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전 톡톡 : 고전, 톡하면 통한다

고전 톡톡 : 고전, 톡하면 통한다

고미숙, 고병권, 박정수, 박성관, 길진숙, 권용선, 문성환, 구윤숙, 김연숙, 김태진, 박수영 (지은이), 채운, 안명희 (엮은이)
그린비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전 톡톡 : 고전, 톡하면 통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전 톡톡 : 고전, 톡하면 통한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6821256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1-06-30

책 소개

이 책은 한 권의 고전 수다집이다. 고전에 대한 너와 나의 ‘말’(talk)을 모아 『고전 톡톡 : 고전, 톡하면 통한다』라는 제목으로 책을 묶었다. 이 책에는 톡톡 튀는 고전 소개와 함께 고전 속 명문장과 지은이들의 체험이 결합된 글이 실려 있어, 고전을 현재적 맥락에서 새롭게 사유해 볼 수 있다.

목차

꼬리에 꼬리를 무는 등장인물 4 | 라이벌 등장인물 10 / 책머리에 _ 고전의 매혹, 글쓰기의 유혹 16

1부 고전을 ‘talk’하다!
1장 / 고전, 괴롭도록 새로운 책 29
[원오극근의 『벽암록』] 깨달음, 기존세계 깨지 않으면 도달할 수 없는… 30
[왕양명의 『전습록』] 묻고 답하기,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지혜의 기록 36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 변화와 생성의 아름다움 42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삶을 노래하는 우주 48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 타임머신을 타고 현재를 사유하다 54
[레비-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 인간을 용해하라! 60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존재하는 것 모두가 선물이다 66
[이탁오의 『분서』] 나는 한 마리 ‘개’였노라 72
[체르니셰프스키의 『무엇을 할 것인가』] 사랑과 혁명은 어떻게 조우하는가 78
[고대 중국의 신화백과 『산해경』] 신기한 것들은 다 모여라! 84
[이반 일리히의 『학교 없는 사회』] 요람에서 무덤까지, 제도를 거부하라 90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 구원은 어디에 있는가? 95
[캉유웨이의 『대동서』] 경계를 무너뜨려야 유토피아 101
[이기영의 『고향』] 함께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107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갇혀서야 자유로울 수 있었던 한 지식인의 내면 풍경 113
[루소의 『고백록』] 어느 고독한 산책가의 몽상 120

2장 / 고전, 절반쯤 알고 태반은 모르는 책 127
[루쉰의 『아Q정전』] 나는 아 Q다 128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삶은 무엇으로 지속되는가 134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 차안(此岸)의 세계에서 벌이는 투쟁 140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고고와 디디, 삶을 발견하다 146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변신, 출구를 향한 끝없는 시도 152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세계를 편력하는 자의 어른 되기 158
[오승은의 『서유기』] 지난한 ‘나’와의 싸움 164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왕』] 네 운명을 사랑하라 171
[빅토르 위고의 『파리의 노트르담』] 15세기 파리를 배경으로 한 사랑과 혁명의 서사시 177
[오노레 드 발자크의 『고리오 영감』] 파리여! 이제부터 너와 나의 대결이다! 183
[장주의 『장자』] ‘오래된 미래’, 국가 없이 사는 법 188
[홍명희의 『임꺽정』] 백수의 자유, 길 위의 향연 194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 고민하는 햄릿, 그가 보여 주는 인간의 길 199
[사마천의 『사기』] 우리 시대에 던지는 우정의 빛 205
[박지원의 『열하일기』] 여행, 경계를 넘고 나를 넘는 길 211
[허준의 『동의보감』] 몸과 우주의 비전 탐구, 『동의보감』 216
[나쓰메 소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거인의 시대를 사뿐히 지나가는 고양이 222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나는 철학한다, 고로 자유롭다” 228
[노자 가르침의 진수 『노자』] 저기요…, 혹시… “도를 아시나요” 234
[이광수의 『무정』] 방황하는 청년에게 고함 241
[시내암의 『수호지』] 양산박, 108명 강골들의 네트워크 247
[귄터 그라스의 『양철북』] 제멋대로 기록자가 술회하는 불구자들의 시대 253
[루쉰의 『광인일기』] ‘식인의 잔혹사’와 단절하라 259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다윈이 종교를 비판했다구? 265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우리가 되기 위한 나와 너의 싸움 271

