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코로나19, 동향과 전망

[큰글씨책] 코로나19, 동향과 전망

김석현, 김양희, 김유빈, 박성원, 안병진, 유철규, 이상영, 이일영, 전병유 (지은이)
지식공작소
4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4,000원 -0% 0원
1,320원
42,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코로나19, 동향과 전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코로나19, 동향과 전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2888447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0-04-27

책 소개

코로나19로 잃은 것은 무엇이고 얻은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가? 팬데믹이 우리 사회에 남긴 것과 다가올 변화들에 대해 긴급 진단하고 과제를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팬데믹, 한국사회 변화의 분기점

1부 코로나19와 한국형 대응 모델

제1 토론/ 한국의 방역, 어떻게 미국을 앞서게 되었나  
코로나, 또 하나의 역사적 분기점  
각국의 대응과 한국형 방역 모델  
한국, 선제적 진단으로 큰 효과  
유럽에서의 확산과 동아시아의 선방 이유  
금융위기 때 긴축했던 독일도 초유의 부양책  
V자 반등이냐 U자 반등이냐  
수축사회의 징후들  
기술과 행정 결합한 혼합형  
개방과 통제의 새로운 방역 모델, 관료제가 큰 힘  
정치권의 무능과 시민사회의 위대함  
다른 가치와 다른 태도 가진 리더십 필요  

01 퇴조하는 서구와 상승하는 한국의 자유주의; 국내 질서의 혼돈과 넥스트 리더십  
조국과 정은경 현상이 공존하는 기이한 나라  
미국과 한국의 서로 다른 이중 민주주의  
총선 이후 넥스트 리더십을 통한 선도적 미래 모델 가능성?
 
02 코로나 이후 한국의 위상 전망: 아시아발 노르딕국가의 가능성  
코로나의 국내외 확산  
한국의 코로나 대응의 특징  
코로나 이후 한국의 위상  
· 서구 자유주의와 아시아 관료적 통치의 결합 모델  
· 글로벌 생산망의 주축으로서의 한국  
· 아시아 문화적 규범의 리더로서의 역할  
노르딕 국가 모델의 가능성

03 코로나 위기와 뉴노멀; 고통스러운 전환 시기  
역사적 분기점?  
뉴노멀이라는 체제전환  
기술과 글로벌체제의 전환  
전환기의 2020년  
한국형 뉴딜의 길은 있는가  

2부 코로나19와 한국경제

제2 토론/ 한국경제 본격 위기 언제 오나  
표면적으로는 외부 위기, 심각한 문제 가려져  
제조업 위기 오래된 얘기, 자동차 산업도 구조조정  
주거 부문과 달리 상업용 부동산 큰 충격  
노동환경의 새로운 변화들  
우리나라도 100조 원은 써야 방어 가능  
미국 연준, 리먼사태 10배 충격 느껴  
자영업 몰락, 가계부채 위기로 이어질지가 관건  
정부 역할, 국가 개입 커질 듯  
2차 충격에 대책 있나  

04 2차 위기가 더 두렵다  
기업 부도위험 지표 높아져  
탈공업화 추세에도 한국 제조업은 세계 2위  
삼성전자, 현대차에서 변화 시작될 것  
근무형태, 임금체계 변화 등 노사관계에 영향  

05 부동산시장은 안전한가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의 특성  
코로나 위기와 부동산시장 동향  
코로나 위기가 부동산시장에 미칠 중장기적 영향  
새로운 주택체제 전망과 과제  

06 코로나19 위기 전망과 정책 대응  
2008년 금융위기와는 다르다  
생명 살리는 것이 생산과 생활 살리는 것  
타깃형과 보편적 지원 결합해야  
2차 파동에 대비해 50조 원 준비 필요  
소외계층에 더 많은 재정 투입해야  
데이터 기반 정책 필요  

3부 코로나19와 미래사회

제3 토론/ 팬데믹 이후, 일과 삶의 거대한 변화들  
출석 체크하고 잠자도 되는 ‘온라인 개학’
과학적 의사결정 위한 정보 중요성 대두  
국제 협력 통한 문제해결 필요  
디지털 경제시대, 정보격차 해소도 관건  
온라인 교육, 교사 역량과 콘텐츠 질 높여야  
단순 제조업이 생명산업으로 부각  
감염병 연구개발, 양치기 소년 되지 말아야  
과학에 근거한 각국의 합의 체계 중요  

07 코로나 이후 사회변화  
시기를 막론하고 벌어진 사회적 변화  
· 시기 막론하고 변화 확인돼 혁신적 대응이 필요한 분야
· 새로운 변화 관찰돼 다각적 논의 필요한 분야  
그밖에 논의해야 할 사회변화 이슈들  

08 이전과는 다른 일상을 준비하기 위한 의기투합  
세계적 감염병이 남긴 상처  
네트워크를 통해 살펴본 시기별 이슈의 특징  
· 사회적 회복이 논의되기 시작한 사스  
· 첫 펜데믹 불러온 신종플루, 사회적 극복 노력의 중요성
· 정부-시민 간 소통 통한 협력이 필요했던 메르스  
· 반복되는 이슈, 새로운 이슈 모두 마주하는 코로나19
· 근본적인 해결 방법 찾기 위한 전문가 사회의 책임  

09 코로나19가 초래할 국제경제질서의 미래와 국제협력의 추진 방향 - 한국의 시각  
코로나19가 드러낸 국제경제질서의 전환 징후  
코로나19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코로나19 이후 국제협력의 추진 방향  

