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56620273
· 쪽수 : 100쪽
· 출판일 : 2014-06-13
책 소개
목차
봄날 오후, 과부 셋 007
Spring Afternoon, Three Widows
해설 075
Afterword
비평의 목소리 085
Critical Acclaim
작가 소개 092
About the Author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감을 보내놓고 하루꼬는 누구에게 기별할 정신조차 없었다. 하루꼬는 나 좀 데려가라고, 왜 영감 혼자 갔느냐고 악을 쓰며 울다 몇 번이나 정신을 잃었다. 자식도 없는 데다 하루꼬나 그 남편이나 서점에 틀어박혀 주위 사람들과 별로 어울리지 않은 탓에 장례식장은 쓸쓸하기 짝이 없었다. 유일한 상주인 하루꼬는 영안실에 오기만 하면 혼절을 하고, 염이며 입관이며 화장이며 모든 절차를 그녀가 도맡아 처리했다. 하루꼬의 뒤처리를 그녀가 하게 될 줄은 몰랐다. 하루꼬나 사다꼬는 저희들끼리는 곧잘 속을 털어놓는 눈치였지만 그녀에게는 한 번도 속엣말을 하지 않았다. 하루꼬 남편이 잘 다니던 학교를 때려치우고 낙향하게 된 이유도 하루꼬의 입을 통해서는 들은 적이 없다. 샌님 같이 생긴 하루꼬의 남편이 전교조라나 뭐라나, 419 뒤에 세상 좋아진 줄 알고 괜히 설쳤다가 쫓겨났다는 사실을 무슨 말 끝에 사다꼬에게 들었다. 그때 사다꼬와 하루꼬는 서로 먹고살기 바빠 왕래도 뜸했다.
The funeral was unparalleled in loneliness, probably because they were childless and because they stuck to themselves in the bookstore, hardly ever engaging with their neighbors. Haruko was the chief mourner but she fainted every time she went to the mortuary. Everything fell to Aiko: the ritual preparation of the corpse, laying out the coffin, and seeing to the cremation. She was so busy looking after Haruko that she was unable to send notices of Haruko’s husband’s death. Aiko didn’t know she’d have to mind Haruko afterwards. There was a ready willingness for Haruko and Sadako to talk things out together, but Haruko never once unburdened herself privately to Aiko. Haruko hadn’t told Aiko why her husband had quit teaching and returned home. Aiko heard about it later from Sadako. A meek man, someone who ardently believed that the world had changed for the better after the 1960 student uprising, he was fired for active involvement in an illegal radical teachers group. At that time, Sadako and Haruko were so busy with their own lives that they were rarely in touch with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