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유주의 : 시장과 정치

자유주의 : 시장과 정치

민경국, 서병훈, 전주성, 최낙균, 장동진, 김용민, 이상익, 김승욱, 유홍림, 최병선, 문지영 (지은이), 김한원, 정진영 (엮은이)
부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유주의 : 시장과 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유주의 : 시장과 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사상
· ISBN : 9788985989930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06-03-15

책 소개

정치와 경제, 그리고 동양과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자유주의 사상의 면면을 담았다. 로크, 밀, 노직, 애덤 스미스, 리카도, 현대 자유주의의 성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주요 학자들의 사상을 차례로 소개하고 서양에서 발전한 자유주의 사상의 한국적 적합성을 살펴본다.

목차

책을 펴내며

자유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한국: 자유와 민주의 긴장관계를 중심으로 (김한원,정진영)

1부 정치적 자유주의
02 로크: 자유와 소유 지향의 자유주의 (김용민)
03 존 스튜어트 밀: 사회주의를 꿈꾼 자유주의자 (서병훈)
04 롤즈: 자유주의와 정의 (장동진)
05 노직: 자유지상주의 (유홍림)

2부 경제적 자유주의
06 애덤 스미스: 경제적 자유와 시장 중심의 개혁 (전주성)
07 리카도: 무역의 이익과 분배의 법칙 (최낙균)
08 하이에크: 자생적 질서, 지식의 문제, 그리고 자유의 헌법 (민경국)
09 코오스: 시장의 진실과 세상의 이치 (최병선)
10 노스: 경제사와 자유주의 (김승욱)

3부 동양과 한국의 자유주의 사상
11 동양 사상과 자유주의 (이상익)
12 한국의 자유주의 사상 (문지영)

