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8876561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02-05
책 소개
목차
여주의 동학과 해월 최시형의 최후에 관한 연구 | 임형진
1. 시작하는 글 / 2. 경기도의 동학 / 3. 여주의 동학 / 4. 전거론과 동학의 세대교체 / 5. 해월의 최후와 여주 / 6. 마치는 글
여주 동학인 홍병기의 동학사상 실현과 민족운동의 전개 | 황묘희
1. 들어가는 말 / 2. 동학 입교와 시대개혁인식의 형성 / 3. 동학혁명의 참여와 여주 기포의 주도 / 4. 민회의 조직과 개화혁신운동의 전개 / 5. 민족대표의 참여와 민족독립운동의 전개 / 6. 3·1민족운동 이후 민족독립운동의 전개 / 7. 맺음말
동학의 민주 평화 통일 사상과 여주의 정신 | 조극훈
1. “오심즉여심”과 동학의 장소성 / 2. 동학의 민주 평화 통일 사상 / 3. 동학의 정신과 지방자치의 실현 / 4. 사람중심, 행복도시 여주 / 5. 동학정신의 구현과 여주
해월 최시형 선생 묘소 활용 방안 | 장원석
1. 머리말 / 2. 해월 선생 묘의 현황 / 3. 이야기와 주변환경 / 4. 활용을 위한 몇 가지 제언
동학 여성지도자 구현의 가능성 | 이상임
1. 들어가는 말 / 2. 플라톤과 여성수호자 / 3. 동학과 여성지도자 / 4. 비교 및 결론
여주, 21세기 동학의 원류 | 박길수
1. 여는말 / 2. 동학 천도교와 개벽파의 탄생 / 3. 여주 지역 동학 천도교 역사 / 4. 천도교 시대의 원점, 여주 전거론: 의암의 도통 승계 / 5. 다시 여는말: 21세기 동학의 원점, 여주 전거론
부록1 : 시천주와 흙의 경전 외 | 홍일선
부록2 : 한울이 한울을 먹는구나 | 장주식
부록3 : 최시형과 여주 동학 | 채길순
저자소개
책속에서
● 여주 전거론, 동학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다
해월 최시형은 (여주 도전리) 전거론에서 12월 24일 김연국, 손천민, 손병희 3암을 불러들였다. 이제 본격적으로 후계자를 정해서 도통을 넘겨주어야 할 시점이라고 해월은 판단한 것 같다. 해월은 3인을 앞에 두고 “너희들 세 사람 가운데 주장이 없으면 안 될 것이니 손병희로 주장으로 삼노라”라고 중대 결단을 내렸다. 즉 손병희를 자신의 뒤를 이을 동학 교단의 책임자로 선임했다. 이로써 3인의 집단지도체제는 손병희의 단일지도체제로 마무리됐다. 해월은 손병희에게 “우리 도를 잘 나타내서 후세에 편안하게 하라”고 당부했다. (여주의 동학과 해월 최시형의 최후에 관한 연구 | 임형진)
● 여주 출신 동학 지도자, 민족대표33인, 고려혁명당의 홍병기
홍병기는 3.1민족운동 직후 일경에 체포되어 고통스러운 옥고를 치르면서도 민족정신을 잃지 않고 일제의 회유를 거부하고 민족의 자존을 지키고자 했던 행동하는 동학인이자 우국지사였다. 그는 일제 당국의 심문과정에서 조선 독립의 당위성과 일제 식민 통치의 부당성을 강하게 비판하며 동학의 민족 항일의식을 당당하게 표출하였다. 3.1민족운동 이후에도 그의 사회 개혁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은 지속되었다. 고려혁명위원회를 조직하고 위원장으로서 보다 적극적인 사회 개혁과 독립운동을 전개하고자 하였고, 연해주에서 조직된 천도교최고비상혁명위원회의 집행위원장으로 참여하였다. 그리고 길림에서 고려혁명당이 조직되자 이에 참여하여 민족운동을 지속하고자 하였으나 동지의 체포로 활동이 좌절되고 다시 옥고를 치렀다. (여주 동학인 홍병기의 동학사상 실현과 민족운동의 전개 | 황묘희)
● 사람 중심, 행복 여주의 비전과 여주 동학의 정신
동학의 민주 평화 통일 사상은 오심즉여심에 기초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신분, 지역, 빈부, 성별, 나이 등 기존의 개인과 개인, 개인과 공동체 간의 갈등과 반목을 해결할 수 있는 기본 틀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지금의 민선7기 지방자치단체인 여주시가 설정한 ‘사람중심, 행복 여주’ 비전을 통해 모든 시민들이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는 목표와 일맥상통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동학사상의 시천주와 양천주 그리고 인내천의 종지를 통하여 사람이 중심이고 사람살이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현대적인 지방자치 제도의 근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과 우리역사 최초의 농민 자치 기구였던 집강소의 설치, 운영과 폐정개혁안 12조의 시행을 통하여 지방자치의 실체적 접근까지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학의 민주 평화 통일 사상과 여주의 정신 | 조극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