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열두 개의 달 시화집 합본 에디션

열두 개의 달 시화집 합본 에디션

윤동주 (지은이), 클로드 모네, 에곤 실레, 귀스타브 카유보트, 파울 클레, 차일드 하삼, 에드워드 호퍼, 제임스 휘슬러, 앙리 마티스, 카미유 피사로, 빈센트 반 고흐, 모리스 위트릴로, 칼 라르손 (그림)
저녁달
73,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6,420원 -10% 0원
3,690원
62,730원 >
66,420원 -10% 0원
0원
66,4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열두 개의 달 시화집 합본 에디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열두 개의 달 시화집 합본 에디션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9217181
· 쪽수 : 1088쪽
· 출판일 : 2023-07-10

책 소개

2018년 5월 출간 이래, 시리즈 누적 판매부수 5만 부를 기록하며, 시화집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시리즈가 새로운 에디션으로 출간됐다. 이번에 선보이는 에디션은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시리즈 12권으로 하나로 엮은 ‘노출제본 양장 합본호’로, 1월부터 12월까지, 366편의 시와 579편의 그림을 단 한 권에 담았다.

목차

一月.지난밤에 눈이 소오복이 왔네 (그림 클로드 모네)
一日 서시 _윤동주
二日 바람이 불어 _윤동주
三日 가슴 _윤동주
四日 못 자는 밤 _윤동주
五日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_백석
六日 저녁해ㅅ살 _정지용
七日 하이쿠 _다카하마 교시
八日 설상소요(雪上逍遙)_변영로
九日 국수 _백석
十日 눈 _윤동주
十一日 개 _윤동주
十二日 거짓부리 _윤동주
十三日 눈보라 _오장환
十四日 유리창(琉璃窓)1_정지용
十五日 나 취했노라 _백석
十六日 하이쿠 _기노 쓰라유키
十七日 통영(統營)2_백석
十八日 그때 _장정심
十九日 햇빛・바람 _윤동주
二十日 흰 바람벽이 있어 _백석
二十一日 생시에 못 뵈올 님을 _변영로
二十二日 호수 _정지용
二十三日 그리워 _정지용
二十四日 탕약 _백석
二十五日 밤기차에 그대를 보내고 _박용철
二十六日 월광(月光)_권환
二十七日 눈 _윤동주
二十八日 추억(追憶)_윤곤강
二十九日 눈은 내리네 _이장희
三十日 산상(山上)_윤동주
三十一日 언덕 _박인환

二月.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그림 에곤 실레)
一日 길 _윤동주
二日 아우의 인상화(印象畵) _윤동주
三日 숨ㅅ기 내기 _정지용
四日 노래 - 내가 죽거든 _크리스티나 로세티
五日 이월 햇발 _변영로
六日 못 잊어 _김소월
七日 잠 놓친 밤 _변영로
八日 사랑하는 까닭 _한용운
九日 슬픈 족속(族屬)_윤동주
十日 하이쿠 _다이구 료칸
十一日 모란봉에서 _윤동주
十二日 여우난골족 _백석
十三日 비로봉 _윤동주
十四日 하이쿠 _고바야시 잇사
十五日 두보나 이백같이 _백석
十六日 십자가 _윤동주
十七日 산협(山峽)의 오후 _윤동주
十八日 목구(木具)_백석
十九日 하이쿠 _가가노 지요니
二十日 나는 왕(王)이로소이다 _홍사용
二十一日 시계 _권환
二十二日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_백석
二十三日 기다리는 봄 _윤곤강
二十四日 새벽이 올 때까지 _윤동주
二十五日 팔복(八福)_윤동주
二十六日 달 좇아 _조명희
二十七日 이별 _윤동주
二十八日 묻지 마오 _장정심
二十九日 고배(苦盃)_노자영

三月.포근한 봄 졸음이 떠돌아라 (그림 귀스타브 카유보트)
一日 봄 _윤동주
二日 봄은 고양이로다 _이장희
三日 하이쿠 _타데나 산토카
四日 사랑스런 추억 _윤동주
五日 봄 비 _변영로
六日 사모(思慕) _노자영
七日 하이쿠 _마쓰세 세이세이
八日 바람과 봄 _김소월
九日 봄을 흔드는 손이 있어 _이해문
十日 물 _변영로
十一日 새로운 길 _윤동주
十二日 하이쿠 _마사오카 시키
十三日 병아리 _윤동주
十四日 산울림 _윤동주
十五日 어머니의 웃음 _이상화
十六日 봄 밤 _노자영
十七日 봄철의 바다 _이장희
十八日 고방 _백석
十九日 포플라 _윤곤강
二十日 종달새 _윤동주
二十一日 고백 _윤곤강
二十二日 부슬비 _허민
二十三日 연애 _박용철
二十四日 호면 _정지용
二十五日 널빤지에서 널빤지로 _에밀리 디킨슨
二十六日 봄으로 가자 _허민
二十七日 하이쿠 _가가노 지요니
二十八日 이적 _윤동주
二十九日 유언 _윤동주
三十日 어머니 _윤동주
三十一日 구름 _박인환

