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 청소년 소설
· ISBN : 9791193947401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그 형태와 의미는 완전히 달라질지도 모릅니다
어떤 관계는 천천히, 오래 걸려서 만들어집니다. 많은 말보다 긴 침묵 속에서, 거창한 약속보다 곁에 머무는 시간으로. 그렇게 조금씩, 사람과 사람 사이에 온기가 생기고 이름이 붙습니다. 그 이름이 바로 ‘가족’이죠.
우리는 모두 태어나자마자 관계라는 그물 안에 들어갑니다. 누군가의 아들, 딸, 엄마, 아빠, 형, 언니, 동생으로 불리며 시작되는 삶. 그 안에서 울고 웃으며, 때로는 도망치고 싶기도 하고 다시 그 품으로 돌아가고 싶기도 합니다. 가족은 늘 가까이 있지만, 이해하기 가장 어려운 세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지금, 그 세계가 바뀌려 하고 있습니다. ‘가족은 사람이어야만 한다’는 오래된 전제가 흔들리고 있어요. AI가 감정을 배우고, 로봇이 외로움을 달래주며, 복제 인간이 기억과 사랑을 나누는 시대가 온다면 그들도 과연 ‘가족’이 될 수 있을까요?
미래는 여전히 예측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한 가지는 분명해요. 가족의 모습은 분명히 변할 것입니다. 더 이상 피로 이어지지 않아도, 유전자 대신 선택으로 묶여도, 함께 머물고, 서로를 지켜 주려는 마음이 있다면 그것이 곧 새로운 가족의 형태가 되지 않을까요?
여기, 다가올 미래를 상상하며 쓰인 네 편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각기 다른 시대와 공간에서 각기 다른 ‘가족’을 만나는 이야기들. 가족의 의미를 조용히 뒤흔들지도 모릅니다.
AI와 로봇, 복제 인간이 가족이 되는 시대
낯설고도 따뜻한 미래를 네 편의 이야기로 그려냅니다
「가족의 기원」 한정영
스카이와 코크는 거리에서 살아남기 위해 남의 물건을 훔치는 트위치다. 어느 날 모르는 여자의 봉투를 빼앗다 순찰대에게 붙잡힐 위기에 처한 두 사람. 그런데 뜻밖에도 여자가 이들을 자신의 아들인 척 감싸 안으며 구해준다. 그렇게 갑작스럽게 시작된 ‘가족 흉내’는 점점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혈연도, 법도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연결된 사람들. 가장 낯선 이들과 가장 가까워지는 순간, 가족의 정의는 다시 쓰인다!
「노랑 구름은 뜨고 있다」 윤해연
기후 위기를 넘지 못한 지구, 어느 순간부터 아이들은 건강하지 않게 태어났다. 심장이 약하거나, 폐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아이들. 인류는 그들을 살리기 위해 하나의 해답을 내놓는다. 바로, 복제 인간! 똑같은 유전자를 지닌 쌍둥이 ‘원스’를 만들어 함께 자라게 하면, 필요할 때 완벽하게 호환되는 장기를 얻을 수 있다. 원스는 감정도 학습 능력도 없는 존재로 길러지며, 그들의 운명은 정해져 있었다. 태어남과 동시에 결정된 운명, 복제된 생명에게도 선택권은 있을까?
「가족 계약」 최이랑
디의 나라에서는 태어난 가정이 곧 계급이 되고, 계급이 곧 인생을 결정한다. 디는 중산 A급의 안정된 삶을 살고 있었지만, 친구 시우가 부른 노래를 들은 순간 모든 것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존재조차 인정되지 않는 노래하는 직업. 상류층으로 가기 위해 애쓰는 부모에게 꿈을 말하는 건 곧 반역이었다. 결국 디는 결단을 내린다. 새로운 부모를 선택하고, 낯선 음식과 생활 방식 속에서 다시 삶을 시작한다. 가족이 유동적인 시대, 사랑보다 조건이 우선되는 사회에서 ‘진짜 가족’이란 무엇일까?
