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너와 나의 5.18

너와 나의 5.18

(다시 읽는 5.18 교과서)

김정인, 김정한, 은우근, 정문영, 한순미 (지은이), 5.18기념재단 (기획)
오월의봄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400원 -10% 0원
1,300원
22,100원 >
23,400원 -10% 0원
0원
23,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너와 나의 5.18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너와 나의 5.18 (다시 읽는 5.18 교과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87373858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9-03-18

책 소개

질문의책 23권. 5.18기념재단이 2016년부터 준비해 만든 일반인과 대학생을 위한 교양서이다. 5.18 당시 광주 시민들은 목숨을 바쳐 부당한 권력과 싸우며 한국 사회에 커다란 질문을 던졌다.

목차

서문
5‧18, 우리 역사의 위대한 질문 _은우근

1부. 5‧18, 배경과 진행

1장 5‧18, 왜 일어났을까? _김정인
1. 긴 독재, 불굴의 민주화투쟁 | 2. 반공의 이름으로 국가폭력에 희생되다 | 3. 서울에서 광주로, 민주화의 꿈이 살아나다

2장 5‧18민주화운동, 열흘간의 드라마 _정문영
1. 5월 18일부터 5월 21일까지 | 2. 5월 22일부터 5월 25일까지 | 3. 5월 26일부터 5월 27일까지

3장 진실을 향한 투쟁 _정문영
1. 1980년 5월 광주항쟁에서 1987년 6월 국민항쟁에 이르는 길 | 2. 1987년 6월항쟁과 광주청문회 | 3. 특별법 제정과 책임자 처벌 | 4. 에필로그: 국제적인 운동으로서 5월운동

2부. 5‧18 이후의 5‧18

4장 상처 입은 자, 그들의 부서진 삶 _김정인
1. 살았으되, 죽은 삶들 | 2. 여성, 무너지고 부서진 삶 | 3. 치유 가능한 삶을 위하여

5장 5·18, 진실과 거짓말: 그들은 왜 5‧18을 왜곡‧조작하는가? _은우근
1. 5·18 왜곡의 영향 | 2. 5·18 왜곡의 양상 | 3. 5·18 진압 이후 왜곡의 추이와 배경 | 4. 왜곡에 어떻게 대처할까?

6장 ‘모두의 5·18’로 가는 길 _김정인
1. 공감 없는 비극, 5‧18 | 2. 세계인이 공감하는 역사, 홀로코스트 | 3. 5‧18, 공감을 위한 문화적 여정 | 4. 5‧18, 아직도 머나먼 공감의 길

3부. 해석과 실천

7장 5‧18 학살의 애도와 민주주의 _김정한
1. 오월의 바람 | 2. 추모투쟁과 사회적 애도 | 3. 제5공화국의 공포정치와 5‧18의 민중운동 | 4. 5‧18의 학살자와 살아남은 사람들

8장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봉기하는가? _김정한
1. 4‧19와 5‧18 | 2. 5‧18의 세계적 보편성 | 3. 국경을 횡단하는 봉기의 계승 | 4. 5‧18의 세계 유산

9장 저항하는 사람들의 윤리 _김정한
1. 광주 시민이 국군에게 보낸 편지 | 2. 왜 총을 들었는가? | 3. 5·18의 반폭력 정치 | 4. 저항의 윤리

10장 5·18 공동체: 부끄러운 자들을 위한 연대 _은우근
1. 부끄러움의 의미 | 2. 5·18 공동체와 집단 정서의 형성 | 3. 부끄러움의 힘 | 4. 질문은 계속되어야 한다

4부 기억, 증언, 예술

11장 공감과 연대: “내 속의 이 큰 슬픔을 누구에게 말할까?” _한순미
1. 분노와 저항의 물결 | 2. 불꽃처럼 살다간 사람들: 사라지지 않는 기억 | 3. 말을 잃어버린 도시: 소문과 유언비어 | 4. 산 자여 따르라 | 5. 평범한 위대함의 순간들

12장. 물음과 선택: “우리는 왜 총을 들 수밖에 없었는가?” _한순미
1. 어쩌다 총을 들게 되었을까? | 2. 명령의 꼭두각시: 무엇이 우리를 이렇게 만든 것일까? | 3. 가해자이면서 피해자: 똑같이 아픈 사람들 | 4. 부끄러움과 죄의식 | 5. 발언과 실천: 너는 결코 죽지 않았다

13장.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체: “인간이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_한순미
1. 누구에게 말할 것인가? | 2. 유령들의 증언 | 3. 인간이란 무엇인가? | 4. 거대하고 숭고한 심장 | 5. 또 다른 질문의 시작: May, 18th