四月. 산에는 꽃이 피네 (그림 파울 클레)
一日 하이쿠 _아리와라노 나리히라
二日 청양사 _장정심
三日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_김영랑
四日 산유화 _김소월
五日 사랑의 전당 _윤동주
六日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_김영랑
七日 산골물 _윤동주
八日 꿈밭에 봄 마음 _김영랑
九日 하이쿠 _고바야시 잇사
十日 그 노래 _장정심
十一日 하이쿠 _가가노 지요니
十二日 돌팔매 _오일도
十三日 공상 _윤동주
十四日 봄은 간다 _김억
十五日 하이쿠 _다카이 기토
十六日 양지쪽 _윤동주
十七日 고양이의 꿈 _이장희
十八日 울적 _윤동주
十九日 해바라기씨 _정지용
二十日 위로 _윤동주
二十一日 오줌싸개 지도 _윤동주
二十二日 애기의 새벽 _윤동주
二十三日 형제별 _방정환
二十四日 도요새 _오일도
二十五日 하이쿠 _마쓰오 바쇼
二十六日 꽃이 먼저 알아 _한용운
二十七日 봄 2 _윤동주
二十八日 새 봄 _조명희
二十九日 달밤 _윤곤강
三十日 저녁 _이장희

五月.다정히도 불어오는 바람 (그림 차일드 하삼)
一日 장미 _이병각
二日 모란이 피기까지는 _김영랑
三日 손수건 _장정심
四日 언덕에 바로 누워 _김영랑
五日 빛깔 환히 _김영랑
六日 하이쿠 _고바야시 잇사
七日 뉘 눈결에 쏘이었소 _김영랑
八日 하이쿠 _아라키다 모리다케
九日 다정히도 불어오는 바람 _김영랑
十日 꽃나무 _이상
十一日 꽃모중 _권태응
十二日 남으로 창을 내겠오 _김상용
十三日 허리띠 매는 시악시 _김영랑
十四日 장미 병들어 _윤동주
十五日 그대가 누구를 사랑한다 할 때_김상용
十六日 풍경 _윤동주
十七日 장미 _노자영
十八日 ‘호박꽃 초롱’ 서시 _백석
十九日 향내 없다고 _김영랑
二十日 피아노 _장정심
二十一日 오월한 _김영랑
二十二日 그의 반 _정지용
二十三日 가늘한 내음 _김영랑
二十四日 오후의 구장 _윤동주
二十五日 내 훗진 노래 _김영랑
二十六日 오늘 _장정심
二十七日 사랑의 몽상 _허민
二十八日 봄하늘에 눈물이 돌다 _이장희
二十九日 꿈은 깨어지고 _윤동주
三十日 외로움 _김명순
三十一日 하이쿠 _테데나 산토카

六月.이파리를 흔드는 저녁 바람이 (그림 에드워드 호퍼)
一日 그 노래 _장정심
二日 나무 _윤동주
三日 첫여름 _윤곤강
四日 개똥벌레 _윤곤강
五日 반디불 _윤동주
六日 여름밤의 풍경 _노자영
七日 숲 향기 숨길 _김영랑
八日 여름밤이 길어요 _한용운
九日 정주성 _백석
十日 산림(山林) _윤동주
十一日 하이쿠 _미사부로 데이지
十二日 하몽(夏夢) _권환
十三日 송인(送人) _정지상
十四日 하이쿠 _요사 부손
十五日 가슴 1 _윤동주
十六日 쉽게 쓰여진 시 _윤동주
十七日 아침 _윤동주
十八日 몽미인(夢美人) _변영로
十九日 사랑 _황석우
二十日 한 조각 하늘 _박용철
二十一日 그대는 호령도 하실 만하다 _김영랑
二十二日 유월 _윤곤강
二十三日 병원 _윤동주
二十四日 밤 _정지용
二十五日 가로수(街路樹) _윤동주
二十六日 하이쿠 _오스가 오쓰지
二十七日 눈 감고 간다 _윤동주
二十八日 개 _윤동주
二十九日 바람과 노래 _김명순
三十日 6월이 오면, 인생은 아름다워라 _브리지스

