위체로서 국가의 역할이 더없이 요청되고 있다. 이런 조건에 걸맞는 국가를 우리는 '녹색국가'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