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87350967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06-11-1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존재론
포스트구조주의에서의 헤겔 변증법 비판: 들뢰즈를 중심으로_ 윤성우
포스트구조주의의 욕망론: 들뢰즈를 중심으로_ 윤성우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변증법 비판에 대한 응답:
들뢰즈의 헤겔 비판을 중심으로_ 강순전
제2부 사회 및 정치철학
동일성 비판을 통해서 본 포스트구조주의의 사회 비판_ 이성백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정치철학 비파넹 대한 반비판:
헤겔에서의 가족과 국가의 가부장성에 대한 데리다의 비판을 중심으로_ 원준호
헤겔 철학에서의 욕망과 이성: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이론에 대한 비판_ 원준호.이성백
제3부 미학
미학의 관점에서 본 헤겔 철학의 비판과 반비판: 얼굴의 의미에 관하여_ 이지훈
루소와 들뢰즈: 욕망의 중립성_ 이지훈
가상 개념: 헤겔과 들뢰즈의 경우_ 안재오
차연과 지양: 데리다와 헤겔의 철학적 방법론_ 안재오
필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특히 포스트주의 사조를 소개하거나 도입하는 많은 사람들은 그런 작가들, 예를 들어 들뢰즈 혹은 데리다 등이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기 위해 이용하는 숱한 독일의 사상가들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또 들뢰즈나 데리다가 해석하는 칸트나 헤겔의 사상을 아무런 생각 없이 추종하는 습관이 팽배하다.
특히 현대 한국의 지성은 거의 미국의 학풍에 사로잡혀 있다. 데리다를 연구하면서 느낀 것도 다름 아니라 데리다의 해체주의 사상이 미국 문학계의 중요한 세력이 되었다는 점이다.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열풍 역시 그런 미국 문학계의 영향력과 무관하지 않다. 다행히 이제 그런 맹목적인 사대주의 풍조는 가라앉고 차분히 근대와 현대의 서구의 철학을 음미하면서 이를 우리의 현실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싹트고 있다. 이 노력은 우선 포스트주의자들이 파악하는 근대 철학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재해석하는 일이다. - 본문 26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