3장 / 고전, 제목은 분명히 아는 책 277
[주희의 『주자어류』] 집대성, 성실과 근면의 다른 이름 278
[토머스 홉스의 『리바이어던』] 국가라는 괴물 284
[묵적의 『묵자』] 전사의 행동백서 290
[중국의 오래된 노래책, 『시경』] 思無邪, 혹은 불량가요의 힘! 296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차라투스트라, 중력 위에서 춤추다! 302
[칼 맑스의 『자본』] 자본에 대한 영원한 반시대적 고찰 308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내 안의 무의식을 찾아서 313
[김부식의 『삼국사기』] 『삼국사기』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 319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별을 지도 삼아 길을 떠나던 시대의 이야기 325
[조설근·고악의 『홍루몽』] 인생, 붉은 누각에서 꾼 한바탕의 꿈 331
[마르셀 프루스트의 「스완네 집 쪽으로」] 잃어버린 시간을 찾기 위한 지도책 337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 년의 고독』] 욕망하는, 고로 고독한! 343
[일연의 『삼국유사』] 이야기에 의한, 이야기를 위한, 이야기의 역사 349
[공자의 『논어』] 배움의 책, 사람됨의 책 355

2부 고전과 ‘通’하다!
1장 / 고전통통(古典痛通) : 고전, 아프면 통하는 책 363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왕』] 고통의 맨 얼굴과 마주하기 364
[이광수의 『무정』] 최고의 여행법! 다른 존재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367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 세계라는 이름의 파편더미 위에서 370
[귄터 그라스의 『양철북』] 우리, 땅꼬마 냉소주의자들 373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아무것도 아닌, 그래서 모든 것이 될 수 있는 377
[칼 맑스의 『자본』] 지성의 눈과 감성의 눈 381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자신만의 방법? 별 거 없어! 385
[허준의 『동의보감』] 실연에 대처하는 우주적 용법 388
[오승은의 『서유기』] 손오공도 달아날 땐 달아난다 391
[발자크의 『고리오 영감』] 식인의 역사를 끊으려면? 394
[이기영의 『고향』] 공부와 삶은 하나다 397
[홍명희의 『임꺽정』] 아프냐? 그때가 바로 공부할 때다! 400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 집 나간 희망을 위하여 403
[빅토르 위고의 『파리의 노트르담』] 자연과 역사의 교집합, 건축과 도시 406
[카프카의 『변신』] 벌레가 될 것을 두려워 말라 410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기다릴 수 있는 능력 413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무엇이 일상을 살아가게 하는가 416

2장 / 고전각각(古典覺刻) : 고전, 깨닫고 새기는 책 419
[캉유웨이의 『대동서』] 도를 아십니까? 420
[체르니셰프스키의 『무엇을 할 것인가』] 독립의 문턱에서 423
[프루스트의 「스완네 집 쪽으로」]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려면? 426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 어른이란 스스로를 돕는 자다 429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여행의 두 가지 방식, 자기의 발견과 소비적 관광 432
[소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소유에 대하여 436
[묵적의 『묵자』] 배움, 열정과 촉발 439
[레비-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 다채로운 삶의 풍경, 불연속적 기억의 클래스 442
[웰스의 『타임머신』] 일상 속 변화와 혁신, 정말로 있습니까? 445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우정의 조건 448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파괴와 창조, 살림과 죽임 451
[이반 일리히의 『학교 없는 사회』] ‘대안학교’를 다시 생각하다 454
[홉스의 『리바이어던』] 공포와 적대를 넘어 우정과 연대로 457

3장 / 고전독독(古典讀讀) : 고전, 읽고 또 읽는 책 461
[루쉰의 『아Q정전』] 스스로 모독하다! 462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환대 혹은 이방인과 만나는 방식들 466
[셰익스피어의 『햄릿』] 불친절한 선물, 친절한 선물 469
[장주의 『장자』] 통치자의 숭고한 의무, 오직 백성을 살릴 뿐 472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무수한 ‘나’들의 공동체 476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밝고 명백한 세상! 그것이 가능할까? 479
[박지원의 『열하일기』] 사이의 길은 명심(冥心)에서 483
[루소의 『고백록』] 과거를 낯설게 기억하는 법 487
[중국의 오래된 노래책 『시경』] 모과를 던지다 490

