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인간의 종교들

우리 인간의 종교들

(힌두교, 불교, 유교, 도교, 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

아베 마사오, 하비 콕스, 뚜웨이밍, 리우샤오간, 아르빈드 샤르마, 제이콥 뉴스너, 세예드 호세인 나스르 (지은이), 주원준, 이명권, 박태식, 박현도, 류제동, 최수빈, 이윤미 (옮긴이)
소나무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29,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9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인간의 종교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인간의 종교들 (힌두교, 불교, 유교, 도교, 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71395790
· 쪽수 : 928쪽
· 출판일 : 2013-03-20

책 소개

힌두교, 불교, 유교, 도교, 유다교, 그리스도교, 그리고 이슬람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일곱 종교다. 이 책은 각 종교 전통에 속해 있는 신실한 신앙인이자 자기 종교 분야에 관한 세계적인 석학들이 쓴 세계 종교 개설서이다.

목차

감사의 말
초대의 말
옮긴이를 대표하여

힌두교
힌두교의 정의
오늘날 세계 속의 힌두교
현대의 힌두교
힌두교의 구조
힌두교의 신성한 삶과 문헌
힌두교의 역사: 개요
힌두교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힌두교의 정치적 경험
힌두교 연구를 통해 종교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종교 연구에서의 힌두교
추천 도서

불교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 공부로부터 종교에 관하여 무엇을 배우게 되는가
현대 세계에서의 불교
불교의 다양한 형태들
불교의 구조: 법륜(法輪)
공(空)
불교는 어떻게 활동하는가
종교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의 불교
추천 도서

유교
유교의 도(道)란 무엇인가?
유교 정신의 정의
유교 전통의 형성
유교의 제1기
유교의 제2기
유교 경전의 핵심 가치
유교의 정신적 지향이 지닌 뚜렷한 특징
유교 전통의 현대적 변화: 가족의 역동성
유교의 제3기
추천 도서

도교
도교의 정의
노자와 도교의 기원
도가의 변화
도교의 기원
도교의 변화
도교의 업적과 공헌
추천 도서

유다교
유다교 정의하기
유다 민족과 유다교의 관계
다양성의 문제와 유다교 정의하기
유다교의 형성
‘이중 토라’의 유다교
유다교의 역사 개관
현대 유다교의 양대 산맥
오늘날의 유다교는 어떠한가
유다교의 힘과 성공
추천 도서

그리스도교
그리스도인은 누구인가
초기 그리스도교
그리스도인의 삶
그리스도교의 기도와 실천
그리스도교의 미래
최후의 일
추천 도서

이슬람교
이슬람이란 무엇인가
이슬람 세계
이슬람 종교(Al-D?n 앗 딘)
이슬람의 토대
교의와 신조
이슬람의 여러 차원들
실천과 제도
역사
이슬람 사상 학파와 역사
현대 세계의 이슬람
이슬람과 다른 종교들
현대 사회에서 이슬람이 지닌 영적·종교적 중요성
추천 도서

