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85571133
· 쪽수 : 97쪽
· 출판일 : 2019-11-21
책 소개
목차
급진화, 아픈 기억
신사회운동, 아나키즘, 생태주의, 페미니즘 ; 새로운 급진주의와의 연대
근대주의 없는 근대화 과정
삶의 양식에의 관심, 자유와 자율의 급진적 확장, 직접 행동의 일상화
내가 장단 맞춰 춤출 수 없는 혁명을 원하지 않는다
지역 정체성, 지속가능성, 다차원성
운동의 목표, 구조, 사람 모두의 변화에서 시작해야
국가-지방 정책과정과 활동에 연계되는가
투쟁 과정에서 등장한 근대 시민, 성찰 과정에서 성장하는 탈근대 시민
철지난 급진주의 유행
젠더 이슈, 세대 이슈, 기본소득 - 탈근대적 요소
80년대 급진사상 확산 배경 - 자유주의 사상과 교육의 결핍
투쟁의 자기동력화로서 막연한 혁명 사상
색깔론과 정직한 전환적 대응
진정 래디컬한 분석과 반성에의 직면(直面)
개인에 대한 발견에서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로
정치적 태도 대 이념적 가치 정향
민주화 운동, 민주주의에 대한 고민과 논쟁을 생략
평등주의 신앙의 수사로서 실질적 민주주의론
시민의 성장 : 이견에 대한 태도
우연에 대한 허용
86, ‘세대 효과’를 극복해야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
타협과 공존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시대 사회운동의 재구성에 관한 관심이 고조된 배경에는 낡은 NL/PD적 사고와 행동에 대한 근본적 회의, 나아가 ‘근대성’과 이를 내장한 과거의 급진적 사회운동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에 더해 삶의 양식에 관심을 갖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시대 급진적 사회운동의 연대성은 소수성(지향성)으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그것은 국가ㆍ민족주의와 남성 중심의 관점에서 형상화한 시각과 ‘민주화 담론’ 등과 같은 주류 중심의 관점으로부터 거리 두기가 필요하지요.”
“‘민주성’은 정부와 국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정치적 민주주의(political democracy)와 조직 내의 민주적 관리를 의미하는 조직 내적 민주성(organizational democracy)을 넘어서는 더욱 확장된 개념의 민주성이어야 합니다. 기존의 민주성이 국민의 요구를 수렴해 행정에 반영시키는 대응성(responsiveness)의 확보 및 책임 행정의 구현을 의미하였다면 급진주의적 사회운동의 민주성은 관리가 아닌 자율적 참여와 소통을 지향하며 소수성을 보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