필자 소개 493

저자소개

고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전평론가. 강원도 함백 출신.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감이당 & 남산강학원에서 ‘밥과 친구와 생사의 비전’ 등 거의 모든 것을 해결하고 또 탐구하고 있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비롯한 열하일기 3종 세트,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를 비롯한 달인 4종 세트,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를 비롯한 동의보감 4종 세트, 근대성 3종 세트, 그 외에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 『조선에서 백수로 살기』,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몸에서 자연으로, 마음에서 우주로 with 동의보감 & 숫타니파타』 외 다수가 있다. 가장 최근에 낸 책으로는 『청년 붓다, 바람과 사자와 연꽃의 노래』가 있다.
펼치기
고병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읽기의집’과 ‘노들장애학궁리소’에서 공부하며 살아간다. 생의 최소 단위는 혼자가 아니라 ‘함께’라는 사실을 잊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언더그라운드 니체』, 『다이너마이트 니체』, 〈북클럽 『자본』〉 시리즈(전 12권),『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묵묵』, 『사람을 목격한 사람』, 『“살아가겠다”』, 『점거, 새로운 거번먼트』, 『추방과 탈주』등을 썼다.
펼치기
박정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구 공간 수유+너머에서 프로이트, 라캉, 푸코, 들뢰즈 등을 공부했으며, 거기서 ‘전공’에 구애받지 않고 막 얘기해도 된다는 걸 배웠다. 수다스런 ‘아침꽃 세미나’에서 루쉰, 벤야민, 카프카 전집을 읽었고, 그리스 비극도 여기서 처음 읽었다. 지금은 SF소설을 읽고 있는데, 어슐러 K. 르 귄에 푹 빠졌다. 노들장애학궁리소에서 장애사 저서를 번역하며 공부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장애 인식에 관한 지식은 주로 여기서 얻었다. 노들야학 철학 교사로서 수업 시간에 그리스 비극을 강독한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 2022년부터 영상 활동을 시작, 장애인들과 함께 장애인들의 ‘비극’을 영상으로 담고 있다. 그동안 쓴 저서로는 《‘장판’에서 푸코 읽기》, 《현대 소설과 환상》, 《청소년을 위한 꿈의 해석》, 《매이데이》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How To Read 라캉》, 《잃어버린 대의를 옹호하며》,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종교학과 졸업 후 독립연구자로 과학과 철학을 넘나들며 저술과 강의, 번역을 병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21세기 전후로 등장한 철학과 사유의 새로운 흐름을 비판적으로 읽어내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다윈에게 직접 듣는 종의 기원 이야기』 『아인슈타인과 광속 미스터리』 『종의 기원: 모든 생물의 자유를 선언하다』 『종의 기원, 생명의 다양성과 인간 소멸의 자연학』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현대 철학의 최전선』 『왜 당신들만 옳고 우리는 틀린가』 『응답하는 힘』 『중동태의 세계』 『저항에의 초대』 『다치바나 다카시의 서재』 『장소의 운명』 『굿바이 다윈』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등이 있다.
펼치기
길진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필동의 ‘사이재’에서 밥과 책과 글을 나누며, ‘지천명’(知天命)의 시간을 보내는 중이다. 연암, 붓다, 공자, 장자, 맹자, 사마천, 김부식, 일연, 푸코, 들뢰즈, 푸시킨, 고골, 도스토옙스키 등 멋진 스승들을 만나 이 고단하고 번뇌 가득한 사바세계를 즐겁게 헤쳐 나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18세기 조선의 백수 지성 탐사』,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 『고전 톡톡』, 『인물 톡톡』, 『루쉰, 길 없는 대지』 등이 있다. 함께 번역하고 엮은 책으로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전2권)가 있으며, 『낭송 춘향전』, 『낭송 열하일기』, 『낭송 18세기 소품문』을 함께 풀어 읽었다.
펼치기