엮은이의 말
글쓴이·옮긴이 소개
찾아보기

저자소개

아베 마사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은이 아베 마사오는 교토학파에 속하는 선불교 철학자로서 스즈끼 다이세쯔이 뒤를 이어 선을 서양세계에 소개하는데 지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그는 교토학파의 특징인 비교철학의 전통에 따라 선의 가르침을 서양의 철학 및 종교와 대비시켜 가면서 해명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1962년 나라 사범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콜럼비아, 뉴욕 주립, 시카고, 프린스톤 대학교 등에서 초빙교수로 활약했으며 1983년 이후 하와이 대학교에서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종교철학을 강의해 왔다. 영어로 씌어진 그의 첫번째 논문집 [선과 서양사상](Zen and Western Thought)은 종교철학계의 명저로 꼽히고 있다.
펼치기
하비 콕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9년에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하버드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2년 1년간 독일 베를린에서 거주하면서 동독 교회와 하버드대학 간의 연락 책임을 맡기도 했다. 귀국 후에는 기독학생운동(SCM)과 흑인민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보스턴 흑인 거주 지역에서 흑인해방과 민권운동을 위해 노력했다. 1965년 이후 하버드신학대학교에서 종교학을 가르쳤다. 1965년 출간한 《세속도시》는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14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에 10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독일 마부르크대학이 선정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개신교 신학 서적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비 콕스는 또한 1988년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20세기 10대 신학자에 이름을 올리는 등 영향력 있는 신학자가 되었다. 《세속도시》 이후 콕스는 교회가 교회 체제보다 사람들의 신앙과 실천에 중심을 두어야 하며 사회 변화에 앞장서야 주장한다. 하비 콕스는 해방신학과 같은 제3세계 기독교 운동에 관심이 많으며, 종교 간 대화의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해왔다. 2009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하비 콕스는 다양한 종교들을 함께 다루는 강의를 개설해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이 책 《세속도시》(1965) 말고도 《신의 혁명과 인간의 책임 God's Revolution and Man's Responsibility》(1966), 《바보제 The Feast of Fools》(1966), 《영혼의 유혹 The Seduction of the Spirit》(1973), 《세속도시에서 종교 Religion in the Secular City》(1985),《하늘에서 내린 불 Fire from Heaven》(1994), 《예수, 하버드에 오다 When Jesus Came to Harvard》(2004), 《종교의 미래 The Future of Faith》(2009) 등 많은 책을 썼다.
펼치기
뚜웨이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대학교 중국학 종신교수 및 아시아센터 수석 연구위원, 베이징대학교 고등인문연구원장이다. 동해대학교에서 중국어 학사, 하버드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장, 연경학회장 및 예술과학아카데미 회원을 역임했다. 서구 학계에서 동아시아의 문명과 사상 연구를 주도한 대표 학자다. 저서로는 『문명들의 대화』 『뚜웨이밍의 유학 강의』 『유학 제3기 발전에 관한 전망』 『우리 인간의 종교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류사오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허난성에서 태어났으며, 1976년 네이멍구사범대학 중문과를 졸업했다. 1978년 베이징대학 철학과에 입학해 장다이녠張岱年의 지도를 받으며 중국 철학사, 특히 선진先秦 철학과 도가 철학 을 중점적으로 연구했고, 1985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강사를 거쳐 부교수를 역임했다. 1988년 미 국으로 건너가 미시간대학, 하버드대학, 프린스턴대학 등에서 방문학자, 강사, 연구원으로 일했다. 1993년부터 싱가포르국립대학 중문학과에서 고급강사·부교수로, 2001년부터 홍콩중문대 철학과 교수를 거쳐 중국철학과 문화연구센터장을 역임했다. 2008년부터 저장대학 신흥문화중국인재계 획(晨興文化中國人才計劃)의 지도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장자와 사르트르莊子與沙特?, ?중국의 지혜中華的智慧?, ?노자고금老子古今? 등이 있으며, 《한학연구漢學硏究》, 《중국사회과학中國社會科學》, 《문사文史》 등의 학술 잡지에 다 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아르빈드 샤르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바라나시에서 출생하였으며, 1958년 알라하바드(Allahabad) 대학에서 역사, 경제, 산스크리트어의 학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에 시라쿠스(Syracuse) 대학에서 경제학으로 석사학위를, 1974년에 비교종교학으로 M.T.S 학위를 받았고, 그후 1978년에 미국 하바드 대학에서 산스크리트어와 인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캐나다 맥길(McGill) 대학교의 비교종교학 교수이며, 세계 종교와 관련한 50여권의 책과 500여 편의 논문을 저술했다. 아르빈드 샤르마는 또한 2006년 몬트레올에서 개최된 세계 종교 의회를 주관한 의장이기도 했고, 최근에는 세계 종교에 입각한 인권 운동의 지구적 선언과 관련된 업무에 치중하고 있다. 그가 쓴 대표작으로는 The Hindu Gita: Ancient and Classical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ita(1986), The Experiential Dimension of Advaita Vedanta(1993) 등이 있다. 또한 그가 편집한 최근의 대표적인 저서로서 본서 Our Religions와 The World‘s Religions: A Contemporary Reader(2010)가 있다.
펼치기
제이콥 뉴스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와 옥스포드 등에서 공부한 유다학자이자 랍비로서, 유다학에 관한 영향력 있는 저서를 가장 많이 저술한 대표적 학자다. 특히 <미쉬나>와 <탈무드> 연구에서 역사비평적 방법론을 도입하였고, 다양한 유다교 분파와 사상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 미국 대학에서 유다학을 교과로 편성하는 일에도 열심이었고, 히브리어나 아람어에 익숙하지 않은 현대 유다인들을 위해 거의 모든 랍비 문서를 영어로 옮겼다. 미국 유다학을 대표하는 인물 가운데 하나로서, 특히 랍비 유다교에 대한 그의 저술은 교과서처럼 통용된다.