七月. 천둥소리가 저 멀리서 들려오고 (그림 제임스 휘슬러)
一日 만엽집의 단가
二日 비 오는 밤 _윤동주
三日 저녁별 _노천명
四日 청포도 _이육사
五日 비 _백석
六日 장마 _고석규
七日 하이쿠 _마사오카 시키
八日 빨래 _윤동주
九日 기왓장 내외 _윤동주
十日 나의 창(窓) _윤곤강
十一日 눈물이 쉬루르 흘러납니다 _김소월
十二日 수풀 아래 작은 샘 _김영랑
十三日 비 갠 아침 _이상화
十四日 할아버지 _정지용
十五日 사과 _윤동주
十六日 밤에 오는 비 _허민주
十七日 하이쿠 _다이구 료칸
十八日 맑은 물 _허민
十九日 소녀 2 _노천명
二十日 하일소경(夏日小景) _이장희
二十一日 옥수수 _노천명
二十二日 하이쿠 _사이교
二十三日 별바다의 기억(記憶) _윤곤강
二十四日 잠자리 _윤곤강
二十五日 외갓집 _윤곤강
二十六日 하이쿠 _고바야시 잇사
二十七日 바다 1 _정지용
二十八日 바다에의 향수 _노천명
二十九日 하답 _백석
三十日 선우사(膳友辭) - 함주시초(咸州詩抄) 4 _백석
三十一日 햇비 _윤동주

八月.그리고 지중지중 물가를 거닐면 (그림 앙리 마티스)
一日 바다 _백석
二日 바다 _윤동주
三日 하이쿠 _요사 부손
四日 창공(蒼空)_윤동주
五日 둘 다 _윤동주
六日 산촌(山村)의 여름 저녁 _한용운
七日 소낙비 _윤동주
八日 여름밤 _노자영
九日 고추밭 _윤동주
十日 바다 _정지용
十一日 화경(火鏡)_권환
十二日 어느 날 _변영로
十三日 하이쿠 _마쓰오 바쇼
十四日 해바라기 얼굴 _윤동주
十五日 소나기 _윤곤강
十六日 바다로 가자 _김영랑
十七日 조개껍질 _윤동주
十八日 비ㅅ뒤 _윤동주
十九日 아지랑이 _윤곤강
二十日 봉선화 _이장희
二十一日 들에서 _이장희
二十二日 수박의 노래 _윤곤강
二十三日 빗자루 _윤동주
二十四日 저녁노을 _윤곤강
二十五日 하이쿠 _모리카와 교리쿠
二十六日 바다에서 _윤곤강
二十七日 나의 밤 _윤곤강
二十八日 하이쿠 _마쓰오 바쇼
二十九日 물 보면 흐르고 _김영랑
三十日 여름밤 공원에서 _이장희
三十一日 어디로 _박용철

九月.오늘도 가을바람은 그냥 붑니다 (그림 카미유 피사로)
一日 소년 _윤동주
二日 코스모스 _윤동주
三日 가을날 _라이너 마리아 릴케
四日 그 여자(女子)_윤동주
五日 오늘 문득 _강경애
六日 그네 _장정심
七日 창(窓) _윤동주
八日 비둘기 _윤동주
九日 마음의 추락 _박용철
十日 언니 오시는 길에 _김명순
十一日 고향 _백석
十二日 귀뚜라미와 나와 _윤동주
十三日 하이쿠 _오시마 료타
十四日 이것은 인간의 위대한 일들이니 _프랑시스 잠
十五日 먼 후일 _김소월
十六日 비오는 거리 _이병각
十七日 가을밤 _윤동주
十八日 남쪽 하늘 _윤동주
十九日 향수(鄕愁) _정지용
二十日 고향집 - 만주에서 부른 _윤동주
二十一日 벌레 우는 소리 _이장희
二十二日 하이쿠 _다카라이 기카쿠
二十三日 가을밤 _이병각
二十四日 거리에서 _윤동주
二十五日 사개 틀린 고풍의 툇마루에 _김영랑
二十六日 나의 집 _김소월
二十七日 하이쿠 _이즈미 시키부
二十八日 오-매 단풍 들것네 _김영랑
二十九日 한동안 너를 _고석규
三十日 달을 잡고 _허민