「새로운 가족」 정명섭
로봇과의 전쟁으로 지구는 폐허가 되었고, 살아남은 인간들은 늘 도망쳐야 했다. 조이에게 유일한 가족인 엄마는 삶의 전부였다. 하지만 어느 날 대규모 공격으로 조이는 엄마와 헤어지고, 결국 로봇이 지배하는 도시 ‘네오 시티’로 끌려간다. 죽음의 땅일 거라 생각했던 그곳은 예상과 달리 평화롭고 편안했다. 조이는 인공지능 ‘자르딘’의 안내로 로봇 가족과 함께 지내게 되고, 처음엔 어색했지만 안락함에 익숙해져 간다. 하지만 거짓된 안정과 진짜 자유 사이에서 고민하던 조이는 다시 가족을 향해 걷기로 했다.
목차
가족의 기원 _ 한정영 … 7
노랑 구름은 뜨고 있다 _ 윤해연 … 47
가족 계약 _ 최이랑 … 81
새로운 가족 _ 정명섭 … 121
책속에서
“정신 바짝 차려! 아까처럼 실수하면 안 돼!”
옆에서 걷던 코크가 다짐을 주듯 말했다. 불과 30분 전의 실수가 내 탓이라는 의미가 잔뜩 들어 있는 말투였다.
하지만 그건 실수가 아니었다. 아까는 지금보다 더 나이가 든 노인의 가방을 빼앗으려 했지만, 눈앞에서 포기했다. 역사 맞은편 공원 입구 벤치에 앉아 있던 노인은 사실상 무방비 상태였다. 경쟁하는 트위치가 있던 것도 아니었다.
다가간 순간 노인에게 팔이 하나 없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 바람에 죽은 아빠가 떠올랐고, 나는 도리어 가방을 빼앗으려는 코크를 말릴 수밖에 없었다. 노인 역시 아빠처럼, 알파 시티의 블랙 존에서 일하다가 사고를 당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서.
나는 천천히 걸었다. 앞선 여자의 걸음이 빠르지 않았고, 주변을 살펴야 했다. 우리처럼 날치기를 하려는 또 다른 트위치가 있는지 경계해야 했고, 알파 시티 로봇 순찰대나 경찰의 눈길도 피해야 했다. 혹시 몰라서 고개를 들어 경계 드론이 있는지도 힐끗 살폈다. 다행스럽게도 아직 그 어떤 방해 요소도 보이지 않았다.
- 「가족의 기원」
인간이 다루는 과학의 한계는 끝이 없었다. 안드로이드의 자기 학습화가 그랬고, 인공 지능의 자기 확장이 그러했다. 인간은 과학을 숭배하면서도 과학을 두려워했다. 원스가 인간에게 꼭 필요한 도구이지만, 원스의 단계를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은 그들의 진화를 경계해서다. 최고 5단계 원스는 꽤 높은 지능을 가졌다고 한다. 5단계 원스를 구입하려면 자폐나 조현병 같은 문제가 있을 경우인데,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모양이다. 종종 사회 문제가 되어 포털 뉴스에 등장하곤 하는데 이들을 ‘위험한 구름’이라 부른다. 납치, 테러 등 강력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구름같이 스며들어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베이비 셀의 연간 보고서에 의하면, 2~3년 사이 5단계 원스 출시율이 23퍼센트나 급락했다. 하지만 공급이 줄면 수요는 늘어나는 법이다. 희소성에 의한 인간의 욕망은 점점 커졌다. 5단계 원스의 가격은 최고의 주가를 달리고 있다.
“……원스가 아니고 라온이에요.”
“원스한테 이름을 주는 것은 불법인데 이름을 주었구나.”
“라온이는 상품이 아니에요. 저와 쌍둥이라니까요!”
“신고 같은 건 안 할 테니 걱정하지 마. 그런데 라온이가 무슨 뜻인 줄 알고 그 이름을 준 거니?”
“기쁨이요. 책에서 읽었어요.”
“책을 읽었다니 놀랍구나. 요즘은 누구도 책을 읽지 않지. 인간은 신보다 과학을 더 숭배하니까.”
- 「노랑 구름은 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