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세계의 신화와 전설 > 세계의 신화와 전설 일반
· ISBN : 9788992448741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8-12-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강 유라시아 신화와 문명의 교류
: 늑대와 태양새, 버드나무
유라시아의 건국 신화
로마의 건국 신화
유라시아 유목민 신화: 늑대와 새
징검다리: 헝가리와 폴란드의 민족 신화
유라시아 신화와 버드나무
유라시아 유목민의 문명 교류
제2강 매직 로드, 시베리아를 지나
스칸디나비아까지
순록 썰매를 타고 유라시아를 가다
유라시아 매직 로드 혹은 순록 길
사슴돌
신화에서의 사슴
헝가리의 〈신비의 사슴〉 신화
매직 로드의 순록 신화들
‘세계축’으로서의 크리스마스트리
노마드의 삶, 유목 전사들의 세계관
마고할미와 삼신할미
러시아의 마귀할멈 바바 야가
황금 무녀 굴베이그
라플란드의 사미족
매직 로드와 뮤직 벨트
영화와 애니메이션 속의 매직 로드
질의응답
제3강 동북아 민족의 창세서사시와 영웅서사시
: 만족, 허저족, 아이누를 중심으로
세 민족의 연결고리를 찾아서―영토와 문화의 공유
만족의 창세서사시: 〈천궁대전〉
〈천궁대전〉이 보여주는 몇 가지 특징
인류 시모신인 큰 샤먼의 후예: 니샨 샤먼
〈니샨 샤먼〉의 세 층위를 통해 본 영웅성과 비극성
허저족의 영웅서사시 이마칸: 〈만투머르컨〉
아이누의 유카르 문학
아이누의 영웅서사시 유카르: 〈쿠투네 시르카〉
동북아 민족의 창세서사시와 영웅서사시의 관계
제4강 슬라브 민족의 풍습과 민담에 나타난
신과 정령들
슬라브 민족과 신화 이야기
동슬라브 신화의 만신전
상위 신
중위 신
하위 신
슬라브 신화의 특징
제5강 동아시아 초원 민족의 영웅서사시와
중국의 신화 다시 쓰기
: 〈장가르〉・〈마나스〉・〈게세르〉를 중심으로
살아 있는 신화, 믿음을 구성하는 이야기
동아시아 초원 민족의 3대 영웅서사시
툰드라, 타이가, 초원
‘중화인민공화국’의 3대 서사시
〈장가르〉
〈마나스〉
〈게세르〉
영웅서사시의 구조
중국 비한족 신화의 위상과 신화 다시 쓰기
중국 애니메이션 〈나의 붉은 고래〉
제6강 시베리아와 신화
신화, 인류의 문화유산
시베리아 이야기
민속과 결합된 러시아 정교의 신화
알타이 이야기
서사시 〈마나스〉
알타이 지역의 다른 신화들
부랴트 이야기
신화 서사시 〈게세르〉
〈게세르〉, 샤머니즘 세계의 경전
제7강 유라시아의 여신 신화
문헌 신화와 구비 신화
건국 신화가 아닌 우리 신화
남성 영웅과 여성 영웅―우리나라 신화를 중심으로
〈바리데기〉 신화
〈자청비〉 신화
〈당금애기〉 신화
달의 삼위일체
영웅의 모험과 신성한 결혼
시조모 신과 보천 여신
여와, 사람을 만들고 하늘을 메우다
〈나무 도령〉 신화
아프로디테와 프시케
유라시아 신화와 수목 신앙
제8강 곰과 인간의 만남 : 아이누 신화를 중심으로
생태철학으로서의 신화
신화와 정치
신화와 의례
아이누 민족의 곰 신화와 의례
신화, 허구의 이야기를 넘어 생태철학으로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대체 이 사람들은 순록 썰매를 타고 어디쯤을 달려서 갔을까요? 여러분도 한번 상상해보세요. 아주 크고 반짝이는 별들이 엄청나게 막 쏟아지고 있었겠죠. 여기 살던 사람들은 하늘의 수많은 별을 보면서 죽은 사람의 영혼은 모두 다 별이 됐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머리 위로는 어마어마한 오로라가 너울거리고 있었고요. 타이가, 엄청나게 울창한 침엽수의 숲이죠. 무섭기도 했겠죠. (…) 엄청나게 추운, 살을 에는 북풍이 불었을 거고요. 북풍한설. 눈보라가 아주 가혹했겠죠. 그런데 사실 이곳의 길이란 게 고속도로 같진 않았을 겁니다. 그 ‘길 없는 길’은 어땠을까 상상해봅니다. - ‘매직 로드, 시베리아를 지나 스칸디나비아까지’ 중에서
바리데기, 자청비, 당금애기처럼 우리 신화의 여성 영웅들은 온갖 시련과 고난을 겪은 뒤에야 신이 됩니다. 그래서 이런 이야기들을 ‘여성 수난담’이라고도 하지요. 그런데 다시 들여다보면 이 여성 영웅들의 이야기는 각각 딸, 아내, 어머니로서 살아가는 삶의 역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마치 캄캄한 밤하늘에 초승달이 나타나서 점점 차올라 보름달이 되고 또다시 이울어 그믐달이 되듯이, 어떤 삶의 주기를 보여주고 있지요. 그래서 유라시아 신화 속 여신들은 종종 ‘달’과 동일시되곤 합니다. - ‘유라시아의 여신 신화’ 중에서
이번 강좌의 첫 번째 문을 열게 되어 영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