十月.달은 내려와 꿈꾸고 있네 (그림 빈센트 반 고흐)
一日 별 헤는 밤 _윤동주
二日 자화상 _윤동주
三日 쓸쓸한 길 _백석
四日 추야일경(秋夜一景)_백석
五日 늙은 갈대의 독백 _백석
六日 내 옛날 온 꿈이 _김영랑
七日 하이쿠 _다카하마 교시
八日 목마와 숙녀 _박인환
九日 달밤 도회(都會)_이상화
十日 절망(絶望)_백석
十一日 달밤 _윤동주
十二日 하이쿠 _가가노 지요니
十三日 비 _정지용
十四日 낮의 소란 소리 _김영랑
十五日 쓸쓸한 시절 _이장희
十六日 어머님 _장정심
十七日 하이쿠 _사이교
十八日 밤 _윤동주
十九日 하이쿠 _이케니시 곤스이
二十日 가을 _라이너 마리아 릴케
二十一日 청시(靑枾)_백석
二十二日 수라(修羅…)_백석
二十三日 나는 네 것 아니라 _박용철
二十四日 토요일 _윤곤강
二十五日 비에 젖은 마음 _박용철
二十六日 낙엽 _윤곤강
二十七日 당신의 소년은 _이용악
二十八日 내 탓 _장정심
二十九日 황홀한 달빛 _김영랑
三十日 하이쿠 _마쓰오 바쇼
三十一日 달을 쏘다 _윤동주

十一月.오래간만에 내 마음은 (그림 모리스 위트릴로)
一日 첫눈 _심훈
二日 참새 _윤동주
三日 가슴 2 _윤동주
四日 사랑은 _변영로
五日 첫겨울 _오장환
六日 하이쿠 _노자와 본초
七日 참회록 _윤동주
八日 해후 _박용철
九日 저녁때 외로운 마음 _김영랑
十日 하이쿠 _무카이 교라이
十一日 흐르는 거리 _윤동주
十二日 달같이 _윤동주
十三日 겨울 _정지용
十四日 싸늘한 이마 _박용철
十五日 비에도 지지 않고 _미야자와 겐지
十六日 돌아와 보는 밤 _윤동주
十七日 하이쿠 _야마구치 소도
十八日 무서운 시간(時間) _윤동주
十九日 새 한 마리 _이장희
二十日 백지편지 _장정심
二十一日 황혼(黃昏)이 바다가 되어 _윤동주
二十二日 홍시 _정지용
二十三日 추억 _노자영
二十四日 흰 그림자 _윤동주
二十五日 너의 그림자 _박용철
二十六日 유리창 2 _정지용
二十七日 눈 오는 저녁 _노자영
二十八日 멋 모르고 _윤곤강
二十九日 밤의 시름 _윤곤강
三十日 별똥 떨어진 데 _윤동주

十二月.편편이 흩날리는 저 눈송이처럼 (그림 칼 라르손)
一日 편지 _윤동주
三日 호주머니 _윤동주
二日 내마음을 아실 이 _김영랑
四日 나와 나타샤와 흰당나귀 _백석
五日 하이쿠 _요사 부손
六日 눈 오는 지도(地圖) _윤동주
七日 하이쿠 _마쓰오 바쇼
八日 눈 밤 _심훈
九日 이런 시(時) _이상
十日 사랑과 잠 _황석우
十一日 하이쿠 _마쓰오 바쇼
十二日 명상(暝想) _윤동주
十三日 꿈 깨고서 _한용운
十四日 창 구멍 _윤동주
十五日 이별을 하느니 _이상화
十六日 당신에게 _장정심
十七日 하염없는 바람의 노래 _박용철
十八日 그리움 _이용악
十九日 고야(古夜) _백석
二十日 편지 _노자영
二十一日 설야(雪夜) _이병각
二十二日 눈 오는 아츰 _김상용
二十三日 순례의 서 _라이너 마리아 릴케
二十四日 님의 손길 _한용운
二十五日 새로워진 행복 _박용철
二十六日 간판 없는 거리 _윤동주
二十七日 하이쿠 _이케니시 곤스이
二十八日 개 _백석
二十九日 마당 앞 맑은 새암을 _김영랑
三十日 전라도 가시내 _이용악
三十一日 그믐밤 _허민

