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97758652
· 쪽수 : 479쪽
· 출판일 : 2023-05-26
책 소개
목차
서문
―서경식과 그의 시대: 비평가로서, 활동가로서, 교육자로서(하야오 다카노리)
1. 자기 형성과 사색의 궤적
최종 강의
―인문교육으로서의 예술학(서경식)
인터뷰
―서경식, 저작을 말하다
(하야오 다카노리+도베 히데아키+리행리+모토하시 데쓰야+다카쓰 히데유키)
좌담
―서경식의 언론 활동과 재일조선인: 세대 간 대화
(서경식+조경희+최덕효+리행리)
2. 한일을 오가는 비평 활동의 다면성 ― 정년퇴임 기념 심포지엄 기록
발표 1 ‘재일’을 ‘생각하기’와 ‘재일’을 ‘살아가기’(우카이 사토시)
발표 2 책임에 대하여, 계속 물어 가는 것: 사반세기의 대화로부터(다카하시 데쓰야)
서경식의 응답
코멘트 1 ‘재일조선인의 쇼와사昭和史’라는 아포리아: 서경식과 포스트콜로니얼리즘(모토하시 데쓰야)
코멘트 2 서경식은 어떻게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가: ‘서경식 스쿨’의 일원으로서(시부야 도모미)
3. 예술 표현을 둘러싼 두 번의 대화
대화 1 가마쿠라 히데야 + 서경식 <영상 제작을 함께한 20년>
대화 2 사키마 미치오 + 서경식 <‘오키나와’라는 장소에서 예술을 생각하다>
감사의 글(서경식)
일본어판 후기 (도베 히데아키)
서경식 연보
서경식 주요 저작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에서)
전후 민주주의와 동아시아의 냉전이 긴장 관계를 갖고 있었던 1970년대와 1980년대, ‘포스트냉전’과 ‘포스트 쇼와’가 겹치며 역사 인식 논쟁이 격화된 1990년대, 남북한과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한편에서 ‘9·11’ 이후 대對테러 전쟁으로 군사적 긴장 관계가 더욱 첨예해진 2000년대, 원전 사고 이후 안으로 향한 ‘부흥 내셔널리즘’이 목소리를 높여간 2010년대까지 서경식은 흔치 않았던 시대의 목격자인 동시에 어떤 시대에도 체제나 머조리티를 냉철하게 꿰뚫어 보는 ‘마이너리티의 눈’으로 발신을 계속해서 이어 간 비평가였다. 재일조선인으로서의 민족 아이덴티티를 강하게 긍정하는 ‘민족주의자’(이 용어의 정확한 의미는 본문에서 설명될 것이다)이자, 서양문화(회화, 음악, 문학)의 전통에 정통하고 거기에서 가장 좋은 것을 길어 올리는 ‘인문주의자’,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제3세계의 학대받는 사람들과 연대를 모색하는 ‘새로운 보편주의자’, 그리고 일본의 대학이나 사회에서 학생과 동료, 시민을 항상 일깨워 준 ‘교육
자’였다. 한 사람의 인간이 떠맡기에는 너무나 무거운 짐을 서경식이 짊어져 왔다고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바라건대 이 책을 통해 서경식 선생의 다양한 저서가 다시금 읽힐 수 있기를.
(‘최종 강의’에서)
미술관에서는 보통 그림엽서를 팔지요. 제가 두 장을 사라고 한 까닭을 말씀드리자면 우선 한 장은 자신의 추억으로 간직하라는 의미입니다. 저는 지금도 반세기도 더 전에 오하라미술관에서 사 온 나카무라 쓰네의 그림엽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머지 한 장은 소중한 사람에게 전해 주면 좋겠습니다. 친구든, 가족이든, 연인이든 소중한 이에게 “나 이런 곳에 다녀왔어.”라고 말하며 선물하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미술은 (미각이나 음악적 취향과 비슷한 면도 있겠지만)그 사람의 감각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부분까지 포함하여 나타내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 이 사람 이런 걸 좋아하는 줄은 몰랐는데 멋진데!”라는 식의, 바로 그런 세계입니다.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중략) 미술은 주관적인 것이 가장 허용되어야만 하는 세계입니다. 남이 예쁘다고 하건, 더럽다고 하건 상관이 없습니다. 어떤 작품을 두고 있는 그대로 좋다고 말하는 사람, 그런 식으로 자기 스스로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인권에 대해서도, 정치에 대해서도, 경제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통해 여러 가지 문제와 마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