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고동환, 김문식, 배우성, 유봉학, 한영우, 정호훈, 구만옥 (지은이), 한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엮은이)
푸른역사
1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91510418
· 쪽수 : 375쪽
· 출판일 : 2007-02-20

책 소개

역사학계에서 그동안 쌓아온 실학 연구 성과를 다시 점검하고, 혼란에 빠진 실학 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한림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개최한 학술회의를 종합한 결과물이다. '21세기 한국학' 시리즈의 세 번째 책으로, 역사학계의 가장 큰 이슈 가운데 한 가지 테마인 실학을 정면으로 다룬다.

목차

책을 내면서

'실학'연구의 어제와 오늘 | 한영우
17세기 실학의 형성과 그 정치사상 | 정호훈
- 부록 1 '17세기 실학의 형성과 그 정치사상' 에 대한 토론문 | 신병주
조선후기 경화사족의 대두와 '실학' | 유봉학
- 부록 2 '조선후기 경화사족의 대두와 '실학''에 대한 토론문 | 강혜선
조선후기 유학 텍스트와 경세학적 경학 | 김문식
- 부록 3 '조선후기 유학 텍스트와 경세학적 경학'에 대한 토론문 | 권오영
조선후기 '자연'인식의 변화와 '실학' | 구만옥
- 부록 4 '조선후기 '자연'인식의 변화와 '실학''에 대한 토론문 | 전용훈
지리학과 실학 | 배우성

저자소개

고동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학연구소 수석연구원을 거쳐 1995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 동 대학의 명예교수이며, 2023년 7월이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인문사회 3분과)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제55회 전국역사학대회 대회장, 서울시 및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 전문위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visiting scholar를 역임했으며, 제39회 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인문사회부문)을 수상했다. 단독 저서로는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 (지식산업사, 1998: 일역본 宮嶋博史 譯, 《朝鮮後期ソウル商業発達史研究》, 東京堂出版社, 東京, 2019), 《조선시대 서울도시사》(태학사, 2007; 일역본 野崎充彦, 金子佑樹 共譯, 《朝鮮時代ソウル都市史》, 勉誠社, 東京, 2023), 《조선시대 시전상업연구》(지식산업사, 2013), 《한국전근대교통사》(들녘, 2015)가 있으며, 공저로는 《역사와 도시》(서울대 출판부, 2000), 《거상, 전국의 상권을 장악하다》(두산동아, 2005),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푸른역사, 2007) 외 다수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조선후기 연안 항해와 外洋 항로의 개척〉, 〈조선후기~한말 영산강 수운과 시장〉, 〈조선후기~한말 신용거래의 발달〉 등 조선후기~한말시기 사회경제사 논문이 다수 있다.
펼치기
김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학예연구사를 거쳐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성호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실학학회 회장, 국가유산청 문화유산 위원으로 있다. 조선의 경학사상, 조선후기 사상가, 정조 시대, 국왕 교육, 국가 전례, 대외인식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정조의 제왕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왕세자의 입학식』, 『정조의 생각』, 『조선 왕실의 외교의례』, 『원행을묘정리의궤』,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학』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선의 왕세자 교육』,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 국왕의 일생』, 『왕실의 천지제사』, 『즉위, 국왕의 탄생』,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 등이 있다.
펼치기
배우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의 이름으로 살고 있다. 오랫동안 조선 후기 역사에 관한 글을 써 왔지만, 간간이 그 시대를 벗어나는 만용을 부리기도 했다. 좀 더 긴 호흡으로 읽어 내는 역사상을 추구해 왔기 때문이다. 주로 사상과 문화를 그 시대의 문맥 위에서 묘사해 왔지만, 때로는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그 시대 속 깊이 들어가 보고 싶기도 했다. 개성이 살아 있는 역사 글쓰기를 하고 싶다는 바람도 있었다. 글이 사람을 말해 주는 그런 글쓰기라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런 모든 바람들을 담은 결과물이기도 하다. 어느 때부터인가는 장소 친화적인 역사학의 가능성에 눈을 돌리기도 했다. 장소가 무대나 용기가 아니라 시간 속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역사적 실체라고 믿기 때문이다. 2001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에서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유봉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문학박사) 현재 한신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는 「정조시대 정치사 연구와 史料」, 『개혁과 갈등의 시대-정조와 19세기』, 『한국문화와 역사의식』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한영우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장, 한국사연구회 회장, 미국 하버드대학 객원교수, 서울대학교 규장각관장, 문화관광부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역임. [주요저서] 『정도전 사상의 연구』, 『조선 전기 사회경제 연구』, 『조선 전기 사회사상 연구』, 『조선 전기 사학사 연구』, 『조선 후기 사학사 연구』, 『한국의 문화전통』, 『우리 역사와의 대화』, 『한국민족주의 역사학』, 『다시 찾는 우리역사』, 『조선시대 신분사 연구』, 『미래를 위한 역사의식』
펼치기
정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7세기 北人系 南人 學者의 政治思想》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이다. 저서로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조선의 《소학》: 주석과 번역》, 《교화와형벌: 조선의 범죄대책과 《경민편》》이 있고, 역서로 《선각》, 《대학연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구만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학과 대학원에서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후기 자연관, 자연인식, 자연학 관련 담론을 탐구하여 조선후기 사상사의 변동 과정을 해명하는 작업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 Ⅰ주자학적 우주론의 변동』, 『영조 대 과학의 발전』이 있고, 공저로 『한국실학사상연구 4(과학기술편)』,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한국유학사상대계 (과학기술사상편)』, 『성호 이익 연구』, 『세종의 서재』 등이 있으며, 「조선후기 ‘선기옥형’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 - 정조의 천문책과 그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 연구의 쟁점에 대한 검토와 제언」, 「마테오 리치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을 비롯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한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03년 한국학의 진흥을 위해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산하에 창립되었다. 한국사, 외교, 종교, 정치 등을 전공한 사계의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학의 미래를 설꼐하는 심포지엄과 콜로키엄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연구 성과를 묶은 책들을 연차적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실학과 성리학을 정반대의 학문으로 이해하거나, 성리학을 곧 실학으로 이해하는 태도는 조선후기 사상계의 탄력성과 절충성을 부인하는 경직된 방법에 빠질 우려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학술대회에서 나타난 상반된 접근법은 얼마든지 발전적으로 지양될 소지가 있으며, 바로 다양한 접근법이 제시되었다는 것이 이번 학술대회의 큰 성과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책을 내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