저자소개

윤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7년 12월 30일 만주 북간도 명동촌에서 아버지 윤영석과 어머니 김용 사이의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명동소학교, 은진중학교를 거쳐 평양의 숭실중학교로 편입하였으나 신사참배 거부 사건으로 폐교 조치되자, 광명중학교를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하였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立敎)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다가 교토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로 편입하였다.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해 연길에서 발행되던 『가톨릭소년』에 여러 편의 동시를 발표하고 그 외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에도 시를 발표하였으며, 문예지 『새명동』 발간에도 참여하였다. 대학 시절 틈틈이 쓴 시 19편을 골라 시집을 발간하고자 하였으나 그의 신변을 염려한 스승과 벗들의 만류로 뜻을 보류하였다. 1943년 독립운동을 모의한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2년 형을 선고받았다. 1945년 2월 16일 광복을 여섯 달 앞두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여 고향 용정에 묻혔다. 일제의 생체 실험 주사에 따른 희생으로 추정될 뿐 지금까지도 그의 죽음에 대해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1948년 유고 31편을 모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고, 1968년에는 연세대학교 내에 그의 시비(詩碑)가 세워졌다.
펼치기
윤동주의 다른 책 >
파울 클레 (그림)    정보 더보기
스위스 출신 독일 화가.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 인물로, 색과 선을 탐색하는 작업으로 유명했다. 그가 쓴 방대한 색채론 자료와 1921년부터 1931년까지 바우하우스에서 강의한 내용을 묶은 『형식과 조형론에 관한 글들』은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데 토대를 마련해준 텍스트로 여겨지고 있다. 1937년, 나치는 독일 내 공공 소장품 중 100점이 넘는 클레의 작품을 '퇴폐 예술'로 명명하고 압수했다.
펼치기
파울 클레의 다른 책 >
빈센트 반 고흐 (그림)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남부 작은 마을에서 개신교 목사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던 고흐는 1869년부터 큰아버지 ‘센트 삼촌’의 헤이그 구필 화랑에서 일했다. 그런데 1873년 구필 화랑의 런던 지점에서 고흐는 당시 산업화의 그늘 아래서 비참한 노동자들의 현실에 대한 충격과 실연당한 아픔으로 정신적 불안을 겪게 된다. 1875년 파리 본점에서는 예술 작품을 상품으로 취급하는 것에 대한 환멸과 거부감을 견디지 못하다가 결국 해고를 당한다. 이후 전도사가 되어 벨기에 탄광 지대에 파견되지만 거기서도 선교단체와 마찰을 빚고 해고되는데, 이때 고흐는 광부들의 비참한 현실을 그림에 담으면서 화가가 되겠다는 열망을 확인한다. 1881년에 헤이그에 정착하여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여 「감자 먹는 사람들」(1885년)을 그렸다. 1886년 테오가 있는 프랑스에 정착하고 툴루즈 로트레크, 에밀 베르나르, 존 러셀 등의 화가들과 친구가 되어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1888년에 따듯한 프로방스 지방 아를로 내려가 「별이 빛나는 밤」(1889년) 등을 그렸고, 이때 인상주의 화가들과 함께 파리 앵데팡당전에 참가했다. 고흐는 고갱을 자신의 ‘노란 집’으로 불러 함께 살았으나 심한 불화를 겪다가 자신의 귓불을 칼로 잘라내고 만다. 이후 생레미의 요양원에서 지내다가 1890년 파리 근교 오베르쉬르우아즈에서 불꽃 같은 열정으로 걸작들을 그려냈다. 하지만 석 달 뒤에 여관 다락방에서 권총에 맞아 피를 흘리고 누워 있는 상태로 발견되고, 7월 29일 새벽에 동생 테오의 품에 안긴 채 삶을 마감했다. 고흐는 2000여 점에 달하는 유화와 데생을 남겼고, 테오도 형이 죽은 다음 해에 세상을 떠났다. 고흐 형제 사후에 테오의 아내 요안나가 고흐의 작품 전시회를 열고 편지를 출간하는 등 고흐를 알리려 애썼다. 이후 테오와 요안나의 아들로 큰아버지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은 빈센트 반 고흐 주니어는 상속받은 고흐의 그림들을 네덜란드 정부에 기증하여 1973년 암스테르담에 반 고흐 미술관이 세워지는 데 기여했다.