펼치기
세예드 호세인 나스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태어났다. 1958년 하바드 대학교에서 이슬람 과학 및 철학사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이슬람혁명이 일어난 1979년 까지 테헤란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혁명 후 미국으로 건너와 필라델피아에 있는 템플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84년 죠지워싱턴 대학교로 옮겨 현재 종교학과에서 이슬람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무슬림으로는 최초로 1981년 기포드 강연Gifford Lectures을 하는 영예를 누렸는데, 강연 내용은 <지식과 성스러움(Knowledge and the Sacred)>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펼치기
주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구약학(성서언어학)과 고대근동언어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님성서연구소에서 ‘바알 신화’ 원문을 번역하고 있으며 서강대에서 구약성경, 고대근동의 종교 등을 강의한다. 저서로는 『구약성경과 신들』(한님), 『신명기』(거룩한 독서를 위한 구약성경 주해 5; 바오로딸)가 있고 역서로는 『우가릿어 문법』·『우가릿어 사전』(한님)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폭풍신이 아니라 풍우신이다 - Storm God의 번역어와 특징」(『종교신학연구』 11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명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였고, 감리교 신학대학원 및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마쳤다.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크리스천헤럴드> 편집장, 관동대학교에서 ‘종교간의 대화’ 강의, 그 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중국문학 석사학위 후, 길림대학 중국철학과에서 노자 연구로 박사학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교환교수로 재직, 동 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소장을 역임. 그 후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동양철학을 강의함. 현재 코리안아쉬람대표 및 K-종교인문연구소 소장으로서 코리안아쉬람TV/유튜브를 통해 “이명권의 동양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인문계간지 『산넘고 물건너』 발행인이다. 저서로는 『우파니샤드』, 『베다』, 『노자왈 예수 가라사대』, 『예수 석가를 만나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무함마드, 예수, 그리고 이슬람』, 『암베드카르와 현대인도 불교』가 있다. 공저로는 『오늘날 우리에게 해탈은 무엇인가?』,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 『종말론』, 『통일시대로 가는 평화의 길』, 『평화와 통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지평』,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종교와 정치』 등이 있다. 역서로는 『종교간의 대화와 협력을 위한 영성』, 『간디 명상록』, 『마틴 루터 킹』, 디완찬드 아히르의 『암베드카르』, 세샤기리 라오의 『간디와 비교종교』, 한스 큉의 『위대한 그리스도 사상가들』(공역), 『우리 인간의 종교들』(공역)이 있다.
펼치기
박현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교수로 이슬람과 중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학사, 캐나다 맥길대학교 이슬람연구소에서 이슬람학 석사 및 박사 수료, 이란 테헤란대학교에서 이슬람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산업통상자원부의 양자 협력사업인 ‘중동 산업협력 포럼’ 사무국장, 문화체육관광부 공직자 종교차별예방 교육 강사,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출판위원장, 종교평화국제사업단 발간 영문계간지 <Religion & Peace> 편집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동연구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역사를 보다』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Studies in Islamic Historiography』(공저) 『신학의 식탁』(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박현도의 다른 책 >
류제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교학문적 시각에서 불교에 접근하는 연구자이다. 2004년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금강대학교, 위덕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신대학교, 그리고 신앙인아카데미 등에서 강의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불교의 사회참여와 현대적 이해, 서구권에서 현대 불교의 재구성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하느님과 일심: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종교학과 대승기신론의 만남』, 『보리수 가지치기: 비판불교를 둘러싼 폭풍』, 그리고 Catastrophe and Philosophy(공저) 등의 저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윤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순자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뚜웨이밍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가 우리와 친근한 우주에 살고 있다는 확신을 주는 힌두교.
지혜와 자비가 함께 섞여 있어 역동적인 해방감을 주는 불교.
예의가 신성과 하나를 이루지는 않더라도 함께 할 수는 있음을 상기시켜 주는 유교.
자연과 일체가 된 삶을 아름답게 평가하며 편하고 긴 이야기를 해주는 도교.
오랜 박해에서 살아남아 다시 살아가는 감동적인 본보기가 되는 유다교.
‘완전한 인간이자 신’인 창시자를 본받기 위해 영광스러운 노력을 기울이는 그리스도교.
하나님의 절대적 최고성에 대해 모스크처럼 장엄하면서도 수수한 믿음을 지닌 이슬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