저자소개

김정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강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대중운동의 이데올로기 연구: 5·18광주항쟁과 6·4천안문 운동의 비교』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실천문학 편집위원, 문화 과학 편집위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 민간조사관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현대 정치철학연구회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 현대 정치철학을 통해 역사적 사회운동들을 새롭게 인식하고, 그와 함께 보편적 사회운동을 위한 정치철학을 탐구하는 ‘사 회운동과 정치철학의 마주침’을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 『대중과 폭력: 1991년 5월의 기억』, 『1980 대중 봉기의 민주주의』(제7회 일곡유인호학술상 수상), 『비혁명의 시대: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알튀세르 효과』(공 저), 『너와 나의 5·18』(공저),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80년대』 (공저),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in Global Perspective(공저), Korean Memories and Psycho-Historical Fragmentation(공저), Toward Democracy: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1945~1980(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폭력의 세기』, 『혁명가: 역사의 전복자들』(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5·18 항쟁 시기에 일어난 일가족 살인 사건: 전쟁, 학살, 기억」, 「5·18학살 이후의 미사未死: 아직 죽지 못한 삶들」, 「광주 학살의 내재성: 쿠데타, 베트남전쟁, 내전」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인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한국 근대사를 전공했다.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 민주주의 역사와 대학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역사 대화에 관심을 갖고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눈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재해석·재구성한 ‘민주주의 한국사’ 3부작을 기획·출간해왔다. 19세기부터 3·1운동과 민주공화정의 탄생까지를 다룬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2015), 3·1운동 이후부터 해방 직후까지 독립운동사를 담은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2017)에 이어, 해방 이후부터 21세기 촛불시위까지 현대 민주주의의 역사를 다룬 《모두의 민주주의》는 3부작을 완결 짓는 책이다. 그 외에 지은 책으로 《오늘을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등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여성 단체들의 독립운동》,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87년 이후 35년의 한국 민주주의》,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교과서와 역사 정치》, 《간첩 시대》, 《동아시아사 입문》, 《미래를 여는 역사》,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 1, 2》 등이 있다.
펼치기
은우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영광에서 태어났다. 1981년 대학 재학 중 민주화운동으로 지명수배 후 제적된 적이 있다. 교사로 교육민주화운동에 참여하다가 한국YMCA연맹 파송 간사로서 여수YMCA 사무총장으로 일했다. 1989년 성내운 광주대학교 명예총장의 부름을 받았다. 워싱턴주립대학교와 위스콘신주립대학교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광주대 인권과삶의질연구센터장, 5·18기념재단 기획위원장, 박근혜퇴진광주시민운동본부 정책기획단장을 맡았다. 지금은 사회대개혁지식네트워크 상임대표, 촛불승리! 전환행동 상임공동대표, 합수윤한봉기념사업회 부이사장, 광주전남교수연구자연합 상임의장을 맡고 있다. 이 책에 실린 글 이외에 『너와 나의 5ㆍ18』(공저), 『인권, 인간은 어떤 권리를 가질까?』(공저), 『인권의 발견』(은우근 역, 윌리엄 탤벗 지음) 『이솝, 보비 샌즈와 함께 자유를 사색하다』, 「5ㆍ18기념사업에 대한 하나의 반성」, 「공동체적 자유개념의 현대적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한순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다초점 렌즈로서의 재난인문학: 그물망과 교차점』(2022),『격리-낙인 -추방의 문화사: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 The Vision》과 한국문학』(2022),『불면의 감촉: 한국소설 읽기 2016-2017』(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정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을, 미국 코넬대학교 대학원에서 역사학(동아시아 지성사)을 공부했다. 5.18민주화운동을 해석하기 위한 연구를 틈틈이 수행해왔으며, 5.18기념재단 및 국방부5.18특별조사위원회에서 연구조사 업무를 수행한 바 있다. 현재는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5.18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미지 테크놀로지 생명정치: 생명관리 사회의 테크놀로지와 권력》(공저)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조르조 아감벤의 《왕국과 영광》(공역), 《언어의 성사》,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등이 있다.
펼치기
5.18기념재단 (기획)    정보 더보기
5·18민주화운동의 위대한 민주정신과 숭고한 대동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4년 8월 30일, 광주 시민, 해외 동포를 포함한 국민들, 5·18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의 뜻을 모아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우리 재단은 기념사업, 5·18문화예술사업, 교류협력사업, 교육사업, 학술사업 등 ‘광주 민주, 인권, 평화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5월 민중은 목숨을 바쳐 부당한 역사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우리는 그 질문들이 무엇이며 지금 여전히 살아 있는 것임을 말하려 했다. 5.18은 국가와의 관계에서 민중이 겪은 역사적 고통과 좌절, 그리고 극복에 대한 기록이다. 국가의 모습이 5월 민중이 목숨을 바쳐 이룩한 생명 공동체의 빛나는 성취와 일치하지 않는 한, 5.18은 계속되는 현재이다. 5.18의 진실에 대한 왜곡과 폄훼는 5.18이 아직 끝나지 않은 투쟁임을 역설적으로 입증한다.


3여단 특공조는 4개조로 나뉘어 도청을 포위했다. 도청 뒷담을 넘어 들어온 특공조가 맹렬히 총을 쏘아대자 곧이어 사방에서 총탄이 쏟아졌다. 특공조는 도청 내부로 돌격하여 옥상부터 훑어 내려왔다. 각 방의 문을 걷어차면서 닥치는 대로 총을 쏘았고 도청은 삽시간에 아비규환을 이루었다. 총소리와 비명이 난무한 가운데 인기척이 나는 곳에 무조건 총격을 가했다. 항복하라고 해도 나오지 않으면 수류탄을 던져 넣었다.


모든 역사 왜곡 세력의 주장은 그 자체로는 일고의 가치도 없지만, 문제는 그것이 우리가 역사와 현실을 바라보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사 왜곡.폄훼의 배경과 패턴을 따져보고 추이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언뜻 보면 왜곡 세력이 같은 의도를 가지고 똑같은 말을 되풀이하는 것 같지만, 상황에 따라 왜곡의 강조점과 패턴, 방식은 달랐다. 이를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의도와 계획을 읽을 수 있다. 그들이 감추려 한 것에 5.18의 진실이 숨어 있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