펼치기
칼 라르손 (그림)    정보 더보기
스웨덴의 사실주의 화가이자 인테리어 디자이너. 라르손의 그림에는 부인과 아이들이 자주 등장하며 따뜻하고 아늑하며 평화로운 가정의 모습을 담은 작품들로 유명하다. 그를 가장 유명하게 만들고 출판계를 놀라게 했던 작품은 바로 『해 뜨는 집』(1895)이라는 책의 삽화였다. 작품을 통해 보여준 그의 개성은 스웨덴의 대표적인 가구 브랜드인 이케아의 정신적 모토가 되었고, 현재 미술시장에서 그의 작품은 5억 원을 호가하는 가치를 지니며, 시대를 뛰어넘어 높은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다. 라르손은 수많은 삽화들을 비롯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10월〉(1882), 〈커다란 자작나무 아래서의 아침식사〉(1894~1899), 〈한겨울의 희생〉(1914~1915)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펼치기
칼 라르손의 다른 책 >
에곤 실레 (그림)    정보 더보기
오스트리아의 화가. 클림트의 표현주의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공포와 불안에 떠는 인간의 육체를 묘사하고, 성적인 욕망을 주제로 다루어 20세기 초, 빈에서 커다란 논란을 일으켰다. 〈죽음과 소녀〉는 실레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 구스타프 클림트의 친구이자 피후견인이었던 에곤 실레는 클림트의 표현주의적인 선들을 더욱 발전시켜 공포와 불안에 떠는 인간의 육체를 묘사하고, 자신의 성적인 욕망을 주제로 다뤘다. 빈 공간을 배경으로 툭툭 튀어나온 뼈가 도드라져 보일 정도로 앙상하게 마르고 고통스러운 모습을 한 실레의 자화상은 고뇌하는 미술가의 전형을 보여주는 듯하다. 한편 실레의 도시 풍경화들은 역동적이며, 인파로 넘쳐나는 도시 모습의 이면에는 어떤 긴장감이 감춰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펼치기
에곤 실레의 다른 책 >
에드워드 호퍼 (그림)    정보 더보기
Edward Hopper. 1882~1967. 미국의 대표적인 사실주의 화가. 뉴욕 주 나이액에서 태어나 뉴욕 시에서 사망했다. 뉴욕예술학교에서 미국의 사실주의 화가 로버트 헨리(Robert Henri)에게 그림을 배웠다. 1924년까지는 주로 광고 미술과 삽화용 에칭 판화 작업에 몰두했지만, 1920년대 중반부터 수채화와 유화에 본격적으로 집중하기 시작했다. 호퍼는 현대 미국인의 삶 속에 내재된 고독과 상실감을 탁월하게 표현해내며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았다. 희미한 음영이 더해진 평면적인 묘사, 정적이며 고요한 분위기 속 인물이나 건물의 모습은 매우 미국적인 정서를 강하게 드러낸다. 그는 주유소, 모텔, 식당, 극장, 철도, 거리 풍경 등 미국인의 일상에서 그림의 소재를 찾았고, 특히 양차대전 사이 도시인들의 고독감과 절망감을 담담하면서도 깊이 있게 표현함으로써 대중의 공감과 인기를 얻었다. 그의 작품은 다른 화가, 작가, 영화감독 들에게도 영감을 주었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 팝아트와 신사실주의 미술의 흐름에도 뚜렷한 영향을 남겼다. 대표작으로는 <밤을 지나는 사람들(Nighthawks, 1942)>, <아침 햇살(Morning Sun, 1952)>, <케이프 코드의 아침(Cape Cod Morning,1950)> 등이 있다.
펼치기
클로드 모네 (그림)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화가. 파리 출생. 소년 시절을 르아브르에서 보냈으며, 18세 때 그곳에서 화가 로댕을 만나, 외광 묘사에 대한 초보적인 화법을 배웠다. 19세 때 파리로 가서 아카데미 스위스에 들어가, 피사로와 어울렸다. 1862년부터는 전통주의 화가 샤를 글레르 밑에서 쿠르베나 마네의 영향을 받아 인물화를 그렸지만 2년 후 화실이 문을 닫게 되자, 친구 프리데리크 바지유와 함께 인상주의의 고향이라 불리는 노르망디 옹플뢰르에 머물며 자연을 주제로 한 인상주의 화풍을 갖춰나갔다. 한편 1878년에는 센 강변의 베퇴유, 1883년에는 지베르니로 주거를 옮겨 작품을 제작하였고, 만년에는 저택 내 넓은 연못에 떠 있는 연꽃을 그리는 데 몰두하였다. 자연을 감싼 미묘한 대기의 뉘앙스나 빛을 받고 변화하는 풍경의 순간적 양상을 그려내려는 그의 의도는 〈루앙대성당〉 〈수련〉 등에서 보듯이 동일 주제를 아침, 낮, 저녁으로 시간에 따라 연작한 태도에서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이 밖에 〈소풍〉 〈강〉등의 작품도 유명하다.
펼치기
클로드 모네의 다른 책 >
귀스타브 카유보트 (그림)    정보 더보기
