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일본
· ISBN : 9788990769503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4-05-23
책 소개
목차
아연동북아총서 발간에 부쳐 8
서장
왜 지금 가지무라 히데키인가 / 홍종욱
1. 가지무라 히데키를 다시 읽는다 10
2. 전후(戰後) 일본의 조선사 연구와 가지무라 사학 11
3. ‘내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14
4. ‘이념형’으로서의 민중, ‘만신창이’로서의 민중 17
5. 근대의 주변, 주변의 근대 19
6. 가지무라 히데키 연구회의 발걸음 22
1장
가지무라 히데키의 사회운동과 한국사 연구 / 강원봉
1. 자기 점검의 계기로서의 조선사 26
2. 성장 과정(1935~1953) 28
3. 대학 시절(1954~1963) 29
4. 1960년대의 연구와 실천 31
5. 1970년대의 연구와 실천 33
6. 1980년대의 연구와 실천 36
2장
근대 조선사학사 인식에서 본 가지무라 히데키 / 미쓰이 다카시
1. 사학사 인식의 ‘정체(停滯)’ 42
2. ‘비인간적인 학문’으로서의 조선사 비판과 조선사의 ‘새로운 재출발’ 44
3. 아카데미즘 조선사학에서의 ‘계승’이라는 과제 46
4. 역사를 말하는 주체라는 문제: 조선인 부재의 사학사 52
5. 가지무라 류(流) 사학사의 의의와 한계
- 『배외주의 극복을 위한 조선사(排外主義克服のための朝鮮史)』를 중심으로 - 56
6. 가지무라의 사학사 인식을 넘어 64
3장
내재적 발전론의 임계: 가지무라 히데키와 안병태의 역사학 / 홍종욱
1. 내재적 발전론의 탈구축을 위하여 67
2. 내재적 발전론의 일본적 맥락 70
3. 가지무라 히데키의 역사학에서의 ‘외압’과 ‘민중’ 77
4. 안병태의 역사학에서의 ‘전(全)구조적 파악’ 83
5. ‘세계사적 보편’과 ‘아시아적 특질’을 넘어서 91
6. 역사학자의 주체성 99
4장
‘일한(日韓)체제’ 하의 민중과 ‘의미로서의 역사’
: 가지무라 히데키의 한국 인식과 역사인식 / 강원봉
1. 식민주의와 ‘일한체제’ 106
2. 박정희 정권과 ‘근대화된 모순’ 110
3. ‘자기 점검의 계기’로서의 한국 민중 115
4. 일본 사회의 가치관과 민중의 과제 121
5. 의미상실 시대의 역사인식 127
6. 한국을 통해 일본의 문제를 보다 133
5장
일본 ‘전후 역사학’의 전개와 미완의 가지무라 사학
: 국가와 민중은 어떻게 (재)발견되었는가 / 도베 히데아키
1. 문제제기 - 20세기 역사학 운동을 역사화할 필요성 - 139
2. 가지무라는 어떻게 잊혀 졌는가 141
3. ‘내재적 발전론’과 전후 역사학 146
4. 가지무라의 내재적 발전론의 심화?변용을 재촉한 두 가지 요인 149
5. 1980년대의 심화 - 미완의 가지무라 사학 - 154
6. 지금, ‘미완의 유산’을 상속하기 위하여 165
6장
가지무라 히데키의 한국 자본주의론: 내재적 발전론으로서의 ‘종속 발전’론 / 홍종욱
1.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 자본주의 171
2. 남북한의 ‘민족주의’와 대중 의식 173
3. ‘종속 발전’의 이론화 시도 179
4. ‘NICs형 종속 발전’론 187
5. 한국 자본주의 논쟁 비판 193
6. ‘이념 = 실체’로서의 ‘민족경제’ 198
7장
내재적 발전론의 네트워크, ‘민족적 책임’의 경계
: 가지무라 히데키와 그의 시대, 1955~1989 / 조관자
1. 내재적 발전론의 ‘외연’을 찾아 205
2. 내재적 발전론, 1960~1989 210
3. 변혁의 역사학, 한일 네트워크의 격차와 시차 215
4. ‘폭력혁명’의 망각과 한일회담 반대운동 219
5. 동아시아 인민 연대의 균열과 민족주의의 부흥 225
6. 권력 비판과 역사 비평의 부조화 229
7. ‘민족적 책임’의 경계를 넘어서 235
8장
가지무라 히데키의 ‘미발의 계기’: 식민지 역사 서술과 근대 비판 / 차승기
1. 식민지와 근대 246
2. 내재성 249
3. ‘미발의 계기’ 255
4. 번역 불가능성 260
5. 시차적 관점 265
영문 초록 270
초출 일람 273