필자 소개

저자소개

민경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대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경제학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이며, 한국자유주의학회 회장, 하이에크소사이어티 회장, 제도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민경국 교수의 자유론』, 『국가란 무엇인가』, 『자유주의의 도덕관과 법사상』, 『하이에크 자유주의 사상 연구』, 『경제사상사 여행』, 『자유주의 지혜』, 『자유의 길』(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덕감정론』(공역), 『감각적 질서』, 『법, 입법 그리고 자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서병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부터 2020년까지 숭실대학교에서 ‘서양정치사상’, ‘문명론’, ‘문학과 정치’ 등을 가르쳤다. 존 스튜어트 밀의 정치사상을 집중 연구하면서 그에 관해 네 권의 책을 썼다. 밀의 사회주의사상을 음미한 《자유의 본질과 유토피아》(1995), 밀과 플라톤의 자유론을 비교 분석한 《자유의 미학》(2000), 그리고 밀과 토크빌의 삶과 민주주의 이론을 총체적으로 구명한 《위대한 정치》(2017)와 《민주주의》(2020)가 그 책들이다. 이 밖에 ‘칠레식 사회주의’를 따뜻하게 소개한 《다시 시작하는 혁명》(1991)과 포퓰리즘 현상을 비판적으로 논구한 《포퓰리즘》(2008)도 출간했다. 밀의 저작에 앞서 하이에크의 《법, 입법 그리고 자유 III》(1997)과 토머스 힐 그린의 《윤리학 서설》(2004)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전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재정학계의 거두인 마틴 펠드스타인 교수(前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와 로런스 서머스 교수(前 미국 재무장관)의 지도하에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예일대학교 교수와 전미경제연구소(NBER) 교수연구위원 등을 거쳐 귀국했다.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임하며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위원회를 포함 다양한 국회 및 정부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언론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했다. 한국재정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재정정책 발전에 기여한 공헌으로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해외에서는 국제통화기금(IMF), 캘리포니아대학교, NBER 방문교수를 지냈고, UN 등 국제기구, 조세재단(Tax Foundation) 등 싱크탱크에서 활동하며 개발도상국 재정정책을 자문해왔다. 최근에는 UN 지역본부(ESCAP, ESCWA)들의 요청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아랍권 국가의 조세정책을 자문했다. 서구 이론과 차별화되는 ‘한국형 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 활동을 체계화하기 위해 최근 DPI(Development Paradigm Institute: 발전패러다임 연구소)를 설립하여 대표로 있다. 현재 새로운 세계질서에 부합하는 발전 패러다임과 정부 및 기업 역할에 관한 책들과, 하버드와 예일, 국제 기구 등에서의 경험에 바탕을 둔 청년 세대를 위한 책들을 준비하고 있다. 2022년에 출간한 첫 대중서 《재정전쟁》은 ‘세종도서’에 선정됐으며, 이 책으로 ‘정진기언론문화상’을 수상했다. *홈페이지: kcef.com *인스타그램 및 유튜브: kcef21, 전주성TV
펼치기
최낙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무역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원장으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International Trade Policy>, <Analysis of the Trade Negotiation Options in the East Asian Context>(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장동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정치학과(Department of Government)에서 정치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한국정치사상학회장,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 그리고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과 행정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정의론과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의 이해』, 『심의민주주의: 공적 이성과 공동선』 외 다수의 공저가 있다. 옮긴 책으로는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적 자유주의』와 『만민법』(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플라톤은 내 머리에, 루소는 내 가슴에, 키케로는 내 혀 위에”라는 모토를 지니고 정치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정치사상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저로 『루소의 정치철학』(2004)이 있고, 『루소, 정치를 논하다』(공저, 2017),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공저, 2007) 등 많은 편저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상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成均館大學校 儒學大學 韓國哲學科 졸업 同 大學院 東洋哲學科 졸업(哲學博士) 육군사관학교 철학과, 영산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역임 現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저서 : 『歷史哲學과 易學思想』(성균관대출판부, 1996) 『서구의 충격과 근대 한국사상』(도서출판 한울, 1997) 『畿湖性理學 硏究』(도서출판 한울, 1998) 『儒家 社會哲學 硏究』(심산, 2001) 『儒敎傳統과 自由民主主義』(심산, 2004) 『畿湖性理學論考』(심산, 2005) 『朱子學의 길』(심산, 2007) 『사람의 길, 文明의 꿈』(심산, 2009) 『嶺南性理學硏究』(심산, 2011) 『인권과 인륜』(심산, 2015) 『본성과 본능 : 서양 人性論史의 재조명』(서강대출판부, 2016) 『본성과 본능 : 쌍개념들의 탐구』(심산, 2017) 『현대문명과 유교적 성찰』(심산, 2018) 『醒菴 李喆榮 評傳』(심산, 2019) 『한국성리학사론 1』(심산, 2020) 『한국성리학사론 2』(심산, 2020) 역서 : 『隱峰野史別錄』(安邦俊 原著, 崔英成 공역, 아세아문화사, 1996) 『譯註 四七新編』(李瀷 原著, 도서출판 다운샘, 1999) 『譯註 庸學辨疑』(趙彦儒 原著, 심산, 2006) 『譯註 己亥封事(外)』(李惟泰 原著, 李達雨 外 공역, 심산, 2007)
펼치기
김승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아대학(Univ. of Georgia)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중앙대 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경제사학회 회장, 노사정위원회 제조업발전특별위원회 위원, 국민연금의결권행사자문위원회 위원, 시민 운동단체 “사회적 책임” 정책위원장, UNDP 국제전문가 등을 역임했으며 자유경제원 이사 및 월간지 〈월드뷰〉 발행인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자유주의 자본론』(공저), 『제도의 힘: 신제도주의 경제사 시각에서 본 국가의 흥망』, 『알짬 시장경제』(공저), 『시장인가 정부인가』(공저), 『자본주의 사회를 보는 두 시각』(공저), 『자유주의: 시장과 정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유홍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및 대학원을 거쳐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옌칭연구소 및 럿거스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정치학회 및 한국정치사상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주간 및 기록관장을 맡고 있다. 『현대 정치사상 연구』, 『정치학의 이해』(공저), 『현대 정치와 사상』(역서)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최병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명예교수이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미국 하버드대학교(정책학 박사) 졸업.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규제정책, 규제제도연구 등을 강의하고 한국규제학회장, 한국정책학회장, 규제개혁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 저서 『정부규제론』 『규제 vs 시장』(대한민국학술원상) 외.
펼치기
문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의 자유주의 연구로 서강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명예혁명의 정치사상’을 주제로 한 연구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후연수 후 현재 서강대학교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에서 의회주의의 발전과 젠더민주주의의 제도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배와 저항 : 한국 자유주의의 두 얼굴』, 『자유』,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공저) 등의 저서와 『민주주의의 수수께끼』(공역)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김한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탈리아 밀라노 대학교 국제경영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 동 대학교 경제학박사. 현 경희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중소기업론』(1998), 『시장경제로 가는 길』(편저 2003), 『테일러 경제학』(역서 2002), 『중소기업경영론』(역서 2008), “EU 중소기업정책의 변화와 시사점”(유럽연구, 2007)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에서의 이론적 기획은 세 단계로 요악될 수 잇다. 첫째, 노직은 아나키즘에 반대하여 최소한의 국가는 정당화될 수 있음을 밝힌다. 둘째, 포괄적 개입 국가를 옹호하는 입장에 반대하여 최소국가가 정당화될 수 있는 최대한의 국가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셋째, 최소국가는 정당할 뿐만 아니라 '유토피아'의 구상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노직은 정치철학의 근본 문제를 국가의 필요성 여부로 규정한다. 아나키즘의 논리에 따르면, 개인이 자신에 대한 권리를 갖는 한 모든 형태의 국가는 억압의 기제일 뿐이다. 마찬가지로 노직의 정치철학도 "개인들은 권리를 가지며, 어떤 사람이나 집단도 이 개인들에게 해서는 안 될 것들이 있다. (그것을 하게 되면 개인들의 권리가 침해된다.)"(ASU, ix)는 명제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노직이 옹호하고자 하는 결론은 "강압, 절도, 사기로부터의 보호, 계약의 집행 등의 협소한 기능들에 국한된 최소국가는 정당하며, 그 이상으로 기능이 확대된 국가는 특정한 것을 하도록 강요당하지 않을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기 때문에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 본문 159~160쪽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