1848~1894. 프랑스의 인상주의 화가. 인상주의 화가들과 어울리며 그들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1876년 제2회 인상파 전시회에 이 작품을 출품하고, 이후 몇 차례에 걸쳐 인상파전에 참여하며, 전시를 기획하고 재정적인 지원을 했다. 그가 도움을 주었던 가난한 인상파 화가들은, 마네, 모네, 르느와르, 피사로, 드가, 세잔 등이었다. 그가 소장하고 있던 67점의 인상파 작품을 사후에 프랑스국립미술관에 기증했으나 ‘주제넘은 기증’에 당황하여 수용 여부를 놓고 한바탕 논란이 있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 논란을 계기로 인상파 화가들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카유보트는 고전적인 규범에서 벗어나 일상적인 파리의 모습을 주제로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다. 특히 길 위의 풍경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커다란 도로, 광장, 다리, 그리고 그 위를 걷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화폭에 담으며 19세기 새롭게 변화하는 파리의 풍경을 재현했다. 그의 작품은 치밀한 화면 구성과 화면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 간의 균형, 독특한 구도, 대담한 원근법의 사용 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는 다르게 남성이 작품의 주제로 부상했다.
펼치기
귀스타브 카유보트의 다른 책 >
제임스 휘슬러 (그림)    정보 더보기
유럽에서 활약한 미국의 화가. ‘예술을 위한 예술’을 표방하고 회화의 주제 묘사로부터의 해방을 주장하여 차분한 색조와 그 해조(諧調)의 변화에 의한 개성적 양식을 확립했다. 매사추세츠주 로웰 출생. 어린 시절을 러시아에서 지내고 귀국 후 워싱턴에서 그림 공부를 하다가, 1855년 파리에 유학하여 에콜드 보자르에서 마르크 가브리엘 샤를 글레르의 문하생이 되었다. 그러나 귀스타브 쿠르베의 사실주의에 끌리고 마네, 모네 등 인상파 화가들과 교유하면서 점차 독자적인 화풍을 개척했다. 젊었을 때는 군대를 동경하여 3년간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에 다니기도 했다. 하지만 자유를 갈망하는 성격과 그림을 좋아하는 본성을 따라 미술을 시작하게 되었다. 파리에서 본격적으로 그림을 배웠고, 1863년 파리의 낙선자 전람회에 〈흰색의 교향곡 1번, 흰 옷을 입은 소녀〉를 출품하여 화제를 일으켰다. 그러나 그 작품으로 촉발된 일련의 사건들로, 파리에 대한 혐오를 느껴 본거지를 런던으로 옮겼다. 〈회색과 검정색의 조화, 1번-화가의 어머니〉 외에 〈알렉산더 양〉등 훌륭한 초상화를 남겼으며 1877년부터 〈야경(夜景)〉의 연작을 발표했다. 휘슬러는 그의 작품을 회색과 녹색의 해조(諧調) 라든가, 회색과 흑색의 배색 등 갖가지의 첨색으로 그렸으며, 색채의 충동을 피하여 작품에 조용한 친근감을 주고 있다. 1877년 〈불꽃〉 등을 선보인 개인전을 런던에서 열었을 때 J.러스킨의 혹평에 대해 소송을 일으켜 승소하였지만, 이는 몰이해한 군중을 한층 더 적으로 만드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휘슬러는 또한 작가이자 평론가인 오스카 와일드와도 교유하여, 그의 강연집이 프랑스어로 출간했다. 그는 에칭에도 뛰어나 판화집도 출판했으며, 동양 문화를 모티프로 한 피코크 룸(현재 워싱턴의 프리미어 미술관으로 옮겨서 보존)을 설계하기도 하였다. 주요작품에 〈흰색의 교향곡 1번, 흰 옷을 입은 소녀〉 〈회색과 검정색의 조화, 1번-화가의 어머니〉 〈검정과 금빛 야상곡〉 〈녹턴 파란색과 은색-첼시〉 등이 있다.
펼치기
제임스 휘슬러의 다른 책 >
앙리 마티스 (그림)    정보 더보기
프랑스 북부의 카토에서 태어났다. 법학을 공부하고 법률 사무소에서 일했으나, 출근 전 이른 아침 미술학교에서 미술 수업을 듣곤 했다. 스무 살 무렵 맹장염으로 요양하는 동안 그림을 그리면서 진로를 바꾸기로 결심했다. 1891년 파리로 가 그림 공부를 시작한 그는 1893년 국립미술학교에 입학해 상징주의 화가 귀스타브 모로의 제자가 되었다. 1904년 무렵부터 파블로 피카소, 앙드레 드랭 등과 함께 야수파 운동을 주도해 20세기 회화의 위대한 혁명을 이끌었다. 1925년에는 정부로부터 프랑스 최고의 영예인 레종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30년대 이후에는 조각과 판화, 직물 디자인, 유리 공예, 책 삽화, 성당 벽화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었다. “일이 모든 것을 치유한다”고 말한 마티스는 마지막 순간까지 그림을 그렸고, 1954년 11월 3일 니스의 집에서 평화롭게 숨을 거두었다.
펼치기
모리스 위트릴로 (그림)    정보 더보기