저자소개

유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옥스퍼드대 연구원, 매사추세츠대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한국경제학회 편집위원과 민주사회정책 연구원 연구위원을 맡고 있다. 금융제도와 금융구조조정, 기술경제학 등이 관심분야이며 노무현 대통령직인수위 자문위원을 맡기도 했다. 저서로는 『한국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불화와 공존』(2016, 공편저), 『혁신과 통합의 한국경제모델을 찾아서』(2006, 편저),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과 21세기 한국경제』(200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유철규의 다른 책 >
이상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동산114를 창업해서 대표이사로 10년간 근무했고, 한국주택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부동산분야의 실무와 이론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임대주택산업과 도시재생, 리츠, 프롭테크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고, 학술활동만이 아니라 부동산업계의 새로운 트렌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코로나시대, 부동산의 앞날』(공저, 2020), 『서울리츠2030 신주거전략』(공저, 2017), 『내일의 부동산파워』(2009), 『아파트의 경제학』(2002) 등이 있다.
펼치기
안병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교수. 뉴스쿨 포 소셜 리서치 정치학 박사.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의 칼럼니스트를 역임했다. 미국과 한국 정치를 비교하며 “생태 공화주의” 등의 대안적 담론을 제기하고 있다. 공화주의의 새로운 제도적 구상으로서 『제4부의 상상력』(2024)을 출간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뉴욕 타임스≫ 등 해외 미디어들과도 수차례 인터뷰를 수행했다.
펼치기
박성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래전략컨설팅사 ㈜원미래전략가들 대표. 연세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국내 언론사에서 기자로 활동하다가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 캠퍼스(University of Hawaii at Manoa)에서 정치학(미래연구)으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하와이미래학연구소 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 연구위원, 국회미래연구원 혁신성장그룹장을 역임했다. 2017년 세계미래학연맹(WFSF) 50주년 대회에서 ‘Outstanding Young Futurist’ 상을 수상했으며, 저서 『미래 공부』(2019, 글항아리)는 국회도서관 ‘세상의 변화를 읽는 100권의 책’에 선정되었다.
펼치기
김석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텔리전스코(intelligencekor.kr) 대표 및 파트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수학과 석사를, 미국 노터담대학(U. of Notre Dame) 경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과학기술혁신 지표를 연구했으며 해당 주제의 보고서를 다년간 저술했다. 지금은 한국사회에 대한 체계화되고 깊이 있는 이해, 그리고 한국인들의 세계에 대한 이해 기반을 넓히기 위해 ≪인텔리전스 코리아≫의 편집인 및 발행인으로서 창간호를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김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경제금융통상학과 교수. 동경대 경제학 박사. 삼성경제연구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 무역위원, 외교부 국립외교원 연구부장 등을 역임했다. 최근 저서는 『경제학들의 귀환』(2022, 공저), 『2024 한국경제 대전망』(2023, 공저), 논문은 “Interactions between Japan’s ‘weaponized interdependence’ and Korea’s responses: decoupling from Japan vs. decoupling from Japanese firms”(2021), “미국 주도 ‘신뢰가치사슬’은 작동 가능할까?”(2023), 보고서는 “Economic security vs economic coercion and data protection vs data protectionism”(2024) 등이 있다.
펼치기
김양희의 다른 책 >
김유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미래연구원 신성장동력 및 과학기술혁신 분야 연구위원이다. 서강대학교 컴퓨터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에서 공학박사와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 과학기술정책학과 객원교수를 겸임하며, 한국기술혁신학회 상임이사, 미래연구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혁신과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연구 프로파일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논문과 수행한 연구로 “The Economic Benefits of Big Science R&D”(2017), “과학기술정책 과학화 이론 및 활용연구 활성화 지원”(2017),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특성에 따른 기관평가체계의 발전방향”(2017), “논문·특허 기반 이종분야 공통기술 식별을 통한 융복합연구 전략수립”(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코로나와 조국 사태, 두 사건 모두 2020년 한국 사회의 정치, 사회 지형 자체를 흔들만한 중대 사건이었고 그 파장은 오래 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이 두 중대 사건은 그 역사적 의미에서는 결정적으로 달라진다. … 이 위기가 지나고 나면 감염병 이슈에서 한국 성공 모델을 변용한 감시 자본주의 패러다임의 진전이냐 새로운 균형이냐를 놓고 사회세력들이 격돌할 것이다.
_ “01 국내 질서의 혼돈과 넥스트 리더십” 중에서


한국의 방역은 자유주의를 존중하면서도 공공의 이익도 지켜내는 새로운 균형선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되고 있다. 기존에 방역의 표준이 서구가 만들어서 발전시킨 것이라고 한다면, 코로나를 계기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갖는 사회관리능력이라는 점도 재인식되고 있으며, 서구 중심주의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_ “02 코로나 이후 한국의 위상 전망” 중에서


이번 위기의 특성은 2, 3차 여진이 본진보다 더 큰 충격을 몰고 단계적으로 온다는 점이다. 1차 바이러스 위기, 2차 소비감소에서 오는 기업의 부도위험 증가, 3차 해외에서 오는 충격 등이 차례차례 닥쳐올 것이다. … 코로나19 사태 1차 영향이 금융시장을 넘어 기업으로 갔고, 이제 일자리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실업과 취업 양쪽에서 상황 악화의 징후가 뚜렷해졌다.
_ “04 2차 위기가 더 두렵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