권용선 (해설)    정보 더보기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인하대학교 국문과에서 「1910년대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과정」이라는 제목으로 박사논문을 제출함으로써 긴 제도권 수업 시절을 마감했다. 몇 해 전,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계몽의 변증법』을 리라이팅한 『이성은 신화다, 계몽의 변증법』이라는 책을 낸 바 있고, 그 밖의 저서로 『문학의 외부, 근대적 글쓰기의 탄생』, 공저서로 『들뢰즈와 문학기계』, 『‘소년’과 ‘청춘’의 창』,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등이 있다.
펼치기
문성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남산강학원>, 글공방 <나루> 회원. 자칭 양명학‘빠’이며, 훌륭한 스승과 왁자한 벗들 사이에서 노는 것을 좋아한다. 최근엔 주로 불교, 『주역』, 장자 관련 공부=활동에 연결 중이다. 지은 책으로 『전습록, 앎은 삶이다』, 『닌하오 공자, 짜이찌엔 논어』, 『사기와 가족』 등이 있다.
펼치기
구윤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책 읽는 소리가 세상에서 가장 듣기 좋다는 말에 공감하여 낭송하기 좋은 책 만들기 작업에 함께하였다. 『데카메론?: 10일의 축제 100개의 이야기』를 썼고, 함께 쓴 책으로 『인물 톡톡』, 『고전 톡톡』 등이 있다. 낭송Q시리즈 중 『낭송 흥보전』, 『낭송 토끼전/심청전』, 『낭송 한비자』를 풀어 읽었다.
펼치기
김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원에서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상으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 <감이당>, <남산강학원>, <수유너머>에서 세미나와 글쓰기를 하며 ‘몸과 정치’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모든 경계에서 자유롭고자 한 캉유웨이를 따라 경계를 넘나드는 사유와 실천을 꿈꾸고 있다. 결국 유토피아란 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자신의 삶과 몸을 얼마나 코뮨적으로 만드는지, 얼마나 매력적으로 만드는지 속에서만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이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고민하며 살 생각이다. 지은 책으로 『명랑인생 건강교본』, 친구들과 함께 쓴 『고전 톡톡』 등이 있다.
펼치기
박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임용시험 탈락자 백수로 현재 <수유+너머 남산>에서 공부 중이다. 알바로 생계를 이어가며 아침부터 밤까지 책 보고 세미나하고 밥 먹고 산책하고. 이 단순한 나날이 참 좋다. 앞으로도 계속 공부하며 살고 싶다. 공부로 친구를 사귀고 밥벌이를 하고 놀이를 하면서 세상과 만날 것이다.
펼치기
채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전비평공간 ‘규문’에서 동서양의 철학과 역사를 공부하면서 강의하고 글 쓰는 일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고, 미술사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지은 책으로 『예술의 달인 호모 아르텍스』, 『재현이란 무엇인가』, 『글쓰기와 반시대성, 이옥을 읽는다』, 『느낀다는 것』, 『철학을 담은 그림』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 『고전 톡톡』, 『인물 톡톡』, 『루쉰, 길 없는 대지』 등이 있다.
펼치기
안명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수유+너머 남산> 연구원. 1979년 서울 출생. 대학에서는 강의실보다 학보사실에 더 오래 있었고, 덕분에 전공 공부는 전생의 일처럼 까마득하다. 하자작업장학교에서 만2년 동안 재직했고, 지금도 연구실 안에서 가능한 십대 인문학을 기획, 시도 중이다. 도스토예프스키와 마르케스를 좋아하고, 그 덕분에 글 쓰고 강의하며 먹고 산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작년 한 해 동안 각자가 공부하는 장에서 열심히 읽고 열심히 썼으며, 열심히 경청하고 열심히 깨졌다. 우리가 ‘다시 읽은’ 고전들은 이 과정에서 선택되었고, 모두들 고쳐 생각하고 고쳐 쓰기를 수도 없이 반복했다. … 공부가 독이 되지 않으려면, 세상으로부터 받은 지식을 세상 속으로 다시 순환시켜야 한다. 고전이 우리가 받은 선물이라면, 이 글들은 그 선물에 대한 우리의 답례다. 그리고 이 책은 우리가 접속하고자 하는 미지의 독자들에게 보내는 소박한 초대장이다.(「책머리에」, 18~19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