Maurice Utrillo. 1883~1955. 프랑스의 화가. 평생을 몽마르트 풍경과 파리의 외곽 지역, 서민촌의 골목길을 그의 외로운 시정에 빗대어 화폭에 담았던 몽마르트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다작을 넘어 남작으로도 유명한데 유화만 3,000점이 넘는다. 인물화도 그리긴 했지만 5점 정도밖에 없고, 높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 위트릴로의 작품은 크게 4개의 시기로 분류된다. 몽마니 등 파리 교외의 풍경을 그린 몽마니 시대(1903~1905), 인상파적인 작풍을 시도했던 인상파시대(1906~1908), 위트릴로만의 충실한 조형세계를 구축해나간 백색시대(1908~1914), 코르시카 여행의 영향으로 점차 색채가 선명해진 다색시대(1915~) 등이다. 특히 백색시대 작품 중 수작이 많은데, 음주와 난행과 싸우면서 제작한 백색시대 시절의 작품은, 오래된 파리의 거리묘사에 흰색을 많이 사용하여 미묘한 해조(諧調)를 통하여 우수에 찬 시정(詩情)을 발휘하였다. 그 후 1913년 브로화랑에서 최초의 개인전을 열어 호평을 받았으나, 코르시카 여행(1912) 후 점차 색채가 선명해졌으며 명성이 높아지면서 예전의 서정성이 희박해지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1935년 위트릴로의 작품 찬미자인 벨기에의 미망인과 결혼하여 신앙심 두터운 평화로운 가정을 꾸려, 만년에 유복한 생활을 하며 파리 풍경을 계속 그려나갔다. 대표작으로 〈몽마르트르 풍경〉 〈몽마르트르의 생 피에르 성당〉 등이 있다.
펼치기
모리스 위트릴로의 다른 책 >
차일드 하삼 (그림)    정보 더보기
미국의 인상주의 화가. 미국의 도시와 해안을 주로 그렸다. 3,000점이 넘는 그림, 유화, 수채화, 에칭, 석판화 등을 제작했으며 20세기 초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미술품 및 공동품을 많이 소장한 성공한 사업가이며, 어머니는 미국의 소설가 너새니엘 호손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미술에 관심이 있었고 드로잉과 수채화에 뛰어났으나 그의 부모는 초기에 그의 재능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1883년 보스톤의 윌리엄스 에버렛 갤러리에서 열린 첫 개인전에서 수채화를 전시했다. 정식 미술 교육을 받지 못했으나, 1886년 프랑스의 줄리앙 아카데미에서 구상적 드로잉과 회화를 공부했으며, 인상주의를 미국 미술계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80년대 중반, 하삼은 도시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다. 〈보스턴 커먼의 황혼〉(1885)은 그의 첫 번째 작품이었다. 미국의 미술평론가들의 반응은 냉담했으나 그는 크게 성공했고, 파리에서 생활하며 프랑스 예술가들과 교류하였다. 후기 작품 중에 가장 독특하고 유명한 작품으로는 ‘깃발 시리즈(Flag Series)’로 알려진 30여 점의 그림이 있다. 1916년 뉴욕 5번가에서 열린 미국의 세계1차대전 참전 퍼레이드에서 영감을 얻어 연작을 만들었다. 그중 〈빗속의 거리〉는, 2009년 재선에 성공한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집무실을 재정비하면서 걸어놓아 화제가 되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인상주의 화풍이 부활하기 전까지, 하삼은 ‘비운의 버려진 천재’로 남았으나, 1970년대에 프랑스의 인상주의 작품들이 천문학적인 가격으로 거래되자, 하삼과 미국의 인상주의학파들은 다시 인기를 얻었다.
펼치기
차일드 하삼의 다른 책 >
카미유 피사로 (그림)    정보 더보기
Camille Pissarro. 1830~1903. 서인도제도의 세인트토머스 섬 출생. 1855년 화가를 지망하여 파리로 나왔으며, 같은 해 만국박람회의 미술전에서 코로의 작품에 감명받아 그로부터 풍경화에 전념하였고, 수수하고 담담한 전원의 모습을 주로 작품에 담았다. 피사로는 폴 세잔과 폴 고갱에게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 두 화가는 활동 말기에 피사로가 그들의 ‘스승’이었다고 고백했다. 한편, 피사로는 조르주 쇠라와 폴 시냐크의 점묘법 같은 다른 화가들의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얻기도 했다. 1874년에 시작된 인상파그룹전(展)에 참가한 이래 매회 계속하여 출품함으로써 인상파의 최연장자가 되었다. 말년에 피사로는 인상주의 화가들이 명성을 얻게 되는 것을 목격했고, 후기 인상주의 화가들은 피사로를 존경했으며, 피사로는 인상주의 화가들 사이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붉은 지붕》 《사과를 줍는 여인들》 《몽마르트르의 거리》 《테아트르 프랑세즈광장》 《브뤼헤이 다리》 《자화상》 등이 있다.
펼치